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옛날에는 다자녀라 도시락 싸기 힘들었을 것 같아요

ㅇㅇ 조회수 : 2,189
작성일 : 2013-12-05 14:44:16

3~4남매는 기본이고 
많으면 6~7명까지도 자녀들이 있었는데 
시부모 모시고 살면서
아침밥 하고 
아이들 도시락 까지 싸려면 
그것도 엄청난 노동이었겠단 생각이 들어요.
밥은 최소 10~15인분에 
계란말이를 하려고 해도 하루에 반판 가까이는 썼을 것이며 
거의 급식을 방불케하는 대용량 음식을 만들었어야 했을텐데.. 
밥에 김치랑 햄이나 계란만 싸는데도 진이 쭉빠지지 않았을까요? 
심지어 아이들 귀가하면 도시락통 설거지하고 저녁만들고.. 
저는 하라면 못할듯.. 





IP : 175.210.xxx.67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2.5 2:48 PM (58.236.xxx.74)

    저희엄마는 운동 좋아하시고 교회활동 열심히 하시고, 사교 모임 등등등에 모든 에너지를 다 부으셨어요.
    대신 앉아서 오밀조밀 손 쓰는 거 자체를 싫어하셨어요,
    다자녀라서가 아니라 도시락이 적성에 안 맞고 성의가 없으셨어요, 그래도 다른 장점이 많으시니 그냥 뭐.

  • 2. 아휴..
    '13.12.5 2:48 PM (121.147.xxx.224)

    아주 옛날도 아니고 한 30년 전에도 그랬어요.
    저희 집이 삼남맨데 언니오빠 고등학생 때 점심 저녁까지 도시락 싸니까
    아침마다 엄마가 언니 두개 오빠 두개 저 한개 엄마도 직장에서 도시락 드셔서 엄마도 한개,
    이렇게 여섯개 도시락을 죽 늘어놓고 착착착 밥 담고 착착착 반찬 두세개 담고 그러셨던 기억이 나요.
    저는 맨 마지막 도시락이라 맛있는 반찬 좀 부족하면 언니오빠는 반찬 세개 저는 두개, 막 이랬죠 ㅎㅎㅎ
    그 시절엔 몰랐는데 이렇게 나이들어보니 우리 엄마 어떻게 맨 정신으로 아침시간 보내고 출근하셨었나 싶어요.

  • 3. ^^
    '13.12.5 2:49 PM (110.12.xxx.87) - 삭제된댓글

    저도 가끔 그런 생각들어요.. 도시락 싸는거, 정말 힘들었을거 같아요.. 야자까지 하면 점심에 저녁 도시락까지.. 와우~

  • 4. 전국의
    '13.12.5 2:52 PM (112.151.xxx.81)

    어머님들을 도시락으로부터 해방시켜드린게 김대중대통령님때죠? ㅋㅋㅋ 아닌가요?!

  • 5. ...
    '13.12.5 2:53 PM (115.136.xxx.62)

    옛날 여성들, 얼마나 힘들었을까요.저라면 어찌 살아냈을지.
    저희 엄마, 30년 넘게 직장생활 하시면서 저희 형제 둘 도시락 4개씩 꼬박 신경써 싸주신 것 생각하니 새삼 고맙네요..

  • 6. ..
    '13.12.5 3:01 PM (183.101.xxx.210)

    많이 힘드셨을겁니다.
    지금처럼 슈퍼가 많길하나 인스턴트 반찬거리가 많길하나..
    중노동이셨지요.

  • 7. 먀자요.
    '13.12.5 3:04 PM (72.213.xxx.130)

    고딩땐 두개씩 쌌는데 같은 반찬 며칠 계속 올라오믄 막 승질냈던 기억이 ㅠㅠ 엄마, 미안~ 내가 미쳤었나봐;;;;;;

  • 8. ㅁㅁ
    '13.12.5 3:07 PM (112.151.xxx.165)

    저희엄마도 많을때는 도시락을 여섯개 싸셨어요 .. 맛은 별로없었지만
    싸주신것만으로도 고맙게 생각합니다 초등학교때 화려하게 반찬싸오는애들땜에 스트레스 받았었지만 병약한몸. 빠듯한살림속에 항상 애쓰시던 엄마를 생각하면 눈물나고 나는 죽어도 못할꺼란 생각이 드네요

  • 9. 어떻게 하셨는지...
    '13.12.5 3:08 PM (144.59.xxx.226)

    까칠한 딸년 때문에 새벽부터 도시락 싸야 했던 울엄마!
    70년대초반에는 학교 가려고 버스를 타면, 버스 차장 언니들 있을 때 입니다.
    이시대에 버스타고 통학했던 님들은 기억할거에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버스에 실려서 통학을 하고, 통근을 했는지....

    그 많은 사람들속에서 어깨끼고 숨소리 듣고 맞기 싫어서,
    새벽 일찍이 등교 한다고 난리 쳤던 까칠한 딸,
    학교 가면 전교 1등 아니면 2등이였던 까칠한 딸,
    그때문에 도시락 2개를 준비해야 했지요.
    학교 가자마자 아침 도시락 먹고! 또 한개는 점심!
    그와중에 아침반찬, 점심 반찬 다르게 해주었으니,
    그당시는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지금 생각하면 ㅠㅠ
    그러니 시어머니때문에 맘고생은 안했어도,
    까탈스러운 딸년때문에 고생했다는 말씀!
    훗~~ 가끔 하셨네요.

