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보다 월급 많은데 전업주부 하시는분 계신가요?

마르 조회수 : 2,951
작성일 : 2013-12-23 11:46:40

남편보다 월급많았는데 전업맘으로 돌리신분 계세요?

법륜스님 말을 100%신뢰하는건 아니지만, 아이3년동안은 엄마가 키워줘야된다고 하고

시댁 시어머님이나 시댁형님들 다 좋은대학나와서 전업주부하시고

시어머님도 집에서 남편 내조하고 아이키우는게 여자의 몫이라는 말씀 늘 하시거든요.

사실 남편 월급으로도 먹고살만은 하거든요 (하지만 저축을 할 순 없죠...;;)

근데 제가 남편보다 두배 넘게 버는데 그게 아까워서요.

시댁에서 도와주실 형편아니라 제가 벌어야 집을 넓히거나 장만할 수 있거든요..  

(저도 일하고 싶진않아요 집안일도 좋아하고 재밌어서요)

고민이 되네요..  

 

IP : 175.209.xxx.187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입뿐만 아니라
    '13.12.23 11:50 AM (203.247.xxx.210)

    업무의 사회적 가치, 재취업 가능 여부등도
    고려하게 될 것 같습니다

  • 2. 일하세요
    '13.12.23 11:50 AM (116.125.xxx.219)

    아파서 못하면할수없지만 남편월급으로는 님이 할수있는게 한계가 있어요 물건하나 사도 몇번을 들었다놨다 여행한번을갈려고 해도 이달담달 뭔일없나 생객또생각 일 한수 있을 때하세요

  • 3. ..
    '13.12.23 11:58 AM (115.178.xxx.253)

    일하시고 도우미를 쓰세요.

    아이와 있는 시간을 밀도 있게 쓰시면 됩니다.

  • 4. 제 생각
    '13.12.23 12:00 PM (14.39.xxx.102)

    아이를 직접 키울수 있음 좋죠.
    하지만 직장을 다녀서 다른 양육자를 두더라도

    * 아이는 직접 데리고 잔다
    (아이들은 같이 자는 사람을 보호자로 인식한다네요)

    * 집에 오면 바로 10분 이상 아이한테 지나친 사랑을 표현한다

    * 양육자를 자주 바꾸지 않는다
    (이거 진짜 쉽지 않아요)

    저도 아이 둘다 맞벌이로 키웠는데 이 3가지는 지키려고 노력했어요.

    그 외에도 집에서 집안일 할때도 아이가 뭘 요구하면 즉각 즉각 하던거 멈추고 들어주었고(유아 시절에는 직장 상사처럼 바로 처리해 주라고 하더라고요. 아이가 어릴때), 퇴근해서도 아이가 절 떠나기 전까지 집 안에서 손잡고 다니거나 업고 다녔어요. (옷도 손잡은 상태에서 갈아 입기도 하고요...)

    양보다는 질로... 노력하면 아이도 알아주지 않을까요?

  • 5. .........
    '13.12.23 12:00 PM (218.159.xxx.205)

    일하시고 남편보고 살림하라 그러세요.... 저축도 하고 살아야 될거 아녜요.

  • 6. ㅇㅇ
    '13.12.23 12:02 PM (223.62.xxx.40)

    세월이 하수상한데, 친정이나 시댁에 육아비 좀 드리면서 봐주시는게 최고겠네요. 애들 크는거 순식간이고 내 일이 있는게 좋겠어요. 더구나 급여도 많으면 포기 않겠어요.

  • 7. 당연히 일하셔야죠
    '13.12.23 12:31 PM (180.65.xxx.29)

    시댁 식구들이 뭐라하는게 왜 중요해요

  • 8. 조절
    '13.12.23 12:38 PM (106.68.xxx.108)

    일 시간 조절가능하면 아이 보겠어요. 남편이 많이 벌지만 저는 75% 정도 버는 데 둘째는 3년간은 제가 집에서 아이 보기로 합의 한 상태에요. 전 첫애 낳고 일 나가다 아이가 충격먹어서 도로 들어왔었네요. 입주도우미랑 아이아빠 가 보는 데요, 아이가 말도 느려지고 폭력성향이 나왔어요. 자기 의견 표시 못 할때 엄마가 없어지고 모르는 사람이 와 있으니...아빠가 해주는 것도 한계가 있고요.

