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무공천 공약 만들었나".. 책임론 비화
- 1. 샬랄라'14.4.7 2:54 PM (121.124.xxx.140)- 신기남 “안철수·김한길 무공천 방침… 편견, 오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4062307521&code=...
- 2. 탱자'14.4.7 3:14 PM (61.81.xxx.225)- 2013년이면 작년인데, 민주당은 전당원 투표해서 기초단체 무공천을 찬성으로 통과시켰는고, 
 올해 3월에 무공천을 고리로 안철수와 민주당은 새정치연대를 만들었는데, 그 동안 아무 소리않고 있다가 이제 선거 닥치니 궁시렁 궁시렁 말들이 아주 많군요.
 
 기초단체 정당공천하고 싶으면 지들이 나가서 정당 만들고 공천하면 됩니다. 왜 정책이 다른 정당에 몸담고 있으면서 정당의 노선에 반대하는지 웃기는 놈들입니다.
- 3. //'14.4.7 3:33 PM (221.152.xxx.123)- 지도자의 진면목은 주위를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쪽으로 억지로 끌고가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형편과 여론을 살펴 모두가 바라는 쪽으로 원만히 안내해 가는 데 있는 것 
- 4. //'14.4.7 3:34 PM (221.152.xxx.123)- 개혁이란 대다수가 바라지만 실제로 달성하기 어려운 것을 용기와 지혜로 돌파하는 것이지, 바라지도 않는 것을 강요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 5. //'14.4.7 3:34 PM (221.152.xxx.123)- 기초 공천 폐지’라는 용어는 옳지 않고 ‘기초 공천 포기’라고 해야 적절할 것 
- 6. //'14.4.7 3:34 PM (221.152.xxx.123)- 폐지’란 제도적으로 공천을 없앴을 때 쓸 수 있는 말인데 새정치민주연합 이외의 당들은 모두 이에 반대하고 있고, (새정치연합) 후보자들이 탈당해 당이 선거를 포기하는 셈이기 때문에 그렇다 
- 7. 맞는말이네요'14.4.7 3:38 PM (211.52.xxx.242)- 기초 공천 폐지’라는 용어는 옳지 않고 ‘기초 공천 포기’라고 해야 적절할 것”이라며 “‘폐지’란 제도적으로 공천을 없앴을 때 쓸 수 있는 말인데 새정치민주연합 이외의 당들은 모두 이에 반대하고 있고, (새정치연합) 후보자들이 탈당해 당이 선거를 포기하는 셈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설명했다. 
 -----------------
 2013년도의 무공천에 대한 합의는 여야가 공히 공천을 폐지하는 제도적 법적 무공천을 의미하는것이고
 이렇게 야당단독의 무공천을 의미하지는 않았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