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일본과 중국은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나요?

루비 조회수 : 4,192
작성일 : 2013-12-24 22:31:00
가끔 영화보면 손잡이가 짧은 숟가락을 간혹 봤는데‥
주로 그릇을 들고 마시는걸 많이봤습니다‥
일본여행때 한국처럼 숟가락 사용한기억 있어요‥

우리나라는 국을 손에 들고 마시지는 않고
주로 숟가락 사용하잖아요

한·중·일 식습관에 대해서 아시는분‥
82는 해박하신분들 많아서 여쭙니다‥
우리나라는 ·중·일과 좀 다른데‥
젓가락 길이도 다르고· 재질도 다르고 ·
왜? 그런 걸까요?
IP : 112.152.xxx.8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안나파체스
    '13.12.24 10:48 PM (49.143.xxx.24)

    숟가락이 없어서 일본은 밥 흘릴까봐 그릇들을 들고 먹는 거죠.
    중국은 튀김류의 음식이 많아서 긴 젓가락을 사용해서 먹고 숟가락은 국물 음식에 국물 맛보는 정도만 쓴다네요. 숟가락은 영리한 우리 조상의 발명품이라고 예전에 다큐에서 본 적이 있어요.

  • 2. 루비
    '13.12.24 10:54 PM (112.152.xxx.82)

    그렇군요‥감사드림니다 ~
    우리나라에 철이 많아서 철로 숟가락·젓가락 만든거겠죠? 숟가락·젓가락 함께 사용하는건 우리나라만의 문화인가요?

  • 3. 빵~
    '13.12.24 10:56 PM (182.229.xxx.196)

    숟가락 문화는 중국으로부터 넘어왔습니다. 명나라때까지 같이 사용을 했었죠.
    중국은 북방은 면요리, 남방은 쌀요리입니다. 당연 면은 젓가락만 있어도 되죠. 쌀요리는 쌀만으로 부족해서 채소 볶음요리 몇개, 탕으로 구성되어 숟가락을 같이 사용합니다. 오로지 탕용(탕숟가락)이죠. 그리고 중국요리는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요리라 숟가락으로 밥을 퍼먹으면 뜨겁습니다. 그래서 젓가락으로 먹었던 것이죠.
    일본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같이 사용했습니다. 나무가 발달해서 나무젓가락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그라고 오래전 부터 일본은 찰기가 있는 자포니카 계열의 쌀을 사용해서 숟가락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상도 사용하지 않아서 밥그릇을 손에 들고 사용했고요. 우리 나라는 국물음식이 발달해서 숟가락과 젓가락 동시에 발달했습니다. 세 나라가 각 나라 실정에 맞게 음식문화가 바뀌면서 그에 맞게 정착이 된 것입니다. 더 궁금하시면 주영하씨가 지은 음식인문학이라는 책에 보시면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 4. 루비
    '13.12.24 11:02 PM (112.152.xxx.82)

    드림ㅡ드립
    네~감사드립니다 ‥^^
    주영하 음식인문학 꼭보겠습니다 ‥

    우리나라는 밥그릇을 들고 먹지않잖아요 ‥
    그이유도 책에 있겠죠?
    중국·일본 제사음식도 비슷 한지 무척 궁금합니다 ‥
    제례도 중국에서 전파해온 방식인지요? ^^
    책 볼께요~감사드려요

  • 5. 딴소리
    '13.12.24 11:03 PM (117.111.xxx.133)

    중국가서 컵라면을 사고 젓가락달라고 영어로 했다가
    손짓발짓 했다가 아무리해도 없다는거예요.
    자꾸 컵라면만 가르키며 뭐라뭐라 하더니
    포기하고 호텔와서 뜯어보니 컵라면 안에 이쑤시게 수준의 젓가락이 들어있더라구요.
    좀 된 얘기라 달라졌으려나요?
    혹시나 중국가시면 참고하세요.

  • 6.
    '13.12.24 11:05 PM (59.187.xxx.56)

    중국은 수저 같이 씁니다.
    싼 로컬 음식점 가도 포장된 일회용 수저줍니다.
    그냥 쓰고 버리는 것도 많지만, 세척된 수저를 비닐포장해 주기도 하고요.

    단, 쇠숟가락은 본 적이 없습니다.
    스텐 젓가락은 드물게 봤지만요.

  • 7. 주디
    '13.12.24 11:06 PM (118.42.xxx.239)

    방금 찾아보니 7000년전 중국 허모도 유적지에서 뼈로 된 수저가 발견됐다니 우리나라에서 발명된건 아닌듯요.이원복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 한국편에 수저관련 삼국비교가 나와요.
    읽어보세요~

  • 8. 태양의빛
    '13.12.24 11:10 PM (121.222.xxx.85)

    일본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타코라이스, 규동 등을 먹을 때 스푼을 비치해 두는 음식점들도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이 한류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스푼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더군요. 그리고 돌솥 비빔밥 (토핑 종류가 한국보다 다양합니다.)은 한국 숫가락이 나오고, 중국식 볶음밥을 먹을 때 스푼 혹은 렌게가 나오기도 합니다. 라면, 나베 종류는 렌게라는 중국 스푼을 사용합니다. 밥 먹을 때 숫가락을 쓰지 않으니 편리하기는 하지만, 멜론이나 푸딩 등 용도에 맞는 스푼이 있어서 그럴 때는 그런 스푼으로 먹습니다.

