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벌주의, 대학서열화의 필연적 결과인가 / 이범

열정과냉정 조회수 : 1,299
작성일 : 2014-02-20 18:23:08
가을이면 나에게 전화를 걸어오는 학생들이 있다. 
특성화고(실업계고) 또는 마이스터고에 진학하려 하는데, 
엄마가 결사반대하니 엄마를 설득해 달란다. 
몇년 전부터 기업에서 고졸자 채용을 늘리거나 지방대 졸업자 채용을 확대하고 
스펙을 안 보는 ‘열린 채용’을 넓히는 등 의미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삼성의 총장추천제도 실상 이러한 변화와 맥을 같이한다. 
이런 얘기를 학부모들에게 하면 대체로 ‘쇼하고 있네’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기업의 인사·채용 담당자들을 만나보면 무척 진지하다. 쇼가 아닌 것이다.

흔히 학벌주의의 원인으로 대학 서열화를 지목한다. 
하지만 한국의 학벌주의는 한국 대학시스템의 모델이 된 일본이나 미국보다 훨씬 심하다. 
학벌주의를 곧바로 대학 서열화의 결과로 파악하는 환원주의는 
시급히 보완되고 교정되어야 한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라는 용어를 처음 쓴 나라는? 소련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한때 좌익이었을 때 이를 접했을 것이다. 
관료들이 돈과 권한을 틀어쥐고서 어디에 조선소를, 
어디에 비료공장을 세우라고 지휘하는 것은 자유시장경제와 거리가 멀다. 
관료의 힘이 매우 강한 것은 식민통치의 유산이자, 정부 주도형 경제성장의 결과다. 
그런데 우리는 이 관료를 시험을 통해 선발해왔다. 
서구 각국의 공무원 채용이 일반 기업처럼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해 
이뤄지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

우리에게는 ‘정부 주도 성장’과 ‘시험을 통한 관료 선발’이 익숙하지만, 
실은 두 가지 모두 예외적인 현상이다. 
한국의 극단적인 학벌주의는 ‘중첩된 예외’의 결과다. 
대학이 서열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대학입시 성적이 좋은 사람들은 
이른바 ‘스카이’에 모이게 된다. 
대학입시와 고시는 유사한 유형이므로 이들은 고시 합격률이 높다. 
이렇게 고급 관료가 되면 일반적인 자본주의 국가보다 훨씬 막강한 권력을 가지게 된다.

정부 쪽의 학벌주의는 이로써 설명된다. 
그리고 이것이 민간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왜? 정부가 ‘갑’이고 기업이 ‘을’이었으니까. 
정부 주도 성장하에서 기업은 기왕이면 ‘갑’과 친한 사람을 두고 싶어한다. 
대학 동문이 보증수표다. 룸살롱에서 술 따라 드리며 선배님에게 엎어지기도 해야 한다.

고전적인 ‘1차 학벌주의’는 대학 서열화, 정부 주도 성장, 그리고 시험을 통한 관료 선발 등 
세 가지 요인의 합작품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 ‘정부 주도 성장’이 끝났다.
 금융업 정도를 제외하면 더는 정부가 ‘갑’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러니 기업이 굳이 ‘관료들과 친한 사람들’을 포진시킬 이유가 줄어들었다. 
지난해 삼성그룹 사장 승진자 여덟명 가운데 스카이는 단 한 명이다. 
모 그룹 임원진 승진자 명단에 스카이 출신이 몇 퍼센트밖에 안 된다는 소식이 돈다. 
최근 채용 트렌드의 변화도 이러한 정치경제적 변화를 배경으로 한다.

고전적인 ‘1차 학벌주의’는 정부 주도 성장의 종료로 인해 완화되고 있다. 
그런데 청년들에게 이런 얘기를 하면 잘 안 먹힌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변화에 의해 ‘2차 학벌주의’가 심화된 탓이다.
 좋은 일자리를 놓고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구직자의 심리 속에서 ‘좋은 대학 간판’이라도 확보하고 싶은 간절함은 더 강해진 것이다.

학벌주의 강화 신호와 약화 신호가 동시에 들린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서로 다른 차원의 문제다.
 1차 학벌주의는 대학이 평준화되어야만 제어되는 것이 아니다.
 어차피 갈수록 간판과 스펙보다는 역량과 전문성이(구체적으로는 경력과 추천서와 면접이) 
중요해질 것이다. 
하지만 2차 학벌주의는 이와 별도로 좋은 일자리를 늘리고 사회안전망의 수준을 높이는 
사회경제적 개혁을 요구한다.

이범 교육평론가


IP : 221.152.xxx.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6545 본의 아니게 고기집에서 혼술중ㅎㅎ 꿀순이 17:30:33 43
    1746544 사진도 누가 찍어주냐에 따라 차이가 1 17:26:30 80
    1746543 자궁내막조직검사 여쭤요 2 뭉크22 17:21:51 107
    1746542 식전 혈당 120까지는 약 안먹어도 되나요? 3 .. 17:18:11 231
    1746541 성모병원 안과 추천해주세요 ㅇㅇ 17:16:44 149
    1746540 남편 참 얄밉네요 12 ㅇㅇ 17:15:52 529
    1746539 지금 경복궁인데 전광후니가 와있네요 1 ... 17:13:20 565
    1746538 여행으로 급찐살 3키로.. 3 ㅇㅇ 17:12:07 428
    1746537 파스타 정량만 먹는 비결 4 파스타 17:09:40 549
    1746536 책 추천 좀 해주세요. 8 ㄱㄴ 17:03:26 265
    1746535 한국여자들은 남편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안하고 존중이 없다 13 ........ 17:03:16 839
    1746534 칼국수집 겉절이는 집에 가져오면 물이 생겨요. 4 칼국수집 16:56:48 723
    1746533 할머니 유모차/보행보조기 추천해주세요~ 선풍기 16:55:50 76
    1746532 최혜영-그것은 인생 2 뮤직 16:54:42 487
    1746531 종업원이나 청소부에게 꼭 잘해야 인성 좋은 사람일까요? 25 16:50:09 1,405
    1746530 좋은 트리트먼트 추천해주세요. 8 ㆍㆍㆍ 16:50:08 555
    1746529 이 로고 어떠세요? 20 16:42:18 869
    1746528 엄마가 고급 거봉포도라고 몇 개 가지고 오셨는데 4 ........ 16:40:13 1,404
    1746527 친인척 거의 없는데 자식 결혼할때 15 .. 16:37:28 1,758
    1746526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 인근 또 대형 싱크홀…3년 새 15번째 1 또싱크홀 16:35:19 456
    1746525 90년대 중반 홍콩에서 파는 외국화장품들 4 화장품 16:34:52 503
    1746524 1성급 호텔 vs 2성급 무인텔 어디가 나을까요 4 ... 16:33:31 368
    1746523 정경심교수 표창장재판 재심이 불가능한 이유 5 엄상필기억하.. 16:32:10 1,381
    1746522 스위치로 껐다켰다 하면 정말 빨리 고장나나요 5 ........ 16:30:31 849
    1746521 전자렌지고 광파오븐이고 죄다 왜케 못생겼죠ㅜㅜ 5 안이쁘다 16:30:12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