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계 빚 1천조 시대..'한국경제 최대 뇌관'

열정과냉정 조회수 : 1,438
작성일 : 2014-01-07 15:01:54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40107120208088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가계부채의 증가는 소비 여력을 위축시켜 이제 막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려는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 경제의 최대 뇌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특히 소득 증가가 따라주지 못하면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한계에 몰린 중산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가계부채 1천조원…부동산 대책도 가속화 요인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작년 11월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상호금융 등)의 가계대출 잔액은 681조1천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5조원이 늘었다.

전월 4조원이 증가한 만큼 두달새 9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앞서 작년 9월말 현재 가계신용은 991조7천억원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은 국내 가계부채의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통계로, 예금취급기관과 함께 보험사, 연기금, 대부사업자, 공적금융기관 등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과 함께 판매신용까지 포괄해 분기별로 산출된다.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의 증가분만 더해도 이미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2004년 말 가계부채가 494조2천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8년여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가계가 쓸 돈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부채는 정부의 4·1 부동산대책, 8·28 전월세 대책 등 정부 대책이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작년 6월 말 취득세 감면혜택 종료에 앞서 주택대출이 늘면서 지난 2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6조5천억원에 달했다.

작년 12월에는 4·1부동산 대책의 세제혜택 '막달효과'로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인 2조5천억원 넘게 집행되기도 했다.

◇증가 속도 가팔라…"중산층 줄어들 수도"

가계 부채의 1천조원 돌파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도 느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이 자체로 문제시할 수는 없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개인 가처분 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한국은행은 작년 6월말 기준으로는 이 수치가 137%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이 지표는 2003년에는 107%였으나 카드 사태의 여진이 수그러들면서 2004년 103%로 떨어지고서 그 이후에는 주택담보 대출과 가처분 소득 증가의 둔화 등 요인 때문에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상승했다.

한은도 가계부채의 증가속도에 대해서는 위험수위라고 보고 있다.

한은은 작년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국감 자료에서 "가계부채 증가율이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웃도는 점은 안정적 거시경제 운영의 잠재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비은행 가계대출·자영업자·다중채무자 등 특정 부문은 가계부채에 특별히 취약한 상황이다.

자영업자를 보면 1인당 대출이 지난해 3월 말 평균 1억2천만원으로, 임금근로자 1인당 대출(4천만원)의 3배에 달했으며 이들의 빚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잠재 위험 부채'는 60조7천억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를 넘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당수가 중산층인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않아 연체에 몰리게 되면 중산층 몰락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 1월 중 가계부채 대책 발표…전문가 "쉽지 않을 듯"

정부는 1월 중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리스크에 대응할 계획이다.

주택금융공사·국민주택기금의 장기모기지 공급을 29조원으로 확대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의 장기·분할상환 방식 전환을 촉진하는 한편 제2금융권 대출건전성 규제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가계부채에 대한 관리를 세게 하면 내수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다소 의견이 엇갈린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이제는 가계부채를 최소한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적으로 내수 진작의 필요성이 있더라도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가계부채가 늘면 소비를 제약하기 마련"이라며 과감한 성장 정책 등을 통해 가계 스스로 빚을 갚을 수 있는 자생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대책은 어차피 중장기적인 접근이 될 수밖에 없다"며 "해결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IP : 222.97.xxx.74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7 3:11 PM (222.97.xxx.74)

    가계빚으로 나라 경제를 떠받치고 있군요.

  • 2. 6년새에
    '14.1.7 3:17 PM (124.50.xxx.131)

    보수정권이 바뀌면서 나라가 주안층이 거덜 나는군요.
    이걸 감추고 박은 4만불운운하고 ...
    그들이 뇌까리는 잃어버린 10년이 그립네요.
    이걸 또 뭘로 감축로 감출까요?? 언젠간 도 꽝 터지겠지만..
    경재 콘트롤타워도 없고 현오석도 뭔가 모르는 눈치던데.. 능력은 더더욱 없고...
    법인카드로 개인용돈으로 쓴 위인이 뭘 할까마는...
    이게 나만 빚없고 살만하다고 괜찮은 문제가 아닌데..기업들 쓰러지고 소비 감소 하고
    일저리 줄어들고 실업늘고...또한번의 위기가 닥칠 예정인가요??
    이지 많은 일자리를 보유했었던 업종인 건설이 무너지고 있어서 실업률은
    엄청 늘어나고 있는데..정확한 통계발표는 안하죠.

