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위계질서 지키려다 몸살 난다 ?

스윗길 조회수 : 1,066
작성일 : 2013-11-27 06:30:59

내 ‘위치’와 ‘자리’를 알면 예절이 보인다

 

위계질서 지키려다 몸살 난다?

 

‘예의 있는’사람은 대상과 상황에 맞게 행동할 줄 안다. 그러나 만나는 사람도 다양하고 상황도 복잡해 ‘예의 있는’사람 되기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위계를 강조하다 자칫 권위적인 사람으로 찍히거나, 버릇이 없다고 예절을 가르치다 도리어 관계만 멀어지기도 한다. 또 예를 차리고 싶어도 방법을 몰라 난감한 경우도 발생한다. 어떻게 하면 내가 만나는 사람들에게 ‘예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위계’와 ‘질서’를 제대로 안다면 예의를 지키기가 더 쉽지 않을까.

 

 

조직 속에서 나는 어떤 위치?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예절. 내 주변 사람들을 떠올려보자.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까. 간단한 이치만 알아도 정리하는 데 큰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위계는 지위나 계층을 가리키며, 질서는 사물의 순서나 차례를 뜻해 개념이 엄연히 다르다. 그리고 조직사회에서는 반드시 위계가 존재한다.

 

소크라테스는 ‘너 자신을 아라’고 했고, 예수 그리스도는 ‘상석에 앉지 말라’고 했다. 예의를 지키려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내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녀, 형제 등 세대차와 출생 선후차에 의한 위계가 있다. 아버지와 아들은 세대차, 형과 아우는 출생 선후차의 위계를 형성한다. 윗세대는 아랫세대를 사랑하고, 아랫세대는 윗세대를 효도로 모시는데 이것을 부자자효(父慈子孝)라 한다. 형은 아우와 우애하고 아우는 형에게 공순(恭順)하는데 이것을 형우제공(兄友弟恭)이라고 한다.

 

사회에서도 가정과 같은 위계질서가 있다. 사회에서는 나이, 지위의 고하에 따라 위계가 정해진다. 선현들도 이를 후대에 알리려고 글을 남겼다. 맹자의 가르침을 들어보자.

 

“조직사회에서는 직급을 최우선으로 하고, 일반 사회생활에서는 나이를 최우선으로 하고, 세상을 바르게 하고 백성의 어른이 되는 데는 학문과 덕성을 최우선으로 해서 위계를 정한다.”

 

그러나 직급과 세대, 나이를 떠나 위계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선생님과 제자, 잘하는 사람과 못하는 사람, 앞선 사람과 뒤처진 사람의 예이다. 도움을 받는 입장인 사람들은 이끌어 주는 사람을 본받고 따라가야 한다. 이끄는 사람들은 모범을 보이고, 베풀어야 모두가 함께 갈 수 있다.

 

가정, 학교, 직장 등 조직사회에서 위계질서가 무시된다면 그 조직이나 사회는 와해가 되고 말 것이다. 위계와 질서는 조직 속에서 함께 사는 사람들이 약속해서 정하는 것이며, 이것이 곧 예절이다. 이 예절의 기초 중 기초는 ‘효도’이다.

 

우리 선조들은 사람이 태어나면서 갖게 되는 최초의 대인 관계 즉, 부모와 자식 간 관계를 ‘효도’라 했고, 이를 모든 대인 관계의 원초로 생각했다. 즉, ‘부자자효’이다. 내 부모와 내 자녀에게 부자자효를 잘 실천하고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으로 과연 내가 ‘예의 있는’ 사람인지 생각해보자.

 

출처: 역사와 문화를 깨우는 글마루 11월호

 

IP : 61.106.xxx.11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8346 트랜스 지방-.-;;;; 1 ㅇㅇ 02:26:25 225
    1738345 바보같은 사랑을 보고 있는데요 배종옥씨 2 .. 02:14:04 659
    1738344 김포에 비 엄청 오네요... 2 옥수수 01:59:32 990
    1738343 동남아 휴가 갔다왔는데 저만 안 탔어요 5 ... 01:59:18 837
    1738342 혹시 잡티 있는데 선크림과 컨실러정도로만 화장하시는 분 계신가요.. 5 ㅇㅇ 01:53:18 547
    1738341 저도 아직 틀어요 .. 01:53:04 356
    1738340 습도땜에 에어컨 계속 틀어요 9 ㅇㅇ 01:46:55 771
    1738339 또 한번의 이혼 결심 14 또또이 01:31:55 1,742
    1738338 저는 이렇게 안 더운 여름 처음 경험해보는거 같아요. 20 ..... 01:09:21 2,489
    1738337 순복음/통일교/극동방송을 압색하다니 12 전율이다 01:07:01 1,555
    1738336 윤지오 후원금 반환 소송한 거 패소 했었네요 1 .. 00:52:49 625
    1738335 부고 답례품 많이들 하나요? 11 ㅇㅇ 00:44:05 1,038
    1738334 노년층 좀 있는 작은 아파트 회장 선거 1 미쳐 버려요.. 00:41:54 526
    1738333 내란수괴윤석열 재판에 넘겼대요 3 아프겠다 00:34:47 1,783
    1738332 온수매트 최저온도는 안 뜨거워요. 12 습기제거 00:30:59 501
    1738331 독일 입국시 (액젓, 매실액, 홍삼 등) 수하물로 가져가도 통관.. 10 촌할매 00:30:31 530
    1738330 사이트 마다 최강욱의원 후원글이 많네요 23 ... 00:29:15 1,586
    1738329 제주매일올래시장 제주 00:28:34 279
    1738328 챗gpt에게 위로 받았어요. 15 혼자놀기 00:18:59 1,290
    1738327 지인(장애부모)와의 관계 8 00:14:23 1,640
    1738326 이거 보셨어요? 김건희 아버지 11 집구석 유전.. 2025/07/19 4,948
    1738325 오늘 로또 한 곳에서 8건 당첨... 9 ㅇㅇ 2025/07/19 2,843
    1738324 뉴욕여행 4탄, 작은 배낭 이야기 8 저는지금 2025/07/19 1,064
    1738323 시어머니한테 괜히 김치보냈다 후회 .. 52 우씨 2025/07/19 5,498
    1738322 비 징하게 오네요 진짜 4 ..... 2025/07/19 1,7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