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직도 자고있는 중 고딩..

이상한 엄마 조회수 : 3,044
작성일 : 2014-01-17 10:03:39

제가 아침잠이 많아요..

하지만 남편 출근하니 일어나지요.. 일찍도 아님...창피해서 몇시인지 말 못해요..

중 고딩 딸 아들 아직도 자고있네요..ㅋㅋ

근데 제가 저 달고 달은 아침잠의 맛을 알기 때문에 안 깨워요..

저도 너무 편하네요..방학중에 간만에 저만의 시간...

항상 전 잠만 생각하는 거 같아요.. 자는 시간이 제일 행복하거든요.

죽는게 나을까요?

일상생활 아주 못하는 건 아니지만...자는시간이 제일 좋아요..

병일까요?

IP : 175.116.xxx.60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4.1.17 10:08 AM (122.100.xxx.71)

    제가 예전에 아침잠 많았기에 별 일 없으면 늦게까지 자게 둬요.
    지금도 중딩 아들 자고 있어요.
    10시 30분쯤 깨우려구요.
    너무 아둥바둥 안살려구요.

  • 2. 헐!
    '14.1.17 10:14 AM (180.70.xxx.72)

    제가 쓴글같아요
    저도 어릴때부터 자는게 제일 좋았어요
    오죽하면 언니가 공부안한다고 혼내면
    잠든다음 죽이라고 ㅋ
    정말 님과 똑같아요
    어디가서 챙피해서 말도못해요
    사는게 귀찮타고말하기ㅠㅠ

  • 3. 진홍주
    '14.1.17 10:17 AM (221.154.xxx.179)

    저도 아침잠 많아요.....딸 때문에 일찍 일어나서 죽을맛이예요

    아들은 지금도 자고 있고요.,...전 절대로 안 깨워요...애들이 미리
    몇시에 깨워달라고 부탁을 하면 깨워줄까....아들 한 12시쯤 일어나요

    방학때라도 푹 자야지 언제 자겠어요

  • 4. 늦잠
    '14.1.17 10:18 AM (175.200.xxx.70)

    정신 건강에 좋다고 하네요.
    특히나 성장기 시절 학교 안가도 되는 그 편안함..
    우리도 다 경험들 있잖아요.
    저 역시 그때가 제일 행복..ㅎㅎ
    공휴일과 방학 땐 애들도 좀 푹 쉬게 해주는 게 맞아요.
    초딩 아들은 컴퓨터 수업이 열시부터 있어 아침마다 매일 가는데 안쓰러워 담부턴 하지마라고 했네요.

  • 5. 웃자
    '14.1.17 10:20 AM (222.238.xxx.62)

    여기 안깨우면 못일어나는 고3아들 지금쿨쿨잘자고있습니다
    선생님들 워크샵이라서 오늘 부터 3일쉬는데 안깨우면 해가지천입니다
    어젯밤 밤새워서 공부했냐?
    아닙니다
    도닦는마음므로 살고있는 엄마입니다 ㅠㅠ
    안깨우면 세상모르게 쳐 잡니다
    우리집 고3은 고3도아닙니다
    오늘도 눈뜨기시작하면 제가사리를 무한정 쏟을거같습니다
    그래도 자는모습은
    이세상어디에도없는 사랑스런모습니다
    그래서 쳐자게 내비둡니다
    아이구 속텨져~

  • 6. 저도 그래요
    '14.1.17 10:23 AM (115.137.xxx.12)

    방학이나 휴일엔 안깨워요.
    학교 갈 땐 아이들 스스로 알아서 일어나서 준비 잘 하거든요.
    방학때만이라도 그 늦잠의 그 꿀맛을 만끽하라구요.
    그래봤자 격일로 학원을 일찍 가야 해서 며칠 되지도 않더라구요.

  • 7. 모니카언니
    '14.1.17 10:24 AM (202.30.xxx.23)

    중딩 딸들.... 아직까지 잘고 있네요.
    방학에만 누릴수 있는 행복 아닐까요...

  • 8. 성장기
    '14.1.17 10:30 AM (116.39.xxx.87)

    아이들은 무조건 많이 재우라고 했어요
    밤에 초롱초롱 낮에 쏟아지는 잠...성장기 때는 당연하다고 하네요
    하물면 밤에도 잘잔다고 있다면 아침에 깨울 필요없으거에요
    자면서 큰다고 하잖아요

  • 9. ㅋㅋ
    '14.1.17 10:40 AM (39.120.xxx.67)

    이게 참 생활습관도 유전이더라구요.
    저도 아침잠 많은 스타일인데 첫애가 저랑 닮았고
    둘째는 지아부지 닮아서 새벽에 일어나 둘이 아침먹고 운동가고 그래요.

    첨엔 애들습관때문에 저도 노력했는데... 각자 액기스낼 수 있는 시간대에 활동하는게 나은게 아닌가 혼자 합리화 시키고 있답니다.

  • 10. 행복한 늦잠...
    '14.1.17 10:50 AM (222.236.xxx.6)

    학교다닐땐 지 혼자 알아서 일어나 밥먹고 가는

    효자에요...

