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종교가 안 맞을 수도 있을까요.

종교가 조회수 : 1,172
작성일 : 2013-11-03 15:35:50
평생의 모태천주교인으로 살았구요.
시댁이나 친정 모두가 천주교입니다.
두집안을 통털어 한가정이 개신교를 믿고 모두가 천주교를 믿는 집안입니다.
어릴때부터 성당을 다녔는데 그때는 잘 몰랐어요.
꿈에 예수님도 잘 왔다 가시고 성모님도 보이고.. 
그러다가 성당에서 수녀님이나 신부님의 인간적인 면이 보이고 고등학교때 너무 바빠지면서
성당은 그만 나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커가면서 다시 성당을 나가는데
이번엔 이상하게 성당에 나가기만 하면 안좋은 일이 생기더군요.
그리고 아무리 기도를 해도
돌아가신 분이 꿈에 나오는 일은 멈춰지지가 않았습니다.

제가 며칠전 점을 보고 왔다고 썼는데요.
그 무속인분이 제게 사실 그런 사람 많을거 같고 무속인분들도 대부분 그런식으로 말할거 같긴 한데
첫마디가 꿈을 꾸나요? 라는 말이었어요.
꿈속에서 돌아가신 조상분들이 많이 다녀가시는 관상이라고 하셨어요.
그리고 제 몸 자체가 돌아가신 조상분들이 아주 먼먼 옛날 조상까지도 왔다갔다 다녀가고 머무르고 하는 곳이라고요...

그리고 그분과 말을 끝내고 
집에 와선 처음으로 꿈을 그런 꿈도 꾸지 않고 가벼운 몸으로 쇼핑도 가능했고 (보통은 한시간 이상 쇼핑하면 
집에서 세시간 이상 자야합니다.) 친구들과 만나서 하루종일 있어도 너무 좋았어요.
심리적으로 치료를 받은것 같았구요.

그리고 그 다음날 절에 갔습니다.
그리고 카드를 만들었구요.
아이들 앞으로 인등도 켜고 쌀도 한포대 사서 올렸습니다.
초도 켰구요.

그리고 지금 이상하게 몸이 가볍습니다.
여전히 버릇처럼 입으론 주기도문이 나오는데요. (전 주기도문을 하루에 백번은 넘게 외우곤 해요.. 꿈에서까지 합치면
엄청나게 할거에요. 꿈을 너무 무서운걸 계속 꾸니까 주기도문을 꿈에서도 외우거든요.)
마음이 편하고 좋습니다.

제가 지금 잘 못하고 있는건지 잘 하고 있는건지는 모르겠어요.
아마 우리집안에선 처음으로 보살님 소리 듣는 사람이 되었을거 같은데도 양가 부모님이 뒤집어지실걸 생각하면
부담스럽지만 지금 마음은 편하네요.

아이 부정을 풀어주는 의식은 아직 하지 않았습니다.
남편은 부처님 앞에 초를 켜주었어도 불교식으로 하든 무속인의 방법으로 해주던 한번은 해줘야 하는 그걸 해주라고 합니다만 그것은 고민중이구요.

불교에서 외울수 있는것을 찾아서 외워볼까 합니다.

저같은 사람도 있을까요.

참 저는 평생 제가 다중인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고 살았습니다만
무속인분이 제가 제게 머무는 조상에게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런것이라고 하더군요.
그런 일도 있을수 있을까요.

제가 아이때문에 혹시 지금 정신이 이상해진 상태가 아닌지도 걱정이 됩니다

IP : 1.241.xxx.158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전 제글입니다.
    '13.11.3 3:37 PM (1.241.xxx.158)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686385

  • 2. .....
    '13.11.3 3:51 PM (180.229.xxx.142)

    그런 경우 있어요...저같은 경우 독실한 불교신자인데요..사실....전 교회를 가면 마음이 좋더라구요..ㅠ 여기 기독교싫어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말하긴 그런데..자꾸 올해는 꼭 교회 다녀봐야지 이런 새해결심 할 때도 많았구요..지하철에서 성경 보시는 분들 보면 그 모습이 그렇게 좋아보일 수 없었어요....근데 전 아는 사람없이 혼자 교회 몇번 나가면 이상하게 일이 생겨서 못 나가게 되더라구요..제가 의도한 일이 아닌..솔직히 속으로 혹시 마녀가 못가게 잡는건가? ㅋ 그런 생각도 해봤는데요..제가 아는 스님은 아는 친구보고 넌 이마에 십자가가 있다고 절보다는 교회나 성당에 다녀야 마음이 편하다고 하더라구요...저도 그렇고 그런 경우가 있나봐요~

  • 3. 기도
    '13.11.3 4:16 PM (220.76.xxx.244)

    주위 분들께 기도요청을 해 보시지요?
    함께 어려움을 나누는 게 필요해보입니다.
    다니시는 성당 신부님과 상의를 해보시든지 믿음 있는 분과 의논해보세요.

