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나트륨함량땜에 몸에 나쁘다고 하는데

... 조회수 : 4,055
작성일 : 2013-11-23 21:04:17
그건 옛날 말인거 같아요

요즘 사먹는 김치도 그렇고 집에서 담근건 더더욱 그렇고

예전처럼 짜게 안담그는거 같아요. 

지금이야 집집마다 김치냉장고가 있으니 싱겁게 담가도 왠만하면 잘 안변하니

옛날김치처럼 아주 짜게 절여서 물기 쪽빼고 담는 방식이 아닌거 같아요

사먹는 김치도 큰 줄기부분은 덜 절여져서 그런지 생생하구요

김치도 앞으로 계속 저염김치 추세로 나간다면 나트륨함량을 높이는

주범으로 오해받는 일은 점점 없어질거 같네요


IP : 121.167.xxx.24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염이라해도
    '13.11.23 9:07 PM (58.236.xxx.74)

    세 젓가락 정도먹으면 하루 섭취염분을 다 먹는 거래요,
    근데 라면이라도 하나 먹으면 세 젓가락만 먹나요 ? 거의 반보시기정도 먹죠.
    저염이라 해도 생각보다 나트륨 함량이 높을 걸요, 나물이나 샐러드의 비중을 높이는 게 나아요.

  • 2. 김치에
    '13.11.23 9:12 PM (14.52.xxx.59)

    된장찌개 먹으면 나트륨 지옥이죠
    그거 밝히면 한식 망한다고 쉬쉬한다네요

  • 3. ...
    '13.11.23 9:23 PM (218.153.xxx.112)

    김치 맛있고 좋아하긴 하지만 끼니마다 김치를 고집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전 채소 반찬 충분하게 있으면 식탁에 김치 안 올릴때도 많아요.
    그냥 여러 가지 반찬 중 하나로 생각할 뿐...

  • 4. ///
    '13.11.23 9:30 PM (115.126.xxx.100)

    김치에는 칼륨이 많아요.
    칼륨은 체내 나트륨을 배출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저염김치인 경우 나트륨 섭취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5. 나트륨
    '13.11.23 9:37 PM (117.111.xxx.142)

    나트륨 많대요 식영과 교수가 그러더군요 특히 임산부는 하루 작게 두쪽 정도로 김치양 제한하는 게 좋대요

  • 6. 나트륨은
    '13.11.23 9:38 PM (121.145.xxx.107)

    라면에는 더 많죠.
    각종 패스트푸드는 말할 것도 없고요.

  • 7. 당연히
    '13.11.23 9:45 PM (117.111.xxx.142)

    라면에 더 많지만 라면은 자주 안 먹으니까요 저흰 많이 먹어야 일주일에 한번 먹어요 근데 김치는 매끼니 먹고요 우리 고유 음식이고 좋은 기능도 많이 하지만 조금 줄이긴 해야할 듯해요

  • 8. 불쌍한 김치..
    '13.11.23 10:13 PM (218.234.xxx.37)

    우리나라 음식이 다 소금간을 하는 거잖아요.

    유난히 김치가 나쁜 게 아니라 모든 음식이 다 소금간을 하니까 나트륨 함량이 높아지는 것 같은데.

  • 9. .....
    '13.11.23 10:38 PM (39.119.xxx.119)

    지금8,90세된 어른들 주로 잡숫던게 김치 ,된장, 장아찌 젓갈이었는데. . 나트륨 보다 생선, 콩 , 고추가루등 먹거리 재료들이 옛날것 보다 좋질않은게 더 문제같단 생각이 들더군요,

  • 10. 보건소
    '13.11.23 11:04 PM (115.139.xxx.40)

    보건소가서 영양상담 받는데
    먹은 음식들 쓰라고 하면서
    김치는 야채로 치지말래요

  • 11. 글세요..
    '13.11.24 12:58 AM (222.101.xxx.179)

    저도 개인적인 생각에 옛날 어른분들 주식이 거의 김치 된장 고추장 장아찌 젓갈 .
    생선도 냉장고 갇은게 없으니 거의 절임 이런건만 드시고 사셨지만
    지금의 우리 세대보다 더 건강하시고 정정하게 사신것 갇아요.
    오히려 요즘 세대들이 더 골골하죠 정말 나트륨 보다 고기.야채.등등에
    약을 많이치는 먹거리가
    문제인것 갇습니다..

