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중1 성적 변화좀 봐주세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요?

불안한학부모 조회수 : 2,376
작성일 : 2014-07-09 13:01:27

외동이고 주위에 비슷한 또래가 없어서 물어볼데가 없어서 여쭈어 봅니다.

초등때 국제중학교 원서냈을때도 학과는 감점 요인 전혀 없었고요.

(다만 선생님이 평가하는 리더쉽, 추진력.. 이런 부분에 대해 평가를 낮게 주셨다고 선생님이 당시 그러셨습니다)

저희 아이에 대해서 뭘 걱정하냐고. 어떻게 될지 기대된다는 평가는 6년동안 계속 받았고요.

물론 초등은 그야말로 초등이니깐 크게 의미를 두지 않습니다.

 

그리고 올해 중 1 되었어요(서초동)

첫번째 진단평가는 반 1등, 중간고사때는 3등 했어요(중간때 학과목 전체 평균은 98 점이었습니다. 국어 수학은 100, 영어는 98. 나머지는 기타 과목에서 깎아먹은 점수)

 

그런데 이번 기말고사 점수를 보니 완전 가관이에요.

국어 86, 수학 88, 영어 90, 기가 88, 체육 88, 도덕 90......완전 멘붕입니다

본인 말로는 시험이 어려웠다고 하는데 그래도 이런 점수가 나올 수 있나요?

저는 상상이 안가요. 저와 남편 모두 SKY 나왔기에 당연히 전과목 합쳐서 한두개 틀리겠지 했는네.. ㅜㅜ

이게 내 자식인가 싶기도 하고..  성적이 갑자기 이렇게 떨어질 수도 있나. 싶구요..(물론 등수는 최종적으로 나와봐야 알겠지요. 다른 애들은 어찌 봤는지 모르니깐)

 

이제까지 공부 습관은 초등때부터 제가 전혀 봐주지 않아 혼자 알아서 해왔고.. 애도 성실해요..

물론 천재적으로 영특하고, 남다른 애는 전혀 아니에요.

이제까지 엄마가 봐줘서 나온 점수라면.. 엄마가 봐주는걸 중단했을경우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받아들이겠는데

계속 혼자 알아서 해온 아이기 때문에 아이도 저도 멘붕입니다.

 

어떻게 받아들이고 격려해야 하는건지, 아님 뭐 질책???(말이 이상하네요) 대안을 어디서라도 뭘 찾아야 하는건지...

그저 스스로 알아차리고 개선할때까지 제가 지켜봐줘야 하는건지..

이제까지 공부 습관이 문제가 있었다면.. 여태껏 못고친거 앞으로도 못고칠 확율이 클거 같아 초조감이 들고 마음이 불안합니다.  제가 어떤 마인드로 이런 순간을 잘 넘겨야 할까요?

 

 

IP : 210.94.xxx.8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9 1:03 PM (218.38.xxx.245)

    등수를 보시고 .... 좀 기다려보세요

  • 2. 저희애 학교도
    '14.7.9 1:04 PM (180.65.xxx.29)

    중간은 초등에서 왔으니 쉽게 기말에 멘붕해서 방학에 열심히 하라고 아주 어렵게 낸다고 하던데요
    학교마다 달라서 성적만 보고 말하기 그렇네요

  • 3. 중3 엄마
    '14.7.9 1:09 PM (211.36.xxx.153)

    중간에 비해 과목수가 많지 않았나요?
    저희는 5과목 기말은 10과목에 범위는 두배입니다만
    시존 시험과 확연히 과목수 학습해야 할 양에서 차이가 납니다.
    결론은 학습량이 적었겠지요.
    원인 파악 잘 하시고 잘 이끌어 주세요

  • 4. ...
    '14.7.9 1:25 PM (118.221.xxx.62)

    ㅎㅎ 부모 스카이랑은 별개고요 우리보니 그렇더군요
    우선 시험이 어렵고, 문제 방향을 잘못잡았거나 지난번 등수 믿고 공부를 덜하거나 실수한거죠
    원인파악해서 앞으로 더 열심히 하면 되요 중1 엔 다들 충격받아요
    그게 계속가느냐 올라가느냐는 아이몫이고요

  • 5. 원글
    '14.7.9 1:26 PM (210.94.xxx.89)

    버드나무님,,중 3엄마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중등은 "꼼꼼"해야 겠지요.
    그야말로 이제까지 초등수준으로 해온것이 아닌가 의심스럽네요.
    아이는 그저 그 수준으로 해와도 문제없었으니 그게 최선이고 Best라 했을것이고..
    저는 이제까지 개입을 안했으니 아이가 어떻게 해왔는지 그 깊이가 잘 파악 안되는것이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찬찬히 아이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 6. ㅡㅡ
    '14.7.9 1:34 PM (203.234.xxx.42)

    한번 정도는 시험대비법을 알려주세요
    시험 2주전 스케쥴 정하기부터 교과서 프린트 문제집까지요
    그 담부턴 아이 의지에 달린거죠

    초반 중등 성적이 거의 중학교 내내 가는게 맞더라구요
    아니면 더 하락하거나...
    진단평가 성적은 정말 아무 의미없구요
    고등가면 중등때 내신 대비만 한 아이냐,
    영수 실력 갖춘아이냐에 따라 또 달라집니다

    저같으면 아이를 믿고
    중등때는 시행착오를 겪으며 스스로의 공부법을 찾아가는데
    절호의 찬스로 여기고 기다려 볼것 같아요

    국제중 원서낼 정도면 부모님의 교육열과 기대도 높을텐데
    성적으로 아이에게 압력주기 시작하면
    아이는 그 스트레스를 반드시 어느쪽으로든 터트릴수 있어요
    사춘기때 관계를 현명하게 잘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외동이라 더 그럴수 있어요

    내신은 자기주도 학습법 코치해주시고
    영어 수학에 실력기르기에 더 집중하시면,,,

  • 7. 원글
    '14.7.9 1:43 PM (210.94.xxx.89)

    다들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혹시 제가 예민하게 받아들였던 부분 있으면 댓글 달아주신분께 양해 구합니다.
    서투른 초보 학부모.. 방관형 학부모였나 싶어 후회가 됩니다.
    내 아이를 잘 파악못하면서 겉으로만 아이가 알아서 하기를 바랬나 싶고요.
    선배님들께 여쭤보기 참 잘한것 같습니다.

