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종 수동 도로주행 팁좀 주세요 ㅠㅠ

어렵다 조회수 : 2,914
작성일 : 2013-11-25 14:46:28
외국에서 써야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수동따고 있어요.
기존 면허 없구요~ 난생 첨이에요 ㅎㅎ ㅠㅠ

필기는 예상문제 한 번 보고가서 합격
기능은 인터넷으로만 공부하고 가서리..
2번 내리 조작 다 100점으로 잘 하다가
출발하세요 하니 계속 시동 꺼먹어서 다 실격 ㅠㅠ
3번째 직전 하는 수 없이 학원가서 배웠더니
클러치를 아주 살살 뗌과 동시에 악셀을 밟아줘야
시동 안 꺼지고 출발이 되더라구요.. 흑흑
(구형은 클러치만 떼도 출발, 요즘 신형은 더 힘이 안좋아
악셀 꼭 같이 안 들어가 주면 맥없이 꺼지더라구요)
그래서 눈물겹게(?) 3번째만에 100점 합격.

이제 남은건 주행인데요.
오늘로 정규교육 3번(2시간*3회) 마치고
시험 요번주 목요일 등록해놓고 왔어요..

제가 어려운건요.
정차와 출발 다시 정차 그리고 출발...

정차할 때 브레이크 가볍게 밟아주며 속도 낮추다가
클러치 쑤욱 밟고-> 브레이크로 최종 스톱 -> 기어 중립
맞죠? 근데 또 정차중엔 클러치에 발 떼고 있어야하죠?
ㅠㅠ 그러다 출발하면서는
클러치 쑤욱->브레이크 발떼고->반클러치&악셀

악 ㅠㅠ 이게 매끄럽게 착착 안 돼요.

그리고, 직진 하다보면 속도 쑥쑥 붙어서리
그때마다 기어 변경해줘야 하는데
클러치 쑥 넣으면서 기어변경해줌과 동시에
시야는 전방을 보고 있어야 하니 ㅠㅠ
조작하다보면 전방주시가 잘 안돼서 차선 이탈은 기본;;

스틱 잘 모시는 분들 팁좀 주셔요.
글구 오토분들도, 주행 한방에 붙는 팁좀 풀어주셔요 ㅠㅠ
걍 코스 동영상 빡세게 계속 보면 좀 도움될까요?
전 코스 4개 중 2개만 알겠어요;; 봐도봐도 모르겠다는..

암튼 팁좀 마니 풀어주시고 살빠지세요 ㅠㅠ
IP : 121.162.xxx.10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1.25 3:03 PM (183.98.xxx.7)

    운전면허 시험이 많이 쉬워졌다고 하더니..
    요즘은 인터넷으로만 공부해도 기능까지는 붙나보죠? ㄷㄷㄷ
    운전은 머리보다는 몸으로 하는거예요. 운동처럼요.
    실제 운전 연습을 하셔야죠. 동영상만 째려본다고 운전 실력이 어떻게 느나요.

  • 2.
    '13.11.25 3:07 PM (121.162.xxx.105)

    그래서 학원 다녔잖아요 ㅎㅎ 정규수업 다 마쳤고. 그래도 부족한 것이 있어 여쭈는거에요~

  • 3. ...
    '13.11.25 3:14 PM (220.72.xxx.168)

    원래 반클러치 상태가 어려운거예요.
    게다가 그 반클러치의 '반' 느낌이 차마다 달라서 힘들어요. 시동이 꺼지든가 부아앙하던가....
    그건 어쩔 수 없이 여러 차로 연습해보고 그냥 '감'으로 느끼시는 수밖에요.

    '정차할 때 브레이크 가볍게 밟아주며 속도 낮추다가 클러치 쑤욱 밟고-> 브레이크로 최종 스톱 -> 기어 중립'
    이거 아니구요. 클러치 밟아서 기어 중립으로 빼내고 브레이크 그냥 꾹 밟으면 되요.
    클러치에 그렇게 오래 발 올려놓으면 헷갈려요. 기어가 들고 날때만 그냥 한번씩 밟아준다고 생각하세요.


    그 외에는 기어변속할 때 살짝 클러치 밟는 것 말고는 신경쓸일 없는데, 너무 과도하게 클러치에 신경쓰시는거 아닐까요? 왼발은 늘 페달 없는 곳에 놓았다가, 클러치 밟을 때만 페달에 올려주세요. 안그러면 실수해요. 기어 변속할 때도 그냥 한번 철커덕 밟은 후에 기어변속하고 바로 발을 떼놓으시면 되요.

    기어 변속은 금방 익숙해지지는 않을 거예요. 이것도 연습인데, 시험용으로 감을 익혀놓으셔야죠.
    그리고 기어 변속은 속도에 따른다기 보다는 rpm에 따라 바꾼다는게 맞을거구요.
    통상 3000 rpm이 넘으면 변속한다고 하는데, 전 좀 낮은 rpm에서 바꿔서 2000 넘으면 변속했어요.
    이걸 자동차 계기판 보면서 rpm이나 속도를 체크하면서 바꿀 수는 없어요.
    엔진 소리를 듣고 바꾸는게 일반적이구요. 3000 rpm이 넘으면 엔진소리가 '부앙'하고 커지죠.
    더 운전이 익숙해지면, 그때는 생각없이 자동으로 변속하게 되는 날이 와요.

    그리고 절대 기어변속할 때 아래를 쳐다보지 마세요. 아주 중요해요.
    기어도 페달도 계기판도... 그건 열심히 연습하셔야해요.