  • 3. 지나가다
    '14.1.7 3:21 PM (218.50.xxx.134)

    개인적으로 지금 전세가나 매매가가 고공행진을 할 수 없으리라 보는 이유 중 하나죠.
    가계부채만 1000조 자영업자 대출 500조에... 기업이며 지자체며 다 빚 투성인데...
    거기에 해마다 갚아야할 이자는 늘어나고...
    사람들이 부동산에 돈을 너무 많이 가져다 부어서
    다른 데 쓸 돈이 거의 없어서 지금의 불황이 생긴건데
    거기다가 대고 계속 집 사라 부채질 하고 있으니
    어떻게 보면 정부가 불황을 더 가속화 하고 있죠.
    파티 끝날 시간은 다가오는데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즐겨라 하고 앉아 있으니...
    자기 임기내에만 안 터지면 된다고 방관하고...
    아주 무책임하고 무능한 정부입니다.

  • 4. 변호인
    '14.1.7 3:24 PM (211.171.xxx.129)

    여성 대통령시대 제 2의 IMF가 아니 더 큰 Perfect Storm 이 오고 있죠, 가계빚 남편들이 철야해서 벌어도 왜 1천조를 넘을까요? 누가 그 빚을 갚을수 있나요? 누군가 더 벌어 그 빚을 줄일 생각을 왜 안하는 걸까요?
    오늘도 김진표만 씹고 있으면 가정에 돈이 벌어지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0849 혹시....아시는 분 계실까요? 3 걱정 2014/01/07 1,312
340848 스터디 멤버가요... 13 ... 2014/01/07 2,710
340847 빵순이 연아의 모든 것~! 2 빵집사장 2014/01/07 3,231
340846 자연산 굴과 양식산 굴은 영양가가 차이 많이 나나요? 10 랭면육수 2014/01/07 2,719
340845 50대중반 엄마가 쓰실만한 립글로스 / 지갑 있을까요? 4 애플노트 2014/01/07 2,248
340844 급히 여쭤봅니다 1 국제배송 2014/01/07 1,132
340843 파출부아줌마를 어찌 부르면 되나요...? 7 ... 2014/01/07 3,351
340842 죽시나게 란 말 처음 들었어요 6 궁금 2014/01/07 1,333
340841 월포드 스타킹, 정말 오래 신을까요? 4 40대 2014/01/07 4,372
340840 소통개념부터 다른 박근혜정부 2년차도 험한길예고 집배원 2014/01/07 1,488
340839 이직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4 고민중 2014/01/07 1,556
340838 어른들 여름옷 파는 사이트 어디 있을까요? 4 2014/01/07 2,047
340837 연아랑 아사다 실력차이 잘 모르겠다는분들 이거보심 확연히 아실듯.. 9 ..... 2014/01/07 3,584
340836 고추장 굴비 어떤가요? 4 굴비 2014/01/07 1,712
340835 5살 아이가 기침을 계속하네요. 6 기침 2014/01/07 1,931
340834 과외샘 오실때, 인사 어떻게...? 6 함께해요 2014/01/07 1,701
340833 합격 기원해 주세요 4 합격!! 2014/01/07 1,719
340832 난방하는 계절에 아파트 욕실문 닫아 놓고 사시나요? 28 ㅠㅠ 2014/01/07 9,008
340831 저 지난주 꽃누나 이 장면만 무한 돌려보고 있어요.^^ 10 꽃누나 승기.. 2014/01/07 5,105
340830 아이 이름 개명하려는데 이름 지어주세요 10 도와주세요 2014/01/07 1,847
340829 예비 대학생들 요즘 뭐하고 지내나요? 7 예비대학생 2014/01/07 1,821
340828 두통을 줄이고 싶다면, 머리를 시원하게 하자 스윗길 2014/01/07 2,367
340827 시 좋아하시는 분들 ㅎㅎ 2014/01/07 767
340826 딸의부탁 3 ,,,,, 2014/01/07 2,141
340825 조카가 스페인 마드리드가 도착할 예정인데 스테이할 곳 있을까요 5 급해요 2014/01/07 1,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