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3년 강아지와 갓난아기의 동거

ㅇㅇ 조회수 : 2,581
작성일 : 2013-11-19 16:02:38
가능할련지요?
전 출산 2달앞둔 임신부구요
산후 몇개월을 아기와 친정에 머무를듯해요
신혼집이 친정과 정말 가까워요
엄마집에 있는 강아지에요. 요크셔테리어 13~14살 수컷이에요 젊은 시절에 비해 많이 순해졌는데 워낙 까칠해서 다른 생물의 동거를 용납못하는 아이에요(스트레스 받아함)이런 성격때문에 강아지시절 중간에 다른 동물도 같이 키우고싶었는데 과거 많이 불발되었거든요
이제는 개 나이때문에 다른동물데려와 예뻐하면 충격받을까봐 감히 생각못하고요

걱정되는게 갓난아기를 데려오면 개가 충격받을까요? 아니면 잘 받아들일지.. 신랑이야 초면부터 워낙 서로 관심이 없어서 은연중에 서로 익숙해진듯한데 아기는 일단 작기도 하고; 사람으로 인식할지 걱정이에요 노견이긴힌데 결코 비실하지않고 자기가 노견인지 모르는 쾌활한 개고요. 아빠는 그래도 짐승이라고 혹시 해코지할지모르니 개 방?을 따로 만들어 가두어야한다고 하시는데.. -_-;뭐 그때 되서 상황봐야 알겠지만 아직 잘 상상이 되지않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 겪어보신분 계신가요?? 이녀석은 막 귀찮게 하면 물어요 근데 아무도 귀찮게 안하기때문에 일부러 와서 물진않습니다.. 이런 일겪어보신분? 개와 아기 둘다 아무 충격?없이 ;잘지내었나요??
괜히 아기 데려갔다가 개수명 단축되는건 아니겠죠?
아기야 뭐 일부러 개한테 갖다대지만 않으면 별일없을듯한데
경험담부탁드립니다
IP : 211.246.xxx.2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경험자
    '13.11.19 4:05 PM (211.234.xxx.89)

    십삼년 사신 개에게 적응기간
    필요하구요.
    개키우니까 애보기가 나중엔
    진짜 훨씬 수월해져요.
    둘이 같이 애를 보게 되죠.
    개 이름 삐용이라 치면
    삐용이는 밥먹는데?
    이럼 자기도 막 먹고
    삐용이 어디갔어? 삐용이 좀 봐라이러면 집중도가 생기구요
    애기보기 무지 힘든데
    나중엔 개랑 둘이 보게 되서
    편해요
    개가 스트레스 안받게 잘적응
    시키시구요.
    지금 애기 세살인데
    문적은 한번도 없는데
    가끔 샘은 내더라구요

  • 2. 이린
    '13.11.19 4:20 PM (112.214.xxx.134) - 삭제된댓글

    저희도 노견인데...신생아 1주때부터 같이 있었는데, 뭐 침대가 달라서인지 별로 문제 없었어요. 걷기 시작하니 엄청 귀찮게 하긴 하는데 다 받아주더라구요....정말 신기하게도
    윗분 말씀대로 서로를 인정한다고 해야하나? 부대끼면서 잘 살아요.
    아이 3살인데 아직까지도 사이좋게 지내고 안고 자고 그러면서 잘 보내요.

  • 3. ...
    '13.11.19 4:30 PM (39.118.xxx.100)

    산후 몇개월이면 아기가 누워있을때니까
    식구들이 관리만 잘하면 될것 같아요.

    아기침대 적절히 사용하시면서요.

  • 4. 그게
    '13.11.19 4:35 PM (61.102.xxx.19)

    아기가 어릴때는 괜찮더라구요.
    친정엄마가 아기를 보시는데 제가 여행 갈때 맡기고 가거나 아님 친정 갈때 제가 데리고 가거나
    엄마가 아기를 데리고 저희 집에 놀러 오시거나 하면요.
    저희 개도 정말 천상천하유아독존 스타일의 까칠강아지 인데요.
    아주 신기 하게 우리집 조카들 한테는 너그러워요. 아기가 만질려고 하면 정말 표정 보면 똥씹은 표정에 싫다는걸 느끼겠는데 꾹 참는게 보여요. 그리고 몸을 내주고 그냥 버텨요.
    으르렁 소리 조차 안내더라구요. 다른집 애들 울 집에 놀러와서 만지려고 하면 완전 까칠하게 굴어서 내내 제가 안고 있어야 하는데 정말 가족은 알아 보는지 신기 하더군요.

    물론 이것도 강아지에 따라서 다를순 있어요. 사람마다 성격 다르듯이 강아지도 다 다르니까요.

    오히려 아이들이 자라니까 아이들이 강아지를 너무 괴롭혀서 죽도록 도망 다녀요. 강아지가요.
    그래서 될수록 안맡기고 안데리고 다녀요. 덕분에 여행도 못가고 있다죠.
    아이들이 얼른 커서 서로 사이 좋게 공존 할수 있으면 좋겠어요. 그땐 우리 강아지도 나이 더 많이 먹을테니 좀 더 편해지겠지요.

    정히 신경쓰이시면 꼭 친정가서 몇달 지내셔야 하나요?
    그냥 산후조리원 갔다가 댁에 가셔서 엄마가 왔다갔다 하시면서 봐주시는 방법이 더 속 편하실수도 있어요.