    이건 면허시험용 조언이 아니라서 설명이 좀 부적절하게 느껴지네요.
    저 면허시험때는 클러치 밟고도 기어가 안들어가서 출발도 못해보고 떨어진 적도 있어요.
    저보담은 나으신 편이예요.
    그러니 너무 걱정말고 열심히 연습해서 합격하시길...

  • 4. ..
    '13.11.25 3:18 PM (124.49.xxx.138)

    잘 하시는데요 문제는 손에 익는거죠..출발시 클러치 뗄때 나는 소리가 익숙해져야 출발이 쉬워요 시동일 꺼질려고 하면 얼른 클러치 다시 밟으면 되는데 이걸. 어려워하고..정지때 일단 전 중립을 먼저 하고 클러치를 뗀 상태에서 블레이크만으로 정지를 조절해요 수동은 일단 차 조작이 손에 익어야 쉬워요. 면허를 따도 매일 가까운 거리 다니시고 조작을 익히세요

  • 5. ㅠㅠ
    '13.11.25 4:41 PM (121.162.xxx.105)

    정성스런 댓글들 감사드려요. 근데 시험땐 무조건 선 다음에 스틱중립이여야 한다더라구요.. 제가 나열한 순서가 시험용이여요 ㅠㅠ 제가 학원차 기사님들(봉고라 스틱이더라구요)도 유심히 보니 중간댓글님처럼 일단 기어 바꾸고 세우시던데 여쭈어보니 웃으며 일단 면허따고 그렇게 하라며..ㅠㅠㅎㅎ 여튼.. 연습과 감 만이 살길인 듯 해 보이네요. 휴. 감사합니다

  • 6. ..
    '13.11.25 6:04 PM (218.148.xxx.94)

    클러치를 좀 미세하게 움직인다는 느낌으로 밟아주세요.
    꾹 밝고 확 놓고 그런게 아니라 (물론 그렇게 안하시겠지만) 생각보다 클러치가 예민하다고 여기시고
    밟을 때는 그래도 꾹 밟아도 되는데 놓을때는 아주 사알짝 슬그머니 놓는 느낌이랄까...
    브레이크도 미세하게 밟고 놓고 하지 않으면 차가 울컥거리잖아요. 그런차 타면 멀미나죠.
    사실 이건 특별한 기술이 있는게 아니고 그냥 익숙해지는 방법밖에 없긴 한데요..

  • 7. ..
    '13.11.25 7:01 PM (116.33.xxx.148)

    속도에 따라 기어변속은 rpm올라가는거 보고 조정하시면 되구요
    (이것도 익숙해지면 소리만 들어도 알수있어요)
    기어 조정 위치가 손에 익어야 전방주시 문제가 해결될테니
    이것도 시간문제구요
    시동안꺼지는 반클러치 상태도 하다보면 감으로 아는건데.....
    운전이란게 특별한 팁이 있는게 아니라 결국 직접 많이 해보는수밖에 없어요

    저도 처음 몰고 나갈때 신호등 빨간불이 너무너무 미웠어요
    ㅎㅎ. 그때 생각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0629 초1 아직 한자리덧셈도 손가락 사용하는데ㅜ 3 연산 2013/12/09 915
330628 12월19일 변호인 개봉합니다~^^꼭! 봅시다~!! 9 변호인! 2013/12/09 969
330627 진로 관련하여 치위생사 라는 직업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2013/12/09 2,854
330626 고기 잴 때 쓸 만한 맛간장 레시피.. 1 키위... 2013/12/09 1,267
330625 검찰은 어떻게 숨어있던 국정원 직원을 찾아냈나 3 세우실 2013/12/09 697
330624 둘째낳은 분들..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26 저기요 2013/12/09 3,271
330623 올해 최고의 드라마는 단연... 28 2013 2013/12/09 4,277
330622 이 글 요약해 주실 분 찾아요. 3 마르코맘 2013/12/09 581
330621 제왕절개 두번이상 하신분들 있으세요? 9 우리 원이 2013/12/09 2,557
330620 대통녕 내려오라 한마디했다고 제명이면... 7 웃김 2013/12/09 1,078
330619 동경에서 8시간 구경할만한 곳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려요~ 7 동경 2013/12/09 981
330618 50 넘으신 분들 시집에 얼마나 자주 가세요? 4 응나미 2013/12/09 1,451
330617 이제 시댁과 끝. 9 2013/12/09 3,105
330616 카드없애신분들...확실히 소비가 줄어드나요? 11 깨꿍 2013/12/09 3,283
330615 서울여행 코스 도움주세요. 1 ... 2013/12/09 687
330614 대기업은 몇세까지 다닐수있나요? 14 ... 2013/12/09 2,563
330613 키작은 남자 좋아하시는 분 계시나요? 12 궁금 2013/12/09 2,814
330612 중1 아이들 그 많은 과목 시험공부 잘 적응하고 있나요. 6학.. 12 어떻게 하셨.. 2013/12/09 1,692
330611 N 드라이브 사용법 질문좀 드려요 4 지음 2013/12/09 1,010
330610 보톡스진짜진짜슬프다 13 돌아와볼턱아.. 2013/12/09 5,417
330609 동의보감 다이어트 해보신분? 2 친한친구 2013/12/09 541
330608 전자도서관에서 책 볼 수 있나요? 4 더몬 2013/12/09 573
330607 이 겨울 ‘그분’이 다가온다 3 재열님 2013/12/09 1,106
330606 나이 40에 오십견이 왔어요. 12 ... 2013/12/09 2,413
330605 울엄마는 왜 꼭 자식 중에 누가 얼마짜리 뭐 해줬다 얘기하는 걸.. 15 자식많은 집.. 2013/12/09 2,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