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아 선배님들 도와주세요..18개월 아기가 자해를 해요

어쩌나.. 조회수 : 7,424
작성일 : 2013-12-16 06:02:42
뭔가 하고싶은걸 못하게 하면 바닥에 머리를 쿵하고 박아요.. 하루에 몇번씩요..
처음엔 애가 이제 자기의지가 생겨서 분노를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서 그런가부다.. 나아지겠지.생각했는데..
점점 더 자주 그러니 이젠 안되겠다 싶고 무섭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도와주세요
IP : 92.97.xxx.3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sk
    '13.12.16 6:24 AM (210.126.xxx.114)

    넘 겁내지마세요.성장과정이예요. 엄마가 보는 곳에서 그럴거예요.엄마가 쇼파쪽으로 몸을 옮ㄱ세요 아이도 따라올거예요.ㅇ아이가 자해행동을해서 사고가 생기지는 않는다니까 넘 걱정마세요. 아이한테 위험한일이나 규칙을 지켜야하면 아무리 머리를 박아도 조용히 안되는 이유 설명하시고 쇼파에서 책보고 조용히 계셔요. 애도 알아요 엄마가 겁먹고 들어주는지 아무리 자해를 해도 소용없는지

  • 2.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13.12.16 6:33 AM (187.177.xxx.28)

    이 프로그램을 보면 자세히 해결방법이 나온다고해요.
    몇회인지는 모르겠지만 네이버 검색해보시면 금방 찾으실둣해요.

  • 3. 그랬어요.
    '13.12.16 7:37 AM (175.197.xxx.75)

    제 조카도 그랬어요.
    할머니댁에서 12개월까지 크고 왔어요. 부모는 맞벌이였고
    이모인 제가 돌보며 어린이집 다녔는데 가끔 아이가 의지를 관철하고자 할 때 머리를 바닥에 찍더라구요.
    찾아보니 아이가 답답해서 그러는 거라고 비교적 과격하게 표현하는 거죠.
    성격이 과격한 구석도 조금 있긴 한데
    누구나 특정상황에서는 그렇게 되는 거고 단지 표현의 차이죠.

    암튼, 이 아이가 그래서 전 먼저 아이에게
    그렇게 머리 찧으면 아프다는 걸 알려줬어요.
    당연히 아이도 속상하지만 아픈 건 아픈 거죠. 그러니까 제 말을 유심히 듣기도 해요.
    당연한 거지만 일단 본인도 아프지는 않고 싶겠죠.
    그리고 전후 상황을 보고 왜 아이가 속이 상했는지 파악을 하고
    아이에게 그럴 때는 어떻게 하라고 알려줬어요.
    예를 들어, (사실 굉장히 사소한...일들이어서 기억해내기도 힘드네요.)
    뭐를 갖고 싶은데 제가 위험하다고 치웠다고 한다면...
    저한테 와서 xx가 갖고 싶으니까 주세요, 라고 말하라고
    가르쳐줬어요.

    아이가 더이상 머리 안 찧고 의사표현으로 전달할 때까지 계속 반복하고 알려줬어요.
    대개 4-5번 정도 하니 그후로는 머리 안 찧고
    의사표현으로 관철하고픈 의지를 전달하고 만족한 거 같아요.

    그래서 7살인 아이가 지금도 원하는 걸 잘 전달해요. 말로 자신이 원하는 걸 남이 잘 알아 듣게
    정리를 잘 하고 의사를 표시하는 거 보면 정말 깜찍하답니다.ㅎㅎㅎ

  • 4. 추가로
    '13.12.16 7:47 AM (175.197.xxx.75)

    위험한 걸 아이가 달라고 하면 일단은 설명을 해줍니다.
    무엇인지, 왜 위험한지, 어떻게 보통 대하는지, 제 통제 하에 함 만져보게 해서 궁금증 해결하기...등등
    최종적으로는 적당히 타협을 하거나 아이가 포기하게 하고 대체물로 상황 마무리 합니다.

    3살 연말때쯤엔 거의 부딪힐 없이 아이가 참 잘 배웠던 거 같아요.
    5살 연말, 6살쯤 되면서 슬슬 장난도 칩니다. 위험한 걸 어떻게 피하는지 그간 익혀서
    까부는 거죠.ㅎㅎㅎ남자아이의 장난?ㅋ 한마디로 세상에 대한 자신감 충만으로 까불더군요.

    이상 남자아이 양육 경험담입니다.

  • 5. ..
    '13.12.16 8:55 AM (125.179.xxx.20)

    아이가 성질 부릴 때 반응하지 마시고
    일관되게 무시하세요.
    자해를 멈추면 그 때 반응하세요.
    스스로 머리가 깨질정도로 박지는 않습니다.

  • 6. 뭐............
    '13.12.16 10:04 AM (58.237.xxx.3)

    무시하면 그러다 말아요.
    저희애는 손톱으로 팔목을 죽~ 몇번 그었는데
    후시딘만 딱 발라주고
    자기가 성질낼때는
    좀 떨어져서 저 혼자 신나게 음악틀고 놀면
    자기가 왔어요.
    키워보니 좀 지기싫어하는 성향이 있으면 그런거 같아요.