  • 12. ..
    '13.11.24 5:14 PM (211.193.xxx.152)

    싱겁게 담근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고나트륨 반찬인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은데요.
    매끼니마다 상에 올리고 또 섭취량이 많은 경우
    고혈압 위험지수는 확실히 올라가죠.
    한국 노인층이 건강하다? 그건 아니지 않나요.
    고혈압, 당뇨 발병률 높고 위암도 여전히 높잖아요.,
    젊은층은 그와 다른 인스턴트,빵류나 외식 증가로 서구형 질병이 증가했고.
    암튼 한식은 싱겁게 먹되, 국그릇 사이즈도 줄여야하고
    찌개나 저장음식 섭취량도 줄여야한다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2654 염소 우유, 양 우유 요구르트는 어떤 장점이? 1 궁금 2013/12/14 953
332653 진보성향 여성분들 인권 인권이 그렇게 좋으세요? 11 진보의문 2013/12/14 1,009
332652 북한이 나름 똑똑한거 같습니다. 26 2013/12/14 3,155
332651 아래 '완장질'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던 협박글 펑 11 2013/12/14 1,036
332650 오늘같은날 놀러가고 싶은데요 눈꽃 2013/12/14 726
332649 저번에 시아버지 화나셨다고 쓴 며느리예요!!!! 29 아오~ 2013/12/14 9,587
332648 이 패딩 좀 봐주세요.. 어디껀지.. 3 궁금해서요... 2013/12/14 1,379
332647 82에서 완장질하는 사람들. 생업입니다. 21 변화불가능 2013/12/14 2,659
332646 도서관 사서 때문에 진짜 열받았어요. 9 칼퇴근집착 2013/12/14 2,029
332645 갑자기 발바닥이 퉁퉁부었어요 한의원?정형외과? 1 너무아파 2013/12/14 2,040
332644 임신 20주 살 하나도 안쪄도 걱정할일 아니겠죠? 2 ... 2013/12/14 2,592
332643 이 부츠 눈,비엔 안 좋을까요? 1 부츠 2013/12/14 803
332642 가난해서 좋은점 9 2013/12/14 3,411
332641 의대지망생 수리논술 준비할필요있을까요? 5 고삼엄마 2013/12/14 2,640
332640 (((꺅~예뻐요))) 아기가넷(Gannet) 사랑하는 엄마가넷(.. 1 ((동물사랑.. 2013/12/14 852
332639 형광색+검정색 벌레가 득실대는꿈...흉몽인가요? 2 ... 2013/12/14 1,630
332638 전세 연장할 때 7 전세 2013/12/14 808
332637 나이들면 식욕이 없어지기도 하나요? 7 .... 2013/12/14 1,872
332636 익명게시판에서는 명예훼손 성립 안 됩니다 18 2013/12/14 3,259
332635 선택지 두개 중에서 고민이 될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시나요.. 2 dd1 2013/12/14 735
332634 [기사] 서울대 경영 위협하는 경찰대...수능만점자 6명 몰려 3 ㅇㅇ 2013/12/14 3,357
332633 어제 방송한 꽃보다누나 29 눈사람 2013/12/14 12,090
332632 막말하는 친구 6 어휴... 2013/12/14 2,256
332631 왜그런걸까요? 4 2013/12/14 1,127
332630 머리 귀뒤로 안넘기기 11 00 2013/12/14 6,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