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문] 수서발KTX 운영 준비단 직원의 '양심 선언'

// 조회수 : 1,434
작성일 : 2013-12-22 17:51:31

http://m.pressian.com/article.asp?article_num=20131222154530

21일 저녁 청계광장에서 열린 촛불 문화제에서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서발 KTX 운영준비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임 모 씨의 발언이 주목받고 있다. 임 씨는 전국철도노조(철도노조) 조합원이 아니다.

임 씨는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라며 발언을 시작했다.

임 씨는 제 3의 기관에 맡겨 용역을 진행한 결과 수서발KTX 설립 시 코레일이 받을 타격으로 5000억 원의 매출 감소, 1000억 원의 순이익 감소 등의 결과가 나왔다고 지적하며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임 씨는 현 정부가 민영화를 하지 않겠다며 정관에 민간 매각 금지 조항을 넣었지만 문제는 다음 정부 때부터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미 FTA 상 철도 개방 유보 조항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즉 수서발KTX 설립은 철도 운영 자유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는 수서발KTX 출자회사 설립이 본격적인 철도 개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결국 외국 자본의 진출을 막을 수 없게 된다는 말과 같다. 수서발KTX 설립이 민영화로 가는 '고속철도' 티켓이라는 말이다. 다음은 임 씨의 '양심 선언' 전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4년 가지만, 철도는 100년 간다

안녕하십니까. 저는 오늘 철도를 걱정하는 한 국민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제가 여러분과 다른 점이 있다면 수서발 고속철도의 진실에 좀 더 다가갔다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수서 고속철도 운영을 준비하는 부서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제가 그동안 느낀점이 있기에, 저는 노조원도 아닙니다. 하지만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철도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느낀 점이 있기에 이 자리에 섰습니다.

먼저 첫째로 수서 고속철도 주식회사가 도움이 된다 안된다라는 말이 많습니다. 저희가 검토한 결과로는 코레일에는 손해입니다. 먼저 수요가 전이되어 코레일에는 약 5000억 정도의 연간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이고, 순이익은 약 1000억 원 정도 감소할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것은 저희 자체적인 결과가 아니라 공식적인 용역을 통해서 제3의 기관에서 검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그러면 직원으로서 그런 의문이 들것입니다. 그러면 왜 코레일을 분리해야 하는가. 저희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 말은 했지만 비효율의 당사자로 지목받는 코레일로서 주장을 관철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만약에 저희가 수서를 운영하지 않는다고 했을 때 정부가 다른 기관에 주기라도 한다면 더 큰 손해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어쩔수 없는 선택을 해야 할 것이었다고 저는 이사회의 마음을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둘째로, 민영화 논란입니다. 코레일도 정부도 민영화를 방지하는 장치를 정관에 마련했다고 했습니다. 그 말은 맞습니다. 처음에 30%를 코레일에 지분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이때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정관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되는데 코레일은 3분의 1, 즉 반대를 할수 없는 지분을 갖게 되면 정관이 변경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41%를 가지고 있으면 민간 매각을 위한 정관 변경이 불가능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가 남습니다. 그러면 국민은 왜 아직까지 민영화다, 민영화가 아니다 라는 논란을 지속하고 있는 걸까요. 2009년도 수도권 고속철도 건설계획이 처음 발표됐습니다. 그 때 정부의 보도자료를 보면 코레일의 재정 경영, 재정 여건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불과 4년 전입니다.

2011년, 불과 2년 전입니다. 어땠습니까. 수서 고속철도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난 지금 민영화는 아니라고 정부는 말하고 있습니다. 저는 박근혜 정부나 국토부의 말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 정부가 언제 끝나냐, 4년 후면 마치게 됩니다. 하지만 철도는 어떻습니까. 50년, 100년 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가 지금 정부를 신뢰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정부, 그 다음 정부에서도 민영화를 막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달라고 국민으로 말하는 겁니다.

자, 제 개인적인 생각은 이제 공은 국민과 정부에게로 넘어갔습니다. 이런 사태를 노와 사가 해결하기에는 너무 크고 또 저희가 할수도 없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여러분과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롭게 이 난관을 풀어갈 수 있도록 대화에 나섰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얼마 전 국토위가 여러 문제로 열리지도 못한 채 폐회했습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에서 제출한 민영화 방지법에 대해서 과도한 입법행위다 헌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민영화를 방지하기 위한 이 장치가 정말 별게 아닐까요.

