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의 의료 현실을 말씀 드립니다-

20년 해외 교포 조회수 : 1,577
작성일 : 2013-12-16 11:20:03

저는 캐나다 와 미국에서 근 20 여년을 보낸 교포 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15년째 거주 중이구요.

의료 민영화가 미국의 의료 제도와 흡사 하다는 가정하에  간단히 설명 하면 이것입니다.

* 여러 보험사가 있습니다.  여러 플랜이 있겠지요. 그중에 내 형편에 맞는 보험을 삽니다.

   예로  3인가족  회사 도움없이  개인이 구매하는것을 보면   한달에 기본 천불 정도 ( 백만원 좀 넘지요)  내면   보통  처음 의료비  5천불 까지  보험 커버 안됩니다.  

예를 들면 ,  보험을 들고 맹장 수술을 했다는 가정을 합니다. 

맹장 수술 만불 ( 천만원 좀 넘어요)  나오는거 기본 입니다.  그럼 첫 5천불은 개인이 내고 나머지 5천 불에 대해서 만  보험사가 처리를 해주는데  그 과정이 그리 쉽지 않습니다. 어떤 항목은 되고, 어떤것은 안되고, 되는것도 안되는것으로  금액 청구하는 일도 자주 일어 납니다.   그럼  보험사에 편지쓰고  전화하고  의사 진료 소견서 내고 난리를 한 1년 치면 그때서야 조금 조정해줍니다.

 그런데 내가 한달에 내는 돈을 더 올리면   초기 보험커버 되지 않는 금액을 약간 낮출수 있습니다.

  그리고 의사 볼때 마다 코페이라고 해서 보험이 있어도 이 삼십불은 미니멈으로 지불 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돈이 많이 있어서 비싸고 좋은 보험을 사면  커버 되는 금액도 커지고 코페이가 적어 질수도 있고 그렇습니다.

돈있는 사람은  더 좋은 치료도 받을수 있는거구요.  

그러니까 미국식 의료 민영화라면  돈없으면 치료 받기 힘들다는 결론입니다.  근데  미국은 아주 돈없는 극빈자는 구제 프로그램에 의해서 차라리 치료 받을수 있어요.  환자를 거부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치료를 우선 해주지요. 

(실제로 제 미국인 지인  병원  원무과에 있습니다.  미국 시스템에 대해서 분개합니다.    ) 그리고 차후에 돈을 내게 합니다.   근데 한국은 어때요?  돈먼저 수납해야 합니다.     극빈자에 대한 보장이  없습니다. 이 상황에서  민영화 되면 정말 부자만, 먹고 살만한 사람만 치료 받을수 있어요.

그래도 민영화가 좋다는 분들은 재산이 많은 분들인가 봅니다.

IP : 75.71.xxx.11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의료기록...
    '13.12.16 11:40 AM (59.19.xxx.18)

    아이들 영유아 검진도 저 나이스인지 뭔지에 들어가는건가요? 받을 때마다 찜찜했어요
    제대로 봐주는거 같지도 않고.... 설문지만 드립다 적어내던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9235 수서KTX 자회사 임금 8657만원, 국토부 ‘거짓말’ 논란 //// 2014/01/08 663
339234 혹시 탁상용 세무달력 구할곳 없을까요? 2 달력이필요해.. 2014/01/08 1,142
339233 초등 여아 피아노학원 필수인가요??? 3 피아노 2014/01/08 2,487
339232 성능 좋은 믹서기 사용하시는 분 추천 좀 부탁 드릴께요~ 6 여니 2014/01/08 5,727
339231 북어국에 거품 요리못해 2014/01/08 695
339230 지학사 교과서가 왜 진보 성향 교과서인가요? 5 국사교과서 2014/01/08 1,693
339229 경기도 예비중학생이요.. 중학교 발표 언제인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4 ^^ 2014/01/08 1,401
339228 채정안 가수할때랑 얼굴 느낌이 달라요? 9 ,,,, 2014/01/08 2,414
339227 집에서 만든 식빵이 묵직한 느낌이 나는이유가..? 9 panini.. 2014/01/08 2,345
339226 30대 후반 미혼 인데 주변에서 40대 중반으로 보네요ㅠㅠ 11 ... 2014/01/08 4,540
339225 중국여행지 추천해 주세요 6 여행 2014/01/08 4,773
339224 부산여행가요- 파라다이스호텔과 웨스턴조선 어디가 나아요? 14 2014/01/08 8,129
339223 초등학생 연말정산되는 내역이 뭐가 있나요? 1 ggg 2014/01/08 1,957
339222 개천에서 용 나기'보다 중요한 게 '잘 사는 개천' 만들기 6 표창원 (펌.. 2014/01/08 1,143
339221 기숙사 고등학교 9 용돈 2014/01/08 1,687
339220 결혼전에 남자성향에 문의드려요~~ 5 fdhdhf.. 2014/01/08 1,279
339219 이거 이거 먹어도 될까요??? 3 여왕 2014/01/08 790
339218 아토케어 청소기라고 아세요? 8 혹시 2014/01/08 2,650
339217 씽크대에서 올라오는 악취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5 고민 2014/01/08 1,667
339216 YS 차남 김현철 ”朴대통령, 아버지 흉내나 내고…” 5 세우실 2014/01/08 1,805
339215 이런경우는 그냥 기다려야겠죠? 3 2014/01/08 777
339214 기독교분들만 봐 주세요. 성경 질문이어요 16 멋쟁이호빵 2014/01/08 1,465
339213 짜증납니다. 스팸신고 2014/01/08 726
339212 응답하라 1894 - 朴대통령 신년사의 의미/ 일독을 권합니다 불통댓통 2014/01/08 629
339211 팟캐스트(성시경음악도시)질문이요. ^^ 2 라디오 2014/01/08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