  • 9. 그냥
    '13.12.23 12:58 PM (175.209.xxx.187)

    있는 돈 안에서 남편 내조하고 아껴쓰는게 맞는건데
    제가 괜히 욕심부리는건가 싶어서요.

  • 10.
    '13.12.23 1:21 PM (211.234.xxx.169)

    액수가 얼마안되면 전업하지만 안그럼 벌러나가야지요..돈 이 중요해요~

  • 11. ...
    '13.12.23 1:26 PM (118.42.xxx.75)

    전업으로 아끼면서 애키우고 사는거나, 맞벌이로 도우미두고 애키우고 사는거나...돈으로 따지면 비슷할거 같아요
    남편이나 자식이 내 인생 대신 살아주는것도 아닌데
    님 계획대로 하세요..

  • 12. 저요
    '13.12.23 2:07 PM (116.36.xxx.86)

    남편 급여의 1.5배정도 됐어요. 그런데 그만뒀어요.
    물론 계산기 충분히 두드려봤고 경제적인 것만 생각하면 백만프로 맞벌이죠.
    그런데 제가 그만둔 이유는 남편도 아이도 아무도 아닌 제 자신때문이었어요.
    경력도 좋고 돈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하는 것이 제가 제일 행복을 느낄까. 만 생각했어요.
    저는 그릇이 작은 사람이라 아이를 위해 희생 어쩌고 저쩌고 하는 건 나중에 분명히
    그 보상을 받으려고 할 거 같았거든요.
    전업으로의 선택이 저한테는 옳았었고 저도 가족들도 전보다 더 행복해합니다.
    전업을 하든, 맞벌이를 하든. 어떤 선택을 해야할 때 한쪽을 선택한다는 건
    분명 얻는 것과 잃는 것은 공존하고 .. 선택에 있어 개인차가 있을 뿐 정답은 없다고 생각해요.
    자기한테 맞는 게 무언지. 내가 어떤 부분에서 더 행복을 느끼는지. 그걸 파악하는 게 먼저 아닐까..합니다.
    우선순위를 매겨보세요. 그럼 답이 나오지 않을까요..
    물론 제가 그만둘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가 남편 벌이로도 살만한 정도는 된다라는 게 있었으니..
    제가 이런 소리를 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13. 저축
    '13.12.23 9:22 PM (116.127.xxx.228)

    시어머님도 집에서 남편 내조하고 아이키우는게 여자의 몫이라고 말씀하시지만 세월이 달라졌어요.
    시어머님 때는 여자가 나가서 돈 벌기가 어려운 환경에
    아버님이 버시는 걸로 노후까지 되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지금은 환경이 다르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예전이 돈벌기가 어려운 환경이라는 건, 좋은 일자리문제도 있구요, 예를들면 아이들 도시락싸기...이런것도
    작지만 돈벌기 어려운 환경중 하나인것 같습니ㄷ마.

    그리고 노후문제인데요, 어머님 때는 우리나라가 경제성장을 하던 때라 일자리도 많고, 자산가치도 100배 150배 늘던 세대라 아껴쓰고 절약하면 수입을 저축하는 것이 아니라, 자산이 불어나 노후를 대비하실수도 있었을 거예요. 하지만 지금 세대는 이미 턱없이 올라간 부동산 등등을 생돈으로 사들여야 하는시대이니까요 좀 다른 것 같습니다.

    물론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인간적인 부문인 건 맞아요.
    그래서 아이 어릴때는 엄마도 필요하고, 할머니도 필요하고 개인적인 보살핌을 줄 수 있는 도우미도 필요하고 한것 같아요. 남편이 벌어서 저축을 할 수 있어야 먹고살만한 것 아닌가 싶습니다.
    정말 먹고만 살수는 없고, 아이도 가르치고 등등등 해야 하니까요.

