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난한 사람에게 조건 없이 돈을 나눠주는 것은 어리석은 정책일까요?

... 조회수 : 826
작성일 : 2013-12-24 22:52:09

가난한 사람들에게 직접 현금을 나눠주는 것이 오히려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도록 돕는다고 하는 좋은 글이네요. 어쩌면 교육이니 하면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너무 먼 미래를 보장하면, 희망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버나드 오몬디(Bernard Omondi) 씨는 케냐의 시골 지역인 시아야(Siaya)에 살고 있습니다. 일감을 찾는 날이면 그는 하루에 2달러를 법니다. 그러던 지난해 어느날, 그는 특이한 문자 메시지를 받게 됩니다. 아무런 조건 없이 500달러를 주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한 번도 본적 없는 사람들이 와서 자신들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돈을 주는 “ GiveDirectly “라는 자선 단체에서 일을 하고 있다고 소개한 이들은 케냐에서도 가장 가난한 지역인 이 마을 주민들이 연간 1,000달러를 아무런 조건 없이 받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처음에 동네 사람들은 케냐 정치인들이 표를 매수하려는 수작이거나, 어떤 속임수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가난한 사람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돈을 나눠주는 것은 농업기술 교육이나 의료 지원과 같은 방법에 비해 흔하게 쓰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정부와 자선 사업가들은 지금 당장의 필요를 충족하기보다 장기적으로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습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가난한 사람들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정책이 종종 쓰였습니다. 1990년 중반 멕시코의 경제위기 이후 경제학자 산티아고 레비(Santiago Levy)는 우유나 또띠야와 같은 제품에 대한 식품 보조금을 없애고 극빈층에게 직접 현금을 주는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현금을 받은 사람들은 대신 자녀들을 반드시 학교에 보내고,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받아야만 했습니다. 내각 관료들은 사람들이 현금으로 생필품 대신 술과 담배를 사지는 않을까 걱정했습니다. 돈을 두고서 가족 간에 다툼이 일어날 거란 우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레비는 직접 현금을 받은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소비 행태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 결과  현금을 받은 지역의 어린이들의 학교 등록율이 더 높았고, 그 지역 주민들의 건강 상태도 더 좋았습니다. 우려와 달리 사람들은 담배나 술을 사는 데 돈을 쓰지 않았고, 받은 돈으로 투자를 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오늘날 6백만 명 이상의 멕시코 사람들이 현금 보조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멕시코와 비슷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나라는 12곳 정도 있습니다. 멕시코의 사례는 개발경제학을 연구하는 하버드와 MIT의 대학원생들이 GiveDirectly라는 단체를 만드는데 영감 을 주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핸드폰을 통해서 돈을 보내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는 케냐에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조건 없이 현금을 주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험의 최종 결과는 올해 말 즈음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GiveDirectly가 시아야 지역에 현금을 제공하고 몇 달 뒤 저는 그 동네를 관찰했습니다. 받은 돈을 술을 마시는 데 쓰거나 다음 번 현금 지급만을 기다리고 앉아 있는 사람을 찾기란 어려웠습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웃들이 받은 돈을 어떻게 썼는지에 대해서 가십성 이야기를 하긴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받은 돈을 생산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몇 달마다 새로 짜야하는 초가 지붕을 10년은 거뜬히 견디는 금속제 지붕으로 바꾸기도 하고, 중고 오토바이를 사서 사람들을 실어나르고 요금을 받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매일 일을 하는 오몬디 씨는 현재 하루에 6~9달러를 벌고 있습니다. 오몬디 씨의 이웃들도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서 받은 돈을 쓰고 있었습니다. 물론 여전히 이 마을의 사람들은 전기와 수도 등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 사람들이 중산층으로 도약하는 데는 여전히 수많은 장애물이 도사리고 있을 겁니다.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려 해도 미숙한 금융 제도가 발목을 잡고, 열악한 사회기반 시설은 큰 걸림돌입니다. 하지만 이들이 중산층으로 나아가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그들은 과거보다 덜 가난한 상태입니다. GiveDirectly의 시도는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아이디어, 즉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있고 돈을 가지게 되면 필요한 것을 구매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현금을 주는 것은 어쩌면 농사에 필요한 소나 의료 지원, 혹은 교육이나 기술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방법일지 모릅니다. GiveDirectly의 공동 설립자 마이클 페이에(Michael Faye)는 말합니다. “사실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이 뭘 원하는지를 정확히 모르지 않나요?” (NYT)

