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 毒’ 퍼지는 대한민국…고령층 부동산 보유 비중 높아 충격에 빠질 수도

..... 조회수 : 1,795
작성일 : 2014-04-07 12:38:02
베이비부머(1958~1963년생) 세대들의 상당수가 부동산에 자산 대부분이 묶여 있어 ‘부동산 독’(毒) 때문에 자칫 큰 충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주상철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고령화 시대의 가계자산관리’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가계는 대부분의 자산을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어 부동산 가격 하락시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이처럼 밝혔다.

주 연구위원은 “부동산 편중 현상이 지속되면 자금 유동성을 축소시켜 다른 금융자산 투자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부동산의 일부를 매도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노후 소득의 원천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독에 대한 우려감은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통계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73.3%(부동산 비중 67.8%)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져 50대 중반 이후 가구주의 경우 80%를 웃돈다.

최근 제자리 걸음이나 뒷걸음질을 치고 있는 한국의 주택가격은 앞으로 더 심한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고령층이 생계유지를 위해 주택을 팔아치우면서 그나마 주택가격 수요ㆍ공급곡선이 깨져, 가격이 더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2억7000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금융자산을 포함한 전체 자산도 같은 기간 3억2000만원에서 2억5000만원으로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났다는 점을 앞으로 노후 대비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고령화의 악(惡) 순환은 계속돼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부동산 독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고, 주택가격 하락폭은 더욱 깊어질 수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0년 11% 수준인 한국의 65세 인구 비중은 2060년께 40.1%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령층이 부동산을 금융자산으로 더욱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언한다.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본인 명의의 주택에 대해 담보 및 대출 계약을 체결한 뒤 사망할 때까지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기간마다 연금 형태의 금액을 받고 사망 후에는 담보로 제공된 부동산을 처분해 상환하는 제도다
IP : 221.152.xxx.12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원문
    '14.4.7 12:38 PM (221.152.xxx.123)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407000141&md=20140407091912_BG

  • 2. 정보의 소스
    '14.4.7 12:43 PM (221.152.xxx.123)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
    통계 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 3. .........
    '14.4.7 1:20 PM (175.214.xxx.25)

    저도 오늘 시세보다 3천 싸게 매도했어요.
    2009년 매입시보다 1억 1천이 빠졌고,중대형 평수,세입자 기간이 남아있어 실수요자들 몇 놓치니
    걍 팔아버리지자,세입자에게 팔아버렸는데 가슴이 먹먹해요.
    아이들 교육비 등 큰 지출들이 기다리니 손해보더라도 팔아서 은행권에 맡기는게 낫지싶어서요.

    부동산에 묶여있는 연세드신분들,세금 내기도 빠듯하신분들은 약간 손해보더래도 매도하는게 나을것같아요,
    지금 상황이 오래가면갔지,오를것 같지도않고,나중에 금리 오르거나,악재들이 나오면
    통째로 집 넘어가는 사람들 생길수도 있을거에요.집값 폭락에 대출낀집들이 위험하죠

  • 4. //
    '14.4.7 1:39 PM (221.152.xxx.123)

    저도 하도 답답해서 올린 글이랍니다.
    저희는 2012년에 반짝 올랐을 때 제가 이런 저런 정보를 들으니 앞으로 내릴거라는 여러곳에서 들을 수 있었어요.
    그래서 팔고 전세로가가자 저흰 어머님이 집을 저희 주시기로 했기 때문에 조만간 2주택이 될거라서 대비차원에서 남편이 밍기적거리는 사이에 많이 내렸어요. 작은평수(32평)이긴하지만 그 때 보다 내렸습니다.
    지금에야 팔자고 해서 부동산에 내 놓은지 2개월정도 되어가는데 집보러 오는 사람이 없습니다.
    지금이라도 시세(부동산사무실에서 말하는 시세) 보다 몇 천 내려서 내놓자 하니 또 밍기적거리네요. 매도 할 생각이 있으면 좀 저렴하게,,, 매입할려면 시세보다 높게 이게 정석인데...
    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2878 오보와 거짓말.. 늙은 잠수부의 눈물 4 열정과냉정 2014/04/23 2,920
372877 분향소 언제까지 운영될까요? 7 질문 2014/04/23 3,913
372876 리얼 미터 너희들 일 똑바로 해라 ***** 2014/04/23 765
372875 허위사실 유포에 관해 항의전화 했습니다. 14 ... 2014/04/23 2,572
372874 박근혜정부는 고유명사다. 띄어쓰지말고 붙여써야 한다 4 참맛 2014/04/23 1,029
372873 일독을 권합니다..."선장 한 명 탓인가, 그래서 세상.. 3 크크씨 2014/04/23 1,070
372872 시사통 김종배입니다(14.4.23pm) - 한 게 뭐있다고 ‘삥.. lowsim.. 2014/04/23 983
372871 같이 분향소 가실분 계신지요? 8 불굴 2014/04/23 1,721
372870 허위사실 유포죄 없다니 안타깝습니다 3 조작국가 2014/04/23 1,001
372869 세월호 침몰했는데, 선박관련 규제 완화하겠다는 정부 10 세우실 2014/04/23 1,122
372868 남편의 문자 27 ... 2014/04/23 16,841
372867 청와대 이정현이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61 울먹 이정현.. 2014/04/23 15,405
372866 법원 “박원순 시장 아들 병역비리 의혹은 명예훼손” 2 /// 2014/04/23 1,102
372865 동생이 폭행당했는데요.. 경찰에 고소할때 궁금합니다. 4 .. 2014/04/23 2,201
372864 민간잠수사 뒤늦게 투입 …특정 업체와 유착 의혹까지 6 참맛 2014/04/23 1,708
372863 '허위사실 유포죄'라는 건 없다고 합니다. 쫄지 맙시다! 14 마음글 2014/04/23 2,369
372862 우리나라 제일 부자는 목사라 하더만 맞았군요 10 rrr 2014/04/23 3,965
372861 에어포켓 확인 못 해 21 ..... 2014/04/23 3,329
372860 [펌] 대한민국호는 이미 침몰 중이었다 2 oops 2014/04/23 1,334
372859 분향소 다녀왔어요 7 아 대한민국.. 2014/04/23 3,469
372858 미국 유학생 병원비 3 노란리본 2014/04/23 2,017
372857 ㅈㅁㅇ 인간의 내사가 반갑지 않은 이유는.. ㅡㅡ 2014/04/23 1,101
372856 이제 관심 끌랍니다 48 체념 2014/04/23 5,265
372855 네이버 화면에는 아무 표시도 없네요. 6 ... 2014/04/23 1,414
372854 합동분향소 문자보내기 쓰는데 20분이 넘게 걸렸네요. 추모객이.... 2014/04/23 1,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