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사 문제, 어떻게 할까요?

데이지 조회수 : 1,961
작성일 : 2014-02-17 19:05:37

현재 시어머니가 건강이 안좋으세요..

저희는 서울이고 시댁은 먼 지방이라 자주 내려가지도 못하구요..

 

시아버지께서 셋째신데 부모님 제사를 지내고 있는 거예요...

첫째이신 큰아버지께서 다른 친척집으로 양자를 가시는 바람에 큰아버님(남편의)이 두 집 제사를 다 지내시다 큰어머니가 돌아가셨어요.. 그 후 그 집 장남이 제사가 너무 많다고 안 지내려고 하니까  저희 시아버지가 가지고 오신거예요..

제가  결혼하기 직전 무렵이죠..

 

그런데 이제 본인(제 시어머님)이 건강이 안 좋아지시니까 어쩔까 하시는 거예요..

얼마 전 둘째 집안( 시아버지의 바로 위) 의 장남에게 가져가라고 말씀하시니 아무 대답도 안하더라면서 절에 돈을 주고 맡길까 하시더라구요..

제 생각엔 그 쪽도 안 지내다가 갑자기 그런 말을 들으면 당황스러울 거 같아요..

 

이런 경우 저희가 계속 지내는 게 맞는 건가요?  제가 그런 법도(?)를 잘 모르기도 하구요..어차피 장남이라 부모 제사는 지내야 하는데 그냥 명절에 같이 지내는 걸로 하면 안되는 건지...기제사를 꼭 지내야 하는 건지 알고 싶어요...

굳이 안 받고 싶다 이런 맘은 없구요...

저야 자식한테는 안 물려 줄 생각이지만 저희까진 할 생각이거든요..

 

제가 알고 싶은 건 제가 받는 게 법도에 틀리는 건 없는지,,지낸다면 간략하게 지낼 방법은 무엇인지,, 두가지예요...

제사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P : 222.117.xxx.198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참에
    '14.2.17 7:12 PM (223.62.xxx.123)

    아버님 말씀대로 절에 올리세요.
    지금 절에 올리나 나중에 올리나 저같으면 지금 절에 올리겠어요

  • 2. oops
    '14.2.17 7:13 PM (121.175.xxx.80)

    제사예법은 집안마다 전통마다 조금씩 다 달라요.
    그래서 남의 집 제사에 밤놔라 대추놔라~~ 간섭하지 말라는 속담도 있잖아요.
    그동안 이어온 집안분위기에 무리없게, 기족들간에 서로 속 상하지 않게.... 그러면 좋은거죠.

    어쨌든 원글님 마음 씀씀이 아름답네요.^^

  • 3. ...
    '14.2.17 7:22 PM (121.181.xxx.223)

    절에 맡기면 되겠네요뭐,...

  • 4. 절에 맡기는것도
    '14.2.17 7:23 PM (180.65.xxx.29)

    금액 생각 하면 마음 변할겁니다

  • 5. ㅇㅇㅇ
    '14.2.17 7:24 PM (115.140.xxx.74)

    절에 맡기는거 비싸다고해요.

    간단히 지내자면..
    부모님제사는 한날로 합치고
    음식은 간단히 과일몇가지 전은한접시사구요
    떡 식혜도 사구요
    나물정도하세요.

    님 가족만 모여하세요

  • 6. 고쳐요 ㅎㅎ
    '14.2.17 7:30 PM (115.140.xxx.74)

    부모님의 부모님제사군요.
    손님만 아니면 제사 그리 안힘들어요

  • 7. 대한민국당원
    '14.2.17 7:38 PM (222.233.xxx.100)

    절에서 설, 추석 단체로 지내면 보통 10만 원 듭니다. 싸죠(?) 개인적으로 지내시면 집에서 준비하는 것 더하기 2~30. 음식값에 준비해주신 분 노동력 + 스님 시간. (여러군데 조사;;;)
    도움 안되는 제사를 지내느니 반야심경 한편, 3편, 7편? 읽어드리거나 금강경 한번 독경이 망자에게 도움이 크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9536 샐러리가 짜요. 8 왜짤까 2014/03/12 4,130
359535 일산 잘 아시는 분, 일산역과 탄현역 아파트 문의드려요. 10 아줌마 2014/03/12 3,968
359534 뉴스타파에서도 드디어 스토리파이를 사용하기 시작했네요... 2 dbrud 2014/03/12 662
359533 냄비에 밥할때 물 양 어떻게 잡아요? 2 궁금궁금 2014/03/12 1,366
359532 서울교대부초와 사립초등학교 8 궁금이 2014/03/12 6,567
359531 앤클라인 원피스 155/47이면 0사이즈 입어야 하나요? 2 몸이짧고굵어.. 2014/03/12 840
359530 세결여질문요 7 rrr 2014/03/12 1,623
359529 어떻게 해야 맛있게 무칠까요? 1 부지갱이나물.. 2014/03/12 673
359528 저녁으로 곱창볶음 하려고 하는데요 1 곱창 2014/03/12 681
359527 교과서 대신 집에서 복습할수있는 참고서요.. 초1엄마 2014/03/12 326
359526 조합원님 듣기가 싫어요 25 한살림 2014/03/12 3,276
359525 원목 수납장식장 추천좀 부탁드려요 2 2014/03/12 763
359524 미역국도 멸치육수로 끓이면 더 맛있나요? 11 국이나끓이자.. 2014/03/12 7,583
359523 병원비 보험금 청구 어떻게 하세요?? 2 ... 2014/03/12 857
359522 led티비 받침대 어떤걸로 쓰세요? 2014/03/12 668
359521 육개장 맛있게 끓이는 비법 있으세요? 9 육개장 2014/03/12 2,343
359520 조치원 죽림 자이 아시는분 계세요? 살기 어떤지... ... 2014/03/12 1,615
359519 물렁물렁한 고구마 삶아 먹을수 있나요? 2 ㄹㅎㄹㄹㄹㅎ.. 2014/03/12 1,159
359518 생리가 늦어지는이유가 머있을까요 6 ㄴㄴ 2014/03/12 2,154
359517 맏이보다는 둘째나 막내가 14 2014/03/12 3,773
359516 여행사분들 이런 패키지 만들어주세요~~~ 8 제안 2014/03/12 1,997
359515 동성고는 어떤 학교인가요 4 2014/03/12 1,488
359514 방문선생님들 드실 차나 음료수 어떤걸 준비하는게 나을까요? 8 매번신경쓰여.. 2014/03/12 1,455
359513 영어 발음 좀 가르쳐주세요. 3 ... 2014/03/12 611
359512 연필 잡는 법, 젓가락질 하는 법 가르쳐야 되는데.. 6 .... 2014/03/12 1,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