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북한이 지금까지 안망하고 끈덕지게 살아온게 아이러니 하게도..

호박덩쿨 조회수 : 1,810
작성일 : 2013-10-16 01:35:31

북한이 지금까지 안망하고 끈덕지게 살아온게 아이러니 하게도..

 

자본주의의 도움을 받은거네요 (※역설이기는 하지만 ㅎㅎ)

 

여기 보니

 

북한이 1978~ 1980년대 초에 주민들 300만인가 굶어 죽었잖아요

 

그때 꽃제비들이 득실거렸는데

 

이 북한을 구제해준게 아이러니하게도

마르크스 레닌 사상인 공산경제가 아니라 ‘자본주의 시장경제’ 였던거죠

 

 

쉽게 말하면

다죽어가는 빈사상태의 사람에게 수혈을 해준게 다른사람의 몸(OS) 이었던거죠

(※결국 북한도 시장경제로 공장에 자율성을 부여해서 지금까지 안죽고 산거임)

 

그것도 원수의 피 남한의 자본주의 시장경제..

 

 

왜냐면 북한은 원래 공산주의라

꼭 필요한 만큼만 공장에서 생산하고 꼭 필요한 만큼만 공급하자나요

 

이른바 계획경제인거죠

(※물론 계획경제는 지구보호나 환경 측면에서는 과도한 쓰레기가 발생하지않아 장점임)

 

 

하지만 재난이나 환란이 닦치면 완전 무방비 인거죠

 

 

그래서 고난의 행군이 닦쳤을 때 대비하지못하고 300만명이 굶어죽었던거죠

 

 

그래서 북한 당국자들이 생각하기를..

 

 

아 이거 큰일났다 “사회주의 경제 체제 계속하다간 망하겠다” 이런생각 절실했던거죠

 

 

실제로 자본주의의 경제체제의 단점은 과잉생산이죠 맞죠?

(※그래서 불필요한 쓰레기 많이 발생해 지구온난화등 환경파괴의 주범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장점은

 

수출 많이 하는 쪽이 수출 적게하는 적자기업들에게 직접 도움을 주지는 못하지만

세금은 국가에 많이 낼수 있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본다면 갑작스럽게 닦치는

국민적 재난에는 훨씬 더 융통성 있게 잘 대응해 나갈수있다는 장점이 있는거네요

 

 

 

그래서 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에서는 북한처럼 농사가 여러해 망해서 ‘고난의 행군’이

닦친다해도 다른기업이나 다른분야 흑자가 난걸로 메꿀수 있기땜에 큰 문제없는거죠

 

 

 

(※갑자기 쓰느라 두서가 없고 부족한 부분이 많을거니 이 점 양해해 주시기를요)

http://www.dailian.co.kr/news/view/388859

IP : 61.102.xxx.190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제생각은요
    '13.10.16 2:13 AM (115.140.xxx.66)

    90년대 북한이 고난의 행군 시절을 겪었던 것은 핵개발을 포기하지
    않아서 였습니다.
    계획경제가 오히려 필요한 만큼 생산하기하 힘든 구조이죠
    자본주의가 완전경쟁으로 필요한 만큼 생산하는 개념이구요

    계획경제라고 수출 수입을 못하는 것 아닙니다.
    자본주의만 수출 수입을 할 수 있는 것 아니구요

    북한이 식량난을 겪었던 건 핵을 포기 하지 않으니까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경제봉쇄정책을 썼기 때문입니다
    그때는 중국마저도 북한에게 등을 돌리고 무역을 하지 않았죠

    그게 아니었더라면 지하자원 팔아서라도 식량을 조금은 마련할 수 있었겠죠

    결론은...핵무기를 포기 못해 주민들이 굶게 된 것입니다.

  • 2. 그리고
    '13.10.16 2:35 AM (115.140.xxx.66)

    북한이 아직 망하지 않은 이유는
    핵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게 아니었음 미국에게 망하든지 중국손에 들어가든지 했을 것 같은데요

  • 3. 호박덩쿨
    '13.10.16 2:36 AM (61.102.xxx.190)

    봉쇄정책은
    그거 아니라도 할려면 얼마든지 해요

  • 4. 호박덩쿨
    '13.10.16 2:37 AM (61.102.xxx.190)

    그러기에 내나 자본주의 영입이 맞다니까요 ㅎㅎ

  • 5. 호박덩쿨
    '13.10.16 2:38 AM (61.102.xxx.190)

    가령, 북한이 화학무기 가지고있어도 봉쇄정책은 들옵니다

  • 6. 그게...
    '13.10.16 3:21 AM (115.140.xxx.66)

    북한이 자본주의를 채용하려고 하는 건 맞습니다
    자본주의가 계획경제보다는 경제적 효율성면에서 더 낫다는 건
    진리니까요.