    너, 이뿌다, 사랑하다, 등....이런 간지러운 말은 없었어도,
    이런 마음이 없으면 절대 할 수 없었던 6년간의 두개의 도시락이였네요

  • 10. 입력
    '13.12.5 3:31 PM (123.109.xxx.66)

    계란말이 아니고 계란후라이만 싸와도 부잣집이었어요
    대부분 김치, 깍두기 반찬
    멸치볶음이나 오뎅볶음 많았고
    요즘처럼 예쁘게 가지가지 아니에요
    밥만 싸오면 다행.
    보리밥싸오라그래서 콩, 보리 친구꺼 얻어 검사받고 그랬네요

  • 11. 댓글에...
    '13.12.5 3:36 PM (59.0.xxx.231)

    맞아요...김대중 대통령께서 학교 급식....^^;;;

  • 12. 도시락
    '13.12.5 4:27 PM (182.212.xxx.51)

    제 나이 41살인데 4형제 초등 3학년부터 일주일에 한두번씩 쌌던거 기억나요. 고학년되고 부터는 매일 4개씩 도시락을 싸셨는데 저희집 정말 가난했거든요. 단칸방에서 6식구 살았고, 부엌도 정말 협소해서 연탄과 난로로 식사 준비하셨어요.

    가난함에도 저희 엄마는 예쁘게 모양내고 그렇게는 못싸주셨고, 계란말이,분홍소세지,어묵볶음,김,오징어채묶음 같은 마른반찬 위주로 싸주셨어요. 중학교 올라가서는 반찬 2-3개 해서 마른반찬과 김,김치볶음 정도 같이 싸주셨구요. 그냥 김치만은 단 한번도 싸주신적이 없네요. 생각해보니...

    겨울에는 보온도시락에 물끓여서 밑에 넣고, 국과 반찬 같이 싸주셨네요. 생각해보니, 그 좁은 부엌에서 아침 식사준비와 도시락 4개까지 전부 가스렌지 3-4개 사용해도 힘든 일을 연탄불과 석유난로만으로 하신거 참 대단하시네요. 그당시에 전기밥통도 보온만 되는거라 아침일찍 일어나 밥도 하셨던거 같아요.

    아침도 단 한번 거르지않고 꼭 국,찌개,반찬 차려서 주시고, 고등학교때는 야자까지 해서 하루에 도시락 7-8개씩 싸셨네요. 저희 4남매가 거의 연년생이라 중.고등학교 겹치곤 했거든요.

    오빠는 재수해서 도시락 2개씩 싸가던때 동생들과 저 고등생,중학교.. 정말 매일 매일 그 많은 도시락을 아침에 어떻게 하셨을까
    소풍날은 김밥을 또 얼마나 예쁘게 말아주셨나 몰라요. 같은날 다같이도 아니고 4형제가 날짜가 틀린날 엄마가 새벽에 일어나 김밥싸시던거 생각나네요.

    막내 고등학교 졸업하던때 몇년을 싸던 도시락 해방이라고 하시던거 생각납니다.
    제가 회사 취직하고 부서여직원들끼리 도시락 먹기로 했다고 도시락 싸달라 했을때 1년을 싸주셨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엄마한테 참 미안하네요.

    회사가 멀어서 아침 6시30분에 집에서 나왔는데 그전에 도시락 싸놓으시고, 아침상 매일 차려주셨어요.
    지금 아이가 둘인데 급식없이 매일 도시락 싸야 한다면 아~~~ 할 수 있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3772 급해요.육개장냉동에 대해서.. 1 초보주부 2013/12/17 1,082
333771 생어거스틴 맛있나요? 6 ... 2013/12/17 1,383
333770 믹스 견인데요 사골 뼈 줘도 되나요? 8 강쥐맘들~ 2013/12/17 1,285
333769 미스터피자 싸게 먹는 법 알려주세요. 8 생일파티 2013/12/17 2,315
333768 여름옷 살수 있는곳? .. 2013/12/17 532
333767 화물연대.철도 파업 물량 대체수송 거부 9 화물연대 2013/12/17 1,207
333766 승용차 양도방법 문의요 3 두리맘 2013/12/17 599
333765 1월에 유럽기려는데 여행하기괜찮은 곳 추천해주세요 1 .. 2013/12/17 778
333764 사배자가 뭔가요 6 이게 뭔지 2013/12/17 1,630
333763 학생으로서 요구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물러 나세요 12 학생 잘생겼.. 2013/12/17 1,325
333762 피자할인 하는데 없나요? 4 fdhdhf.. 2013/12/17 1,110
333761 조카 정시 좀 여쭤볼게요. 8 대입 2013/12/17 2,519
333760 상추와 깻잎. 지나가다.... 2013/12/17 764
333759 서승환장관 "철도민영화 금지 근거 위한 국회 소위 반대.. 1 거짓말이여~.. 2013/12/17 821
333758 전세금보장보험 스트레스만땅.. 2013/12/17 598
333757 강원도 눈 오나요? 2 세렁게티 2013/12/17 597
333756 의료민영화가 이렇게 무섭게 다가오는건 아픈 아이를 둔 엄마뿐인가.. 9 걱정인엄마 2013/12/17 1,465
333755 빨간 수제비가 먹고싶은데요 7 흐린날 2013/12/17 1,718
333754 상으로 덤비는 강아지 말리는법 3 강쥐엄마 2013/12/17 1,238
333753 제모하면 아예 털이 안나나요?? 12 제모 2013/12/17 5,694
333752 외국 의사에게 보낼 영어문장 한번 봐주세요. 나래 2013/12/17 560
333751 정시지원.. 대교협 믿을만한거지요? 1 참담함 2013/12/17 1,011
333750 라바(캐릭터) 원단 파는 데 있을까요? ..... 2013/12/17 1,034
333749 초코렛 뭍은 과자중 맛있는게 뭐 있을까요 26 ... 2013/12/17 2,789
333748 이런 뉴스 보면 무섭다는 생각부터 들어요 유자차 2013/12/17 1,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