    결혼해서 아이엄마가 되면 나, 내아이, 나의 부모를 모두 책임져야 하는 입장이 된 것이니
    단편적으로 생각할수 없고 그 모든 분야를 같이 넣고 생각해야 할것 같습니다.
    시어머님의 여자는~이라는 말씀은 시어머님 세대가 지나온 세월을 종합했을 때 대체로 봐서 현명한 선택이었을 수 있구요, 지금은 그 선택이 최선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흘러가는 강물에 계속 발을 담그고 있지만, 내 발을 스쳐가는 강물은 아까의 그 강물이 아니라 새로운 강물.
    ...어쩌면 어머님 세대보다 요구받는 역할이 많고, 선택의 종류가 많기에 더 괴로울 수 있는게 지금 우리 세대가 아닌가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6277 이태원에서 넥타이 사보신 분 계세요? 2 이태원 2014/01/24 1,627
346276 임순혜 위원 ‘트윗 논란’…“작년부터 방통심의위 제거 표적돼 새누리 막말.. 2014/01/24 603
346275 아베가 국제무대를 전율시켰다 3 영-독 관계.. 2014/01/24 1,241
346274 마흔쯤 되면 3 쉽지않은인생.. 2014/01/24 1,642
346273 결혼순서때문에 남매끼리 싸우게 생겼어요(수정) 21 결혼이뭔지 2014/01/24 4,742
346272 프로폴리스 복용법? 3 ~~ 2014/01/24 3,597
346271 취미로 피아노 칠거면 굳이 체르니 안배워도 상관없어요 7 체르니 2014/01/24 4,184
346270 AFP 통신 원세훈 실형 선고...부정선거 외신들 계속 관심 3 dbrud 2014/01/24 977
346269 김대중 前대통령·문익환 목사 유족에 억대 형사보상 1 세우실 2014/01/24 1,076
346268 얼어버린김치 ㅜㅜ ... 2014/01/24 749
346267 이사 전날 청소를 할건데요.. 새 가구 배달도 이사전날 오도록 2 이사 2014/01/24 1,611
346266 남편 디스크 수술할때 옆에 있어야 될까요? 5 ㅎㅅㄱ 2014/01/24 1,252
346265 저의 양육태도에.. 스스로 화가나요. 17 달아 2014/01/24 3,823
346264 잠시 후 도장찍으러 가요. 저 어쩌죠? 13 현명하자 2014/01/24 3,702
346263 초등 입학, 중등 입학하는 아이에게 선물 추천 부탁드려요 3 선물고민 2014/01/24 1,106
346262 새조개 구입처 그리고 손질 3 먹자 2014/01/24 1,590
346261 (급) 대우세탁기 쓰는 분? 어떤 모델이세요.삼성도 추천해주세요.. 3 차이라떼 2014/01/24 1,790
346260 며느리 가방 하나가... 38 2014/01/24 15,868
346259 구정때 눈썰매장 데려가려고하는데 발안젖는 방법좀 알려주셔요.. 5 구정때 2014/01/24 917
346258 델 윈도우8 쓰시는분,,백신 어떤거 쓰세요? 4 윈8 어려워.. 2014/01/24 1,788
346257 아이엘츠 스피킹점수 넘 안올라요. 4 샤인 2014/01/24 1,367
346256 이제 고2올라가는 남학생입니다. 17 고2 2014/01/24 3,193
346255 (펌) 아빠 어디가 PD 해명.. 오히려 불쾌한 이유 17 ㅇㅇ 2014/01/24 3,229
346254 이번 카드사 정부 유출에 대해서 82쿡은 아주 조용한데.. 2 .... 2014/01/24 1,077
346253 고등어 김치 찌개 멸치육수 넣을 필요 없죠? 1 ㅇㅇ 2014/01/24 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