  • 7.
    '13.12.16 10:08 AM (116.123.xxx.105)

    18개월이.. 고집이 초상승하는 시기죠.
    저희 둘째도 머리 박고 고집을 부렸죠.

    그런데... 머리 박는다고 고집피우는 상황을 들어주면, 그 행동은 반복됩니다.

    ^^ 어머니.... 18개월 된 아기가 지 힘으로 머리를 박는다고 해서.. 머리 안 깨지고 안 나빠집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강경하게 나가세요.

    저는.. 아이가 저 때 머리 박고 고집피울때,
    " 머리 더 세게 박아... 그래서 피가나니? 그리고.. 니가 박는다고 해서 엄마가 들어주는 건 아니야.
    다 박고 나서 엄마에게 와"
    이러고 갔어요.

    물론, 아이가 머리 박는동안, 박고 난후 이마의 멍을 보면서 가슴 아팠지만,
    그 뒤.. 머리 박는건 없어졌어요.

    어머니.. 강해지세요..
    1시간 정도 운다고 안 죽고.. 머리 스스로 박는다고 해서.. 머리 안 깨집니다.

  • 8. ..
    '13.12.16 1:34 PM (125.141.xxx.241)

    저희 아이 경우에 고집피우는데 안들어주면 손으로 머리를 치는 행동을 했었어요.
    "머리 그렇게 때리는 행동은 나쁜거야, 또 그러면 엄마가 안볼거야" 라고 얘기를 했어요.
    그러고도 또 그러면 "엄마는 안볼거야" 하고 머리를 아예 돌려버리세요.
    몇번 하더니 그 행동은 없어졌어요.

    비난이나 빈정대지 마시고, 그냥 나쁜 행동이라서 그걸 하면 안되고, 그런 행동을 하면 엄마 주의를 끌지 못한다는 걸 말씀만 하시면 되요.

  • 9. 그러다 말긴해요
    '13.12.16 3:26 PM (116.39.xxx.32)

    저희애도 그맘때 자기말 안들어주면 손으로 이마를 딱치고 그대로 얼음...-_-
    근데 20개월 가까이되면서 안그러더라구요. 대신 그냥 완전 크게 울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9097 방아에 곡식을 찧을때 가루가 되지 않나요? 1 이거 아시는.. 2014/01/08 644
339096 왜 사랑이 변하는 걸까요? 6 빛나 2014/01/08 2,044
339095 서울 살기좋은 동네 좀 알려주세요 :-) 20 eui 2014/01/08 5,360
339094 위안부 소녀상 철거 반대 청원 투표 꼭해주세요 5 looksg.. 2014/01/08 879
339093 내 머리가 나빠서.. 이 정도면 2014/01/08 624
339092 가장 많이 웃게 만든 TV 프로그램 4 코믹 2014/01/08 1,439
339091 진중권 트윗글은 맞는 말이지만.. 9 ㅁㅂ 2014/01/08 2,802
339090 연금얼마나 부으세요?연금저축은 소득공제분만 하는게 나은가요? 1 ,,, 2014/01/08 2,127
339089 고3말 3개월만 공부하면 인서울간다는데 12 들은 이야기.. 2014/01/08 6,880
339088 보통 신혼여행이 얼마쯤 드나요? 6 .. 2014/01/08 2,237
339087 친정엄마에게 명의 빌려주기 싫으면 불효인가요? 17 처음 씁니다.. 2014/01/08 4,360
339086 그놈 가사 좀 올려주세요. 5 가사 2014/01/08 840
339085 논문분야 물어보는거 실례인가요? 14 ... 2014/01/08 2,125
339084 우레아 크림 써보신 분 계신가요? 1 건성 2014/01/08 3,492
339083 변호인, 강인한 희생자 2 ..... 2014/01/08 941
339082 경기도 중학생 봉사활동 몰아해도 되나요? 2 1,2학년때.. 2014/01/08 1,176
339081 서울에서 경기도 광주가는 방법 4 aq 2014/01/08 3,528
339080 대리석 식탁 운반 하려면 어떤 차로 2014/01/08 1,015
339079 스마트가드 프로텍션 도와주세요 3 바이러스 2014/01/08 908
339078 결혼 하고 친정하고 연 끊으신 분들 계신가요.. 11 .. 2014/01/08 2,764
339077 아기 다 키운 어머니들께 궁금한게 있어서요. 10 초보엄마 2014/01/08 1,804
339076 위염 핼리코박터균 3 2014/01/08 7,346
339075 자식 잘 키우는 엄마는 아이들에게 집중하고 센스있고 부지런해야.. 7 2014/01/08 3,450
339074 남편 직업 중 최고 직업 43 붕붕 2014/01/07 23,220
339073 아이가 틱 앓고 있거나 청소년기에 괜찮아지신분 조언 좀 부탁드려.. 19 고민하는 엄.. 2014/01/07 4,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