  • 9. .....
    '13.12.24 11:20 PM (1.251.xxx.92)

    일본에서 카레라이스 먹을때 유일하게 렝게(짧은 국물용 숟가락) 쓴다고 들은것 같아요.

  • 10. 태양의빛
    '13.12.24 11:29 PM (121.222.xxx.85)

    글과 관련 없는 뻘글이지만 태어나서 처음으로 김장김치 2포기 담가보았습니다. 한국식품 사이트에 수입되는 한국 직수입 김치도 있지만, 그것도 제 입맛에는 별로라서요. 겨우 2포기 담그는 것도 힘들더군요. 50포기, 100포기 담그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세상의 모든 어머니들, 음식을 만들어주시는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뿌듯하기도 하지만, 김치가 이렇게 귀중 한 지 처음 알았습니다.

  • 11. 이름은 같아도
    '13.12.24 11:48 PM (112.118.xxx.238)

    중국은 숟가락의 용도가 달라요.

    음식에서 입근처로 옮기는 역할.. 즉, 입안까지는 안들어가게 크고 우묵하구요
    우리나라는 입안까지 집어넣는 용도로 쓰느라 작고 납작하게 생겼지요

  • 12. ....
    '13.12.25 8:55 AM (118.44.xxx.196)

    개나 바닥에 놓고 먹는다는 말에 헉!!!

  • 13.
    '13.12.25 9:52 AM (175.213.xxx.61)

    일본은 전골 많이 끓여먹던데 그럼 전골도 건더기만 건져먹는건지 궁금하네요 ㅎㅎ

  • 14. ..
    '13.12.25 11:10 AM (58.141.xxx.212)

    개나 바닥에 놓고 먹는다는 말에 헉!!! 22222

    우리나란 천한 신분이 식사할때 그릇을 들고 먹는다고 하지 않나요?
    tv에서 보면 부엌떼기, 거지는 늘 그릇 들고 먹잖아요.
    일본인처럼 입에다 쓸어 넣으면서 먹는...

  • 15. ..
    '13.12.25 11:10 AM (58.141.xxx.212)

    문화란게 참...어렵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4298 세탁 건조기 작동 2 요즘 잘 되.. 12:35:51 51
1734297 직장 다니시는 분들은 해외 여행시 로밍 혹은 이심, 뭐 하시나요.. 2 직장맘 12:33:53 103
1734296 티빙웨이브 더블권 쓰시는분들 hh 12:32:47 49
1734295 모란시장을 이긴 이재명시장 1 12:31:56 219
1734294 15만원 이마트글 왜 삭제된거죠? 또삭제네 12:31:31 155
1734293 평산마을 문재인 대통령 사저 앞 시위 근황 (혈압주의) 5 ... 12:27:54 646
1734292 혹시 이거 차이점이 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ㅇㅇㅇ 12:26:22 116
1734291 사이다뱅크 6개월 커피적금 사이다뱅크 12:25:37 183
1734290 지금 깍뚜기 사면 여름무라 맛이 없을까요? 1 여름무 12:25:28 146
1734289 윤 영장 실질심사 5 12:23:37 461
1734288 남여관계에서 퍼주면 우습게 보이나요? 17 s 12:23:28 451
1734287 카페 알바는 원래 못앉나요 13 첫알바 12:21:38 514
1734286 영어 잘하시는분 간단문구인데요 도와주세요~ 4 ... 12:17:49 316
1734285 부산 82분들 계시죠 6 ㅇㅇ 12:17:08 277
1734284 새로들어온 동료가 임원진 친척의 딸이라는데.. 4 123 12:16:47 571
1734283 비오는날 먼지가 나도록 팡팡팡 .. 12:12:49 253
1734282 전현무 다이어트한건가요? 5 팜유 12:12:34 963
1734281 연천수레울아트홀 7.12(토) 공연 할인 및 연천 주말나들이 정.. 4 올리비아핫소.. 12:09:39 132
1734280 내일제주출발전 패디하고있는데요 3 ㆍㆍㆍ 12:09:32 307
1734279 샤넬 구두사이즈 250㎜ 이라는 기사 3 한국경제신문.. 12:08:18 838
1734278 이재명이 일본한테 과거사 문제 삼지 않는다고 하는대요? 18 .. 12:03:46 1,109
1734277 84세 아빠의 우주 3 ... 12:01:06 1,015
1734276 전세대출에서 보증보험 꼭 가입하시나요? 8 전세 11:56:53 229
1734275 여름 영주 부석사 2 여름 영주 .. 11:53:02 692
1734274 정신과처방약 먹었는데 처지는게 정상인가요? 5 ㅇㅇ 11:52:58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