    중2올라가는데 방학땐 지맘데로 자게 냅둬요~^^

  • 11. 총량
    '14.1.17 11:10 AM (220.76.xxx.244)

    아침잠이 많은건 늦게 자기때문아닐까요?
    저도 평생 아침잠이 많다고 생각했어요.
    일단 체력약하고 잠이 남보다 많은건 분명하구요.
    그래도 일찍일어나려면
    일찍자는게 답이더라구요.
    이제는 일찍자게되면 정말 일찍 일어나요.
    울아들도 주말엔 12-3시간씩 잡니다.
    밤 12시에 자서 다음날 낮 3-4시에 일어난 적도 있어요.
    그전날 공부해서..운동해서... 아닙니다. 그냥 그래요

  • 12. 성장기때
    '14.1.17 11:12 AM (202.30.xxx.226)

    신생아보다 더 잠이 많다고 들었어요.

    그때 쑥쑥 크고요.

    늦게 일어나 아침을 먹고 늦게 점심을 먹고 늦게 저녁을 먹어도..자기전에 배고파서 또 야식을 배불리 먹고 ..

    방학때는..아들 둘이서 4식을 하네요.

  • 13. ...
    '14.1.17 12:08 PM (118.221.xxx.32)

    여기도 있어요
    저는 아침부터 공부방 난방 켜놓고 준비하고 있는데...애는 자고

  • 14. 그니까요
    '14.1.17 2:44 PM (164.124.xxx.147)

    방학, 주말에나 늦잠 실컷 자지 언제 자겠나 싶어 그냥 자게 둬요.
    밤에 늦게 자서 그런다고 일찍 재우라고 주위에서 잔소리 같은 말 들어도 그러려니 넘겨요.
    저도 밤에 놀다 늦게 자는 그 자유를 좋아하는데 애라고 다를까 싶어서요.
    금요일 밤에는 세식구가 다 12시 넘어서까지 좋아하는거 하다가 1시 다 돼서 자는 것 같아요.
    내일은 토요일이야, 실컷 자야지, 이런 흐뭇한 마음으로.
    저도 결혼전엔 잠 정말 많아서 늦잠, 낮잠 자는 게 큰 낙이었는데 애 낳아 키우고 나이 들면서 단련이 됐는지 주말에도 9시 전에 눈이 떠지네요.
    남편은 제가 본 중 최고의 잠쟁이라 아무 스케줄 없는 날에 24시간중 20시간을 자요.
    일요일엔 제가 아이 스케이트 레슨을 데리고 나가기 때문에 집에 혼자 있거든요.
    근데 더 대단한건 토요일에도 저랑 아이가 나가고 없는 날엔 이틀 내내 하루 20시간씩 자요. ㅠ.ㅠ
    자긴 나이 빨리 먹고 싶대요. 빨리 퇴직하고 잠 좀 실컷 자고 싶다고.
    그렇게 자면서도 잠이 모자르나봐요.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7036 롱샴 가방 이상하게 싸게 파는 쇼핑몰이 있어요. 7 롱샴 가방... 2014/01/27 3,892
347035 현관문옆 짜장면 그릇이 없어졌어요. 2 황당 2014/01/27 1,749
347034 CGV, 영화 '변호인' LA 상영 취소 ”이미 불법 유출된 영.. 1 세우실 2014/01/27 1,225
347033 보관이 쉬운 라텍스매트 추천 부탁드려요.. 질문 2014/01/27 982
347032 '응사' 김성균 "도희와 키스신, 혀쓰면 죽인다고&qu.. 1 재밌네 2014/01/27 3,208
347031 [원전]고이데 "도쿄 일부 피폭…일본 여행 자제를&qu.. 참맛 2014/01/27 1,811
347030 저렴하지만 좋은 스텐냄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3중? 5중.. 2014/01/27 7,631
347029 왕가네 대본 보고 게거품 물었음 ㅠㅠ 31 이로 2014/01/27 11,309
347028 골목길주차된 제차가 긁혔을때 저도 보험접수해야해요? 1 땅지맘 2014/01/27 2,284
347027 집착 갱스브르 2014/01/27 765
347026 장애인증명서 5 .. 2014/01/27 1,343
347025 건강을 위해 실내에서 운동화를 신으세요. 11 현수기 2014/01/27 4,488
347024 명절에 푹.. 빠져서 읽을 책들 좀 추천해주세요. 1 2014/01/27 942
347023 무선 공유기에 대해서 여쭤 봅니다. 2 .. 2014/01/27 1,149
347022 11번가 얘네 웃기네요 6 기도안차 2014/01/27 2,214
347021 잊히지 않는다.. 이런 표현 원래 있었나요? 4 국어 2014/01/27 3,062
347020 영화 올란도를 봤는데, 뭐를 말하고 싶어하는지 모르겠어요.. 8 어제 2014/01/27 2,131
347019 시모 용돈에 대한 답글들 보고 놀랬네요 49 믿을 건 나.. 2014/01/27 9,245
347018 시댁에 가져갈 요리 뭐가 좋을까요? 6 2014/01/27 1,622
347017 위안부 피해 황금자 할머니 별세..생존자 55명 1 세우실 2014/01/27 1,158
347016 전지현도 얼굴살이 하나도 없네요 13 전지현 2014/01/27 7,432
347015 대학병원에서 진료기록을 떼면 담당의사가 알게되나요? 4 ㅜㅜ 2014/01/27 2,146
347014 미국에서 겨울동안 학교 다니는것 어떻게 하는건가요? 4 여행과 공부.. 2014/01/27 1,286
347013 이과 논술 준비 질문요 5 .. 2014/01/27 1,444
347012 영화 ‘변호인’ 죽은 노무현을 소환하다. 1 light7.. 2014/01/27 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