    다만 북한이 망하고 망하지 않는 생존문제는 자본주의 도입과
    별로 관계없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예를 들면, 중세이전의 시대에도 자본주의
    개념 같은 것이 없었어도 나라들이 존재하고 운영되었죠

  • 7. 호박덩쿨
    '13.10.16 3:28 AM (61.102.xxx.190)

    그때는요 가난한자가 죽어도 눈도 깜짝안하는 지주와 노예 봉건제도였기 때문에 가능했던거죠
    즉, 90%가 죽어도 10%는 산다
    이런 거 이해되실려나 모르겠네

  • 8. 호박덩쿨님
    '13.10.16 4:06 AM (115.140.xxx.66)

    ㅎㅎㅎ 제 말이 그말입니다. 봉건제도에서도 자본주의라는 것 없이 나라가
    운영되어 왔다는걸 인정하시는 군요

    봉건사회뿐 아니라 고대국가에서도 자본주의같은 거 없이도 나라들이 잘
    유지되어 왔지요 ^^

    북한도 그렇다는 거죠.

  • 9. 호박덩쿨
    '13.10.16 10:39 AM (61.102.xxx.9)

    하지만 원조 북한은
    지줃도 없고 소작인만 있는 체제였잖아요
    뭐 공산당이 정치집단이지 생산을 하는 집단은 아니고

  • 10. 자끄라깡
    '13.10.16 11:45 PM (220.72.xxx.130)

    봉건제도나 고대국가에서 자본주의 같은게 없이도 잘 유지가 된게
    다른 지역이 모두 같은 경쟁하에 있었기에 가능한거죠.
    만일 다른 지역이 자본주의 였다면 버텨 냈겠어요?

    북한도 공산주의 이념을 가지고 있지만
    자국의 발전을 위해서 수출입 하고 싶었겠죠.
    다만 미국 말을 듣지 않으니 미국을 위시한 똘마니 나라들이 못하게 막으니
    못한거 뿐이구요.

    북한이 자본주의의 도움을 받았다구요?
    참 내, 원조를 제일 많이 준 나라는 미국도 아니고 중국이예요.중.국.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0396 온수매트에 대해 궁금합니다.^^; 6 궁금 2013/11/12 1,995
320395 김진태 폭언, 글로벌 파문으로 더욱 확대 3 light7.. 2013/11/12 1,155
320394 무를 겨우내내 저장하는 방법? 2 질리도록 먹.. 2013/11/12 3,479
320393 영어 틀린 부분을 알고 싶어요. 7 평범한중년 2013/11/12 958
320392 아파트1층 쥐소탕기 7 네버 2013/11/12 5,677
320391 안철수, 세력화 박차...전국 실행위원 534명 발표 &.. 3 미륵 2013/11/12 1,933
320390 저두 코트 함 봐주세요^^ 10 코트 2013/11/12 2,083
320389 양재 디오디아 부페 가보신 분 5 디오디아 2013/11/12 2,645
320388 가구환불(조언절실) 4 머리아파 2013/11/12 1,624
320387 키작고 다리짧은 사람 롱부츠신고싶은데요 4 겨울 2013/11/12 1,910
320386 12월 겨울방학에 세부로 여행가는데 태풍으로 ... 7 11월 2013/11/12 1,765
320385 어찌해야 기운이 날까요 2 ... 2013/11/12 804
320384 회사에 짝사랑하는 선배님이 있어요~ 14 짝사랑 2013/11/12 7,112
320383 쌍욕하는 남친이랑 헤어졌어요. 언니, 이모분들 한번만 봐주세요... 29 묘묘묘 2013/11/12 8,366
320382 유럽이불 커버 싸이즈 땜에 고민중 2 하면하면 2013/11/12 753
320381 황우여 ”권력기관 대선개입 의혹 영원히 과거에 묻어버려야” 8 세우실 2013/11/12 1,320
320380 차안에 둔 물건들 도둑맞았네요 ㅠ 5 산호세 2013/11/12 2,038
320379 가수 나미씨 뮤비 "보여" 2 언니 화이팅.. 2013/11/12 1,071
320378 상속자들 재방보는데 최영도란 캐릭터 27 .. 2013/11/12 4,658
320377 저희애, 담임쌤에 대한 느낌이 사실일까요? 28 초6 2013/11/12 11,573
320376 친할머니가 너무 싫어요. 17 한비 2013/11/12 4,800
320375 대만 여행을 가는데요~ 4 여행자 2013/11/12 1,418
320374 필리핀사람들 너무 안쓰러워요.. 4 필리핀 2013/11/12 2,032
320373 실내습도와 가습기 작동 문의드려요 2 광화문 2013/11/12 765
320372 예쁜 쿠션을 사려고 하는데 어디로 가야 하나요? 3 ... 2013/11/12 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