  • 8. ,,,
    '14.7.9 1:58 PM (118.221.xxx.62)

    중딩이면 혼자 하게 두라고 해서 그말 믿다가 1학년때 낭패봤어요
    수행도 챙기고 학원보내도 부족한게 뭔지 , 시험땐 뭘 봐줘야 하는지 체크해야해요
    우리끼리 하는말이 ㅡ 애 덕분에 겸손해 진다고 합니다

  • 9. -----
    '14.7.9 3:31 PM (125.251.xxx.49) - 삭제된댓글

    중고등쪽 교직에 있는 사람으로서 어머님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그 놈의 반편성고사나;; 진단평가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문제 수준도 별로고 변별력이 그리 뛰어난 성적이 아닙니다.
    (단, 심화반 관리 잘 해주는 고등학교 평가의 입학성적은 중요할 수도 있어요.
    심화반 가입 조건에 진단평가가 들어가는 경우...)

    그리고 원점수도 하나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직 학교에서의 등수가 중요합니다.
    원점수 40점 받아도 전교1등이면 1등급 받아요.
    일단 등수 보시고 결정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부모가 좋은 대학 나온거랑 아이들 성적과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단지 공부를 열심히 하는 분위기나 공부 습관 정도는 물려줄 수 있겠지만요.
    주변에 전문직 부부 아이들이나
    부모 두분다 명문대 출신이라도 무너지는 아이들 한 두명 있는게 아닙니다.

  • 10. 중등은 절대 평가...
    '14.7.9 4:16 P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등수는 상관없고 고등 진학에 중요한 건 오직 원점수입니다. 윗님은 고등학교 선생님이셔서 잘 모르시는 듯 하네요. 외고 지망할 경우만 중3 영어 점수가 상대평가로 들어가고 이 때만 등수가 중요합니다. 그건 그렇고... 아이의 성적 변화를 보면 일단 수업 시간에 배우는 내용에 대한 꼼꼼한 소화가 안 되는 게 아닌가 싶네요. 초등 공부는 사실 참고서 문제집 열어 보면 요점 정리가 되어 있고 거기 의지하면 되지만 중등부터의 핵심은 스스로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능력입니다. 이게 안 되면 백날 학원 다니고 과외해 봤자 소용없쟎아요. 원글님 공부 잘 하셨다니 아실 겁니다. 아이가 그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 주셔야 할 것 같애요. 이제 시작이니 화이팅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4049 공효진닮았다는말은 어떤거에요? 29 ^^ 2014/08/04 5,077
404048 락앤락 이제 국내생산 안하나봐요. 12 주방정리 2014/08/04 4,257
404047 올리고당은 넣어도넣어도 5 올리고당 2014/08/04 1,814
404046 부산사시는 분들 도와주세요 8 조용히 2014/08/04 1,442
404045 돼지고기 다짐육으로 할수 있는 요리 알려주세요. 12 다짐육 2014/08/04 3,402
404044 무릎아래.팔꿈치 아래로 저려요 2 ... 2014/08/04 1,096
404043 아버지 생신때 갈 부산 호텔 부페 추천 부탁드려요~ 7 부산부페 2014/08/04 1,844
404042 이혼남이랑 소개팅을 하게되엇는데요 10 궁금 2014/08/04 5,355
404041 [국민TV 8월4일] 9시 뉴스K - 노종면 앵커 진행(생방송 .. lowsim.. 2014/08/04 520
404040 생생정보통 장윤정 남편 도경완아나운서요 뭐죠? 28 ..... 2014/08/04 20,321
404039 카페 외부 음식 반입 금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29 카페주인 2014/08/04 16,482
404038 팔뚝에 뭔가 덩어리인가가 만져져요 3 팔뚝 2014/08/04 3,339
404037 운동 기구 거꾸리에 대해 문의 드려요. 13 허리 환자 2014/08/04 4,728
404036 밑에 아이스크림 글보고 생각난 에피소드가 있네요 10 잭해머 2014/08/04 1,830
404035 전세 매매 고민 9 고민 2014/08/04 2,204
404034 교통사고 장기입원 문의(너무 힘들어요) 6 사고 2014/08/04 2,026
404033 태풍지나가도 또 온다하는데...가족이랑 펜션가려고 준비 다했는데.. alety1.. 2014/08/04 1,270
404032 장인어른 병문안 13 .. 2014/08/04 3,392
404031 라자냐를 전날 만들까요? 1 손님초대 2014/08/04 851
404030 남편이 귀여운 짓을 하네요 7 ㅎㅎㅎ 2014/08/04 2,483
404029 8년 키운 고양이가 2층 창밖으로 나갔어요ㅠ 12 믿어 2014/08/04 2,214
404028 남자를 볼 때 약자를 대하는 태도를 보라는데 6 2014/08/04 3,149
404027 양파장아찌 비율이요 해리 2014/08/04 1,416
404026 coldplay 너무 멋있어요. 7 크리스 마틴.. 2014/08/04 1,588
404025 독학가능한 초보 영문법 교재추천부탁드려요 11 왕초보 2014/08/04 2,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