  • 5. 웬만해선
    '13.11.19 4:47 PM (124.61.xxx.59)

    개랑 아기랑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인데요, 열거하신 개 성격을 보니 조심해야할 거 같습니다.
    물기도 하고 이제까지 자기 뜻대로 다 누리고 산 개님이잖아요. 모든 관심이 아기한테 집중되다 보면 샘 낼거 같아요.
    수의사한테 들은건데, 주위에서 뭐라고 해도 좀 자유분망하게(나쁘게 말하면 버릇없이) 키우던 견주 강아지가 견주 조카 얼굴 물었대요. 물린 쪽에선 당연히 난리가 났고 상처야 작지만 하필 얼굴이 물려서 가족간에 거의 원수지간이 됐다고 하대요.

  • 6. shuna
    '13.11.19 4:48 PM (175.223.xxx.246)

    까칠하고 물기도 하는 애라면.. 굳이 그 집에 가서 있어야 할까 싶네요.
    원글님 집에 같이 사는 아이라면 시도해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친정집이라면 굳이..

  • 7. ㅁㅇㄹ
    '13.11.19 5:33 PM (39.114.xxx.145)

    아기가 안움직이니 아기쪽으로 팬스를 하나 치시는게 낫지 싶은데요.
    개를 방에 가두면 것도 불쌍한 상황.

  • 8. 둥이맘
    '13.11.19 6:52 PM (211.184.xxx.28)

    저희 강아지 4살 때 우리 쌍둥이가 태어났어요.
    주위에서 강아지 다른 데로 보내라고 했는데. 제가 그럴 수가 없어서 지금까지 같이 살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찾아 본대로 애들 기저귀 냄새를 맡게 했고, 처음 한 달 정도만 친정집에 맡겨고 그 이후는 계속 같이 지냈네요.
    아주 어렸을 때만 방안에 못들어오게 하고 돌 지난 이후부터는 방안에도 들어와서 잠도 같이 자며 지내고 있습니다.

    우리 강아지는 크게 아이들한테 관심이 없더라구요. 지금도 마찬가지구요.

    애들이 강아지 때문에 다치거나 아픈데 없이 잘 지내고 있습니다.

  • 9. 둥이맘
    '13.11.19 6:54 PM (211.184.xxx.28)

    참, 우리 강아지도 다른 애들보면 짓고 가끔 물려고도 하는데 우리 애들한테는 안 그럽니다.
    아마 자기 가족이라고 생각하나 봐요.

    인터넷에 보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0. 돌돌엄마
    '13.11.19 7:22 PM (112.153.xxx.60)

    조리원 가세요. 출산 직후에는 애 걱정만 해요;
    개님 신경쓸 겨를이 없을 듯요.
    괜히 친정 식구랑 싸우게 될지도 몰라요.
    정말 예민해지거든요

  • 11. 00
    '13.11.19 8:41 PM (211.246.xxx.28)

    조리원은 2주 들어가기로했습니다
    친정으로 들어가려는건 신혼집이 추워서 겨울에
    신생아일텐데 아기가 감기에 걸릴까 걱정되서요
    언제까지 꼭. 이런게 아니라 가벼운마음이에요
    사실 이래도 되고 저래도 되요^^;
    출산후 예민해지는군요
    많은분들 조언과 경험담들어간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2022 카페 글 캡쳐 못했는데 신고 가능한가요? ^^* 2013/12/12 661
332021 새누리와 정부에서 부정선거 의혹에 관해 한 번이라도 해명한 적 1 솔직히 2013/12/12 595
332020 아들의 입영통지서 10 무아 2013/12/12 1,865
332019 이 오리털 패딩 어떤가요? 11 봐주세요 2013/12/12 2,544
332018 장터 중고 옷값 40 우리가 봉이.. 2013/12/12 4,875
332017 코트 소매가 어디까지 와야 맞는걸까요? 5 5cm만컸어.. 2013/12/12 1,386
332016 초등 1학년 눈썰매장 가는데 고글 꼭 가져가야할 필수품인가요? 5 눈썰매장 2013/12/12 807
332015 도어락 쓰시는분들 어떤거 쓰세요? 4 기계치 2013/12/12 1,352
332014 볼만한 주간지 추천 좀 해 주세요 1 요즘 2013/12/12 892
332013 카시오 전자사전 5 일본어 2013/12/12 1,077
332012 우리 아기 말이 빠른 건가요? 14 아가야 2013/12/12 2,230
332011 눈 아주 안좋은 노인 분들이 읽을 수 있는 성경책 추천 부탁드립.. 2 사랑 2013/12/12 808
332010 국정원의 자체개혁안. 국민에게 큰 웃음을 주려는걸까? 1 세우실 2013/12/12 696
332009 아파트 씽크대 공사 여쭤보아요 4 조심스레~ 2013/12/12 2,005
332008 8살 버스비나 지하철료, 목욕탕비 1월부터 제값 주고 내야 하죠.. 3 ... 2013/12/12 1,115
332007 단어 줄여서 쓰는거 짜증나지 않으세요 남대문-남댐 18 ^^* 2013/12/12 1,623
332006 겨울방학때 이사와 아이들 전학문제 ... 2013/12/12 1,162
332005 아이스크림홈런에 대해서 1 두아이맘 2013/12/12 1,364
332004 고학년 남자애들 부츠 뭐 신나요? 2 신발 2013/12/12 774
332003 일산인데 하늘이 샛누렇네요 9 ㅇㅇ 2013/12/12 1,910
332002 꾹꾹 참고.. 직장 다니면 언젠가는 더 좋은날 오겠죠? 6 워킹맘 2013/12/12 1,246
332001 저희도 아직 난방 안해요. (전기장판도 안켜고 있음) 19 겨울 2013/12/12 4,180
332000 이마트 마누카꿀 괜찮을까요 2 2013/12/12 2,132
331999 '두개의 냉전, 박근혜정부가 끝내야' 美허핑턴포스트 세우실 2013/12/12 734
331998 지노베타딘 효과 좋은가요? 5 으앙 2013/12/12 5,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