  • 4. 어려워마세요
    '13.11.3 4:54 PM (124.195.xxx.86)

    전 친가쪽으로는 윗대부터 먼 친척까지도 다 개신교신자예요.
    하지만 20대중반 과감히 천주교로 개종했어요.그리 좋을 수가 없더군요.이해 안되는 게 너무 많았거든요.
    교리적으로도 그렇고 도대체 그들이 뭘 위해 사는지도 모르겠고 성경의 내용이 뭘 위해 있는지도 모르겠고..
    천주교에 우연한 기회에 입문했는데 그 모든 게 이해되더군요.참 편해졌어요.현실세계가 정리된건 아니지만..

    이번 새 교황님이 그러셨죠."무신론자들, 신앙 없으면 양심 따르면 된다"
    뭐 무신론자와 불교신자는 다른 걸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주위의 눈치를 보느라 가보고 싶은 길을 안 가볼 이유는 없다고 생각해요.

    종교가 우리를 감화시켜 즐거이 구속되는 건 몰라도 교리와 권위에 눌려 지나치게 구속시키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해요.많은 사람들이 너무 경직된 교리로 인해 자라면서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서도 늘 갈등의 연속이 되는 건 정말 여러방면으로 낭비인 것 같아요.특히 개신교사회는 더 하죠.

    내가 해보지 않은 일,가보지 않은 길을 가보는 것도 사람을 성장시키고 스펙트럼을 넓히는 일이란 생각을 해요.그냥 한번 가보고 아니면 돌아나오면 되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6067 댓글 보다가 김기춘 아래 큰 백들이 있다는데 그들이 누구인가요?.. 14 김기춘 2013/11/26 1,658
326066 아마존닷컴 한국배송비 무료라고 하길래 파니니 기계 사볼까 하는데.. 21 언니들 2013/11/26 4,813
326065 법륜," 내가 안시켰으니 사과 안해?, 그럼 아베는?&.. 2 ++++ 2013/11/26 1,793
326064 대한민국 호구 인증.jpg 참맛 2013/11/26 1,377
326063 박근혜는 진보인데 왜 자꾸 보수라 하는지 7   2013/11/26 977
326062 후추대신 바질을 넣는데요 2 후추 2013/11/26 3,146
326061 공부가..외향적인 아이 대 내향적인 아이.. 7 노는 것도 .. 2013/11/26 2,252
326060 답을 늦게 주는 사람들.. 7 .. 2013/11/26 2,668
326059 [5박6일 가족여행] 가족끼리 오랜만에 가는 해외여행... 어디.. 5 함께걷고싶다.. 2013/11/26 1,771
326058 정관장 제품 잘 아시는분!!? 1 플로우식 2013/11/26 954
326057 랜즈엔드 직구 11 몰라서요 2013/11/26 2,014
326056 총각김치 처음 담가보려 하는데요~!! 12 찜질방달걀 2013/11/26 2,197
326055 아는 지인이 시작한 멜라$%카.. 1 ^^ 2013/11/26 1,511
326054 아이들 영어회화요. 1 영어공부 2013/11/26 1,256
326053 왼쪽 누비지오이불 주문은 되는데 환불은 어렵네요. .. 2013/11/26 998
326052 아들 때문에 머리가 아파요 1 영어 2013/11/26 1,391
326051 딸이 떡볶이가 먹고싶다고... 13 라마 2013/11/26 3,517
326050 갑자기 비가오니까.. 알파팀 2013/11/26 1,144
326049 아랫층 사람이 노페 대리점하는데 8 카레라이스 2013/11/26 3,692
326048 고등학생들 11월 모의고사 성적표 나왔나요? 2 고등맘 2013/11/26 2,906
326047 애슐리 가면 칼로리 포기해야겠죠,, 4 2013/11/26 6,413
326046 탄수화물 중독은 뚱뚱이를 만든다?이거 진짠가요? 12 몽몽짱 2013/11/26 3,405
326045 남친의 이런행동..그냥 이해해야 되는건가요? 15 노처녀 2013/11/26 4,136
326044 라쿤목도리요 2 패딩에 달아.. 2013/11/26 1,403
326043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을 주는 음식들 2 효롱이 2013/11/26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