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르쳐야 할 건 언제 어디서든 새로운 걸 배우고 익히고 옳은 판단을 하게 하는 것

~~ 조회수 : 912
작성일 : 2014-07-09 19:12:13

저는 대학에서 강의를 합니다.

보따리 강사지요. 아마 명문대 글 쓰신 분보다 제가  나이나 학번으로 위일듯 하네요.

네. 저도 그 대학에서 박사했고 연구교수 하다하다 때려쳤다 이젠 강의합니다.

교양과목 주로 하는데 이 아이들 과학 영역의 교양 들어야 졸업되는 탓에

고등학교때 듣도 보도 안했던 이상한 내용 수업한다고 싫어라 합니다.

요즘 문과아이들은 과학을 1학년때 조금 하다 만다고 하네요.

 

그럼 저는 학생들을 슬슬 꼬시죠.

학생여러분~ 

앞으로 여러분들이 살 세상은 내가 살아온 세상과 달라서

어떤 지식 그 자체를 쓰게 될 일은 전혀 없다.

내가 지금 가르치는 이 내용은 5년만되어도 구닥다리가 되어있을 거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걸 처음 발견하고 알아냈던 방법을 이해하면

너도 새로운 거 나와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걸 쓸 수 있게 된단다.

그러면서 우리 세상에 이런거  만드는 멋진 사람들이 있고 이런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고,

우리 생활과는 이렇게 연결되어 있단다.

요딴 소리를 하죠.

 

심지어는 니가 이런쪽 사업을 하는게 니가 아는 쪽만 가지고 사업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니?

혹은 이런쪽과 연결된 문과쪽 학문을 이야기하며

이상한 융합을 외치기도 합니다.

 

실은  진심입니다. 세상은 변해서 대학때 배우는 지식으로 평생을 살 수 있던 시대가 아닌 시대를 살고 있고

앞으로 우리 애들은 더 그런 변화앞에 놓여지게 될겁니다.

 

지금 명문대생들이 요구하는 프리미엄은 예전처럼 변화가 적던 시절에  얹어줄 수 있는 거였어요.

스카이가 내 앞길을 보장해주는 줄 알고 공부를 하고 대학을 갔다면 그것자체가 잘못이였다는 거죠.

 

대학에서 강의를 다녀봄 전공수준은 대학에서 다시 새로운 출발선입니다.

아주 어려운 천재나 해야하는 전공들은 모르겠으나,

제가 하는 쪽은 열심히 공부하는 게 장땡인 분야여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평균적으로 학부가 좋을 경우  더 잘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한 과에서 얼마나 실력이 천차만별이었는지 기억하시죠?

제가 수업하는 한 클래스의 학생들도 본인이 어떤 한학기를 보냈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하물며 대학 4년은요? 아니 인생에서의 10년은요?

 

흔히들 중학교때 성적이 고등성적이 아니라고 하면서, 왜 고등성적이 대학성적이 아니고, 대학성적이 인생 성적이 아니라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요?

 

지긋지긋하게 고등학교때까지의 성적가지고 평생을 논하는 이전의 프리미엄은 우리 모두 내려놓고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고등학교때 열심히 한사람,

대학학부가 별로지만 성공한 사람은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대학이후 노력한 사람

이렇게 봐주는 게 맞지 않나 합니다.

이건 아마도 회사도 마찬가지일듯요. 회사일이 공부일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으려나요?

업무가 프리젠테이션을 요하면 그걸 잘하는 사람, 새로운 아이템을 잘 찾아야한다면 그것으로 다시 평가받아야 하는 거죠.

 

저도 두 아이의 엄마고, 내일이 마지막 기말고사인 우리애들

꼭 명문대 sky가야 하냐고  묻진 않아요. 애들도 가고 싶어 합니다.

제가 애들 학교에서 상담선생님(오지랖도 넓지요)도 해봐서 아는데 아이들 전교 1등부터 꼴등까지 공부가 가장 큰 스트레스인게 대한민국 학생들입니다. 눈물날 만큼 다 잘하고 싶어합니다.

좋은 대학에 안가도 걱정없을 만큼 부자인 엄마 아빠가 아니여서 미안하다고 말은 해줍니다.

 

무슨 얘기를 하려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진 시대니 보낼 필요없다 하는 얘기에 주저리주저리 했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지는 게 맞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공정한 방식으로

올바른 교육현장에서, 바른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이 성장하기를 바래봅니다.

 

 

 

 

 

 

IP : 14.52.xxx.15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9 7:16 PM (59.10.xxx.225)

    동감합니다.

  • 2. 공감해요.
    '14.7.9 7:19 PM (58.140.xxx.162)

    키워드 '유연성'

  • 3. 공감해요.
    '14.7.9 7:20 PM (58.140.xxx.162)

    '판단력'도요.

  • 4. 추천과 감사
    '14.7.9 10:06 PM (220.76.xxx.234)

    좋은 글이라 댓글 많이 달릴 줄 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저도 백배 동감이구요
    이런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5. 필독
    '14.7.10 12:32 AM (218.48.xxx.96)

    훌륭한 글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296 양심에 털 난 넘들 1 ㅇㅇㅇ 2014/08/06 883
406295 (산본)돌출입 교정할려고 합니다,,, 5 ........ 2014/08/06 2,353
406294 자존감 강한 사람요 23 .ㅇ. 2014/08/06 5,994
406293 문창극 전 총리 후보자 교회강연 보도에 무더기 징계 5 샬랄라 2014/08/06 1,449
406292 국산과자의 비밀... 보셨어요? 61 ..... 2014/08/06 15,101
406291 이건 또 뭔소리래요????ㄷㄷㄷ 7 닥시러 2014/08/06 2,708
406290 쿠팡 조립식 데스크탑 어떤가요? 컴맹 2014/08/06 927
406289 [단단독] 병사들 "이 병장 폭행에 숨져..살인죄 적용.. 7 죽일넘 2014/08/06 2,376
406288 오해가 소문을 타는것 무섭네요 4 .. 2014/08/06 2,778
406287 폰 박살내버렸네요 10 아이 2014/08/06 2,886
406286 미싱 3 7 2014/08/06 1,788
406285 논산훈련소에 아들 보내 보신 분 정보 부탁드려요 20 엄마마음 2014/08/06 9,460
406284 절에 다니는분이 음력 7월생은 부모가 기도를 많이 해야한다는데 .. 2 2014/08/06 3,488
406283 친정아버지 안구건조증이 심하세요 4 루테인 2014/08/06 1,916
406282 군대를 열공의 모티베이션으로 2 TDDFT 2014/08/06 811
406281 6년 공부 봐 주신 과외쌤.. 9 ... 2014/08/06 3,559
406280 운명처럼 널 사랑해에 나오는 건이 첫사랑 여자 4 내눈에 2014/08/06 2,743
406279 학기부인쇄 급질)나이스.. 2014/08/06 751
406278 대학 복수전공 어떤지요 3 .. 2014/08/06 1,424
406277 급질문좀) 귤먹고 난 아이..응급실 가야할까요? 12 귤밖에는 2014/08/06 2,806
406276 몇시에 자나요? 애들 2014/08/06 732
406275 중.고생 개학은 보통 며칠인가요? 6 지금은 방학.. 2014/08/06 1,590
406274 강아지 건사료만 잘 먹는 분? 6 마미 2014/08/06 1,616
406273 이병장 하병장 유하사 휴가 때 성매매도 까발려짐;; 6 하이고 2014/08/06 8,405
406272 세월호2-13) 꼭 돌아와주세요..실종자님 ..우리가 기억합니다.. 26 bluebe.. 2014/08/06 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