마지막 문제가 FTA가 남습니다. FTA 한미 부속서 제 12.4조 시장접근의 철도 운송 및 부수 서비스 분야의 유보 내용을 읽어보겠습니다. 한국철도공사만이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철도 노선의 철도 운송 서비스를 공급할수 있다. 이렇게 명시돼 있습니다. 그런데 수서 고속철도의 약 70% 이상의 노선은 2005년 이전에 건설된 고속철도 노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얼마전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이 이렇게 나왔습니다. 국회 입법조사처 검토 의견을 읽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2005년 6월 30일 이전에 건설된 노선의 철도운송서비스 공급자를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자로 선정하는 경우 기존의 한미에서 인정하였던 서비스 공급자의 수, 또는 사업자의 법적 형태 제한 조치를 자유화하는 방향으로 개정한 것임."

이것이 저희 정부, 국회 입법조사처의 의견입니다. 여러분 이 문제는 이제 국민들께서 걱정해주시고 행동해주셔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박세열 기자


IP : 211.220.xxx.22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대강을
    '13.12.22 6:18 PM (110.46.xxx.62)

    잊지 말아야 합니다.
    대운하 반대에 직면하더니 운하를 만들지 않겠다며
    결국 사대강을 파헤치며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대대로 재앙만 남겨놓았습니다.
    민영화는 아니나 민영화 금지법안은 안된다는 저 들이
    지금은 공권력으로 우리의 입을 막으려 하네요

  • 2. 이기대
    '13.12.23 12:33 AM (183.103.xxx.130)

    철도민영화는 육지의 대운하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4875 개인정보 유출.. 정말 불공평.. 2014/01/20 581
344874 개인정보 유출됐을 시 유의 사항 손전등 2014/01/20 1,444
344873 지금 밖에 많이 추운가요? 2 ... 2014/01/20 912
344872 강아지 키우는 문제 상담이요 10 Rrrrr 2014/01/20 1,335
344871 까사마미강의 들을만한가요? 1 주부구단원츄.. 2014/01/20 712
344870 초등입학 책상 뭐가 좋을까요? 9 책상 2014/01/20 1,511
344869 유럽으로 여름방학에 배낭 여행을 보내려 하는데 6 유럽 2014/01/20 1,021
344868 ‘카드 고객정보 유출 조회서비스’ 신종 스미싱 출현 2 우리는 2014/01/20 1,778
344867 안현수에게 가운데 손가락을 들어올린 네덜란 선수 메달 박탈 11 안현수 화이.. 2014/01/20 3,294
344866 급질문) 개인사업자가 국세청사이트에 로그인하려면 2 급질문 2014/01/20 937
344865 다들 이상아말고 이 배우 얘기는 없으시네요 35 이정현 2014/01/20 19,636
344864 신혼집 침대 3 하이쿠 2014/01/20 1,190
344863 호텔 예약 취소시 수수료가 있나요? 2 급질 2014/01/20 730
344862 남자들은 왜 메뉴를 통일할까요? 14 2014/01/20 2,634
344861 이럴땐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 2014/01/20 548
344860 명절날 시댁에서 밥 안먹는 분들 계세요? 7 그린티 2014/01/20 2,387
344859 서울대 나온사람이 연고대 나온사람보다 행복할까요? 7 dd 2014/01/20 2,193
344858 저 아래 30대 노처녀 어쩌고 글 보고 또 짜증이 22 스댕 2014/01/20 4,381
344857 물미역, 곰피 비린내 어쩌죠? 2 .. 2014/01/20 3,909
344856 대개 과외는 보강을 해주나요? 3 땅지맘 2014/01/20 1,629
344855 요즘 택배 ..오늘 보내면 내일 받을수 있을까요? 2 .. 2014/01/20 1,211
344854 부모상을 당한 친구에게 위로 전화 하시나요? 8 ........ 2014/01/20 44,495
344853 YS차남 “盧, 말 한마디에 탄핵.. 朴은 사전 선거운동?” 1 그네는 ? 2014/01/20 1,232
344852 보관 이사 해보신 분~ 5 하마콧구멍 2014/01/20 902
344851 천주교 신자분께 문의요_성물 축성 꼭 해야되나요? 8 초보신자 2014/01/20 5,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