원문보기

http://newspeppermint.com/2013/08/18/%EA%B0%80%EB%82%9C%ED%95%9C-%EC%82%AC%EB...

IP : 128.103.xxx.140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3.12.25 4:28 AM (59.25.xxx.223)

    이런 비슷한 얘길 어느 교수님한테 들었어요
    부자들은 돈이 주머니에 들어가면 안 나오지만 서민들은 돈을 직접 주면 생필품을 사든 어쟀든
    소비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제활성화를 위해선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푸는게 좋다란 말...

  • 2. 웬지
    '13.12.25 6:02 PM (118.44.xxx.4)

    기본 소득 개념과 비슷한 일면이 있어보이는 얘기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3053 친구가보험회사 다니는데 시험봐달라고 2 보험 2014/01/20 1,050
343052 연말정산 급합니다 도와주세요 5 세금 2014/01/20 1,018
343051 해외직구시 결제 잘되는카드가 있나요? 3 쿠베린 2014/01/20 1,211
343050 늙은호박 요리..질문 1 궁금해요 2014/01/20 1,378
343049 노트북빌려주고 와이파이되는 까페있나요 2 랭면육수 2014/01/20 644
343048 제주도 3박4일 여행가려는데요 여행코스 추천해주셔요~ 2 II코코맘I.. 2014/01/20 1,840
343047 호주오픈 나달 vs 니시코리 경기중 7 멜빈 2014/01/20 874
343046 명품샵에서 구입한뒤 원래 환불이 안되나요? 궁금 2014/01/20 521
343045 체중계 좀 추천해줘요 2 체중 2014/01/20 977
343044 편의점서 공과금 납부 잘 아시는 분~^^ hey 2014/01/20 1,830
343043 법륜스님과 여자의 인생(?)- 희생의 당연함? 현명한 답변주세요.. 29 궁금 2014/01/20 4,878
343042 대구에 아이들(초저, 고학년) 옷 살 곳 어디있나요? 2 설선물 2014/01/20 624
343041 연말정산문의요 1 선우맘 2014/01/20 536
343040 대중탕에서 이런분들 어떠세요? 8 높은산 2014/01/20 1,624
343039 벨 한번 누르고 현관문 두드리는 사람 3 미춰어 버리.. 2014/01/20 1,639
343038 변호인 실제 사건 피해자들 내일 노대통령 묘역 참배 2 울컥 2014/01/20 1,144
343037 카스에서 쪽지보내기 2 제발~~ 2014/01/20 1,228
343036 이혼준비 재산분할 지니 2014/01/20 1,307
343035 된장구입하려는데요 수녀원된장 이나 진배기된장등 어떤가요? 1 된장 2014/01/20 2,166
343034 뉴욕타임즈에 보낸 '한국인들의 입장' 손전등 2014/01/20 615
343033 화장실에 담배피는 아랫집땜에 ㅠㅠ 4 Drim 2014/01/20 1,127
343032 샌프란시스코 산호세 사립초등학교 알수있는 방법은요? 3 어머나 2014/01/20 2,400
343031 옆집 피아노소리 미치겠어요 6 제발~ 2014/01/20 3,985
343030 죽전 vs 수지 이사고민 7 초등예비생맘.. 2014/01/20 3,637
343029 이번 금융사 정보 누출로 스팸전화는 거의 사라질것 같아요 아마 2014/01/20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