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가 과목마다 꼭 두 세개 틀려요.

시험 조회수 : 1,391
작성일 : 2013-10-05 10:33:46
공부를 제대로 한 것도 아니고 안 한 것도 아니여.

나름 공부 했겠죠.

그런데 시험 보면 1개에서 3개 정도를 틀려와요.

점수는 배점 높은 것도 있어 96점부터 80 점대 후반까지 나와요.

이런 아이, 실수든 뭐든 실력일텐데, 이제 고등학교 올라가는데,

고 두 세개 안 틀리는 비법 같은거 있을까요?

매번 보면 안타까워서...
IP : 211.209.xxx.1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진28
    '13.10.5 10:36 AM (210.117.xxx.61)

    배점 높은 걸 틀린다는 것은 난이도가 있는 걸 틀린다는 건데 고등학교 가면 시험 난이도에 좌절하고 성적이

    잘 안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고등부 선행을 좀 빡시게 시켜야 할 듯 한데요;;;

  • 2. 우유
    '13.10.5 10:39 AM (39.118.xxx.94)

    반복과 심화가 덜 된 듯..
    100점과 90점의 차이죠

  • 3. 100점과
    '13.10.5 10:46 AM (180.65.xxx.29)

    1개틀리는건 하늘과 땅 같아요. 100점 맞는 애들은 그 한문제 때문에 얼마나 더 노력하는지 몰라요
    실수면 몰라도 매번 그런건 완벽하게 준비한 애와 아닌애 차이 같은데요

  • 4.
    '13.10.5 12:09 PM (211.48.xxx.230)

    아이가 시험에 긴장을 많이 해서 그럴수도 있어요
    몰라서라기 보다 100점에 대한 압박 때문에 그럴수도
    있어요 아이도 잘보고 싶겠죠
    100점과96점은 정말 대단한 차이입니다 100점을
    맞으려면 정말 많이 봐야합니다 완벽하게
    아이가 자기 생각에는 완벽하게 봤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부족한거죠 긴장도 많이하고
    덜렁대기보다 잘보려고 하니까 실수를 하는거 같아요
    딱 한번이라도 100점 맞으면 잘 맞는데 그게 어렵죠
    시험때 릴렉스 할수 있도록 엄마가 편하게 해주세요
    반복을 많이 하도록 조언해주시구요

  • 5. ㅇㅇ
    '13.10.5 12:21 PM (211.209.xxx.15)

    답지 낼 때 너무 쉬워서 이번건 100점이겠구나 하고 낸대요. 덜렁거린다는 얘기겠지요? 스스로 고쳐야 할텐데,

    많은 답변 얘기해 줄게요. 감사합니다.

  • 6. 공부의 깊이
    '13.10.5 2:19 PM (119.207.xxx.52)

    공부를 깊게 하지 않아서 그런 거에요.
    과목마다 그런 현상이 있다는 것은 단지 덜렁대는 성격 때문만은 아니에요.
    초등학교나 중1정도 저학년때는 80%정도 깊이로 공부해도 맞을 수 있도록 문제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100% 이해하고, 응용하고, 암기하지 못해도 대충 맞을 수 있는거죠.
    중학교 고학년부터 수능까지 올라갈 수록 변별력을 주기위해
    100% 완벽하게 알고있지 못하면 틀리는 문제가 꼭 출제됩니다.
    이런 문제들은 오히려 80~90% 정도만 알고있는 아이들이 딱 걸려들기 쉽게 함정을 파서 문제를 내기때문에,
    어설프게 공부한 아이들은 다 걸려들게 되어있어요.
    그래서 시험 볼 때는 쉽다고 하며 풀었다가 나중에 보면 틀리는 거에요.
    이런식으로 완전 열심히 공부한 아이와 적당히 열심히 공부한 아이를 가려내는 거죠.
    그래서 공부는 100% 완벽수준을 목표로 공부를 해야하고 이렇게 하는 아이들이 나중에 최상위권을 형성하고
    좋은 대학에 갑니다.
    그런데 아이에게 깊게 공부하라고 한다고 해서 다 스스로 할 수 있는건 아니에요.
    스스로 공부를 깊게 파고들어 할 수 있는 아이는 이미 전교권일 것이고,
    이런 아이를 공부머리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뭐가 깊이 있는 공부인지 몰라요.
    내가 이 단원의 내용을 다 아는가? 친구에서 설명할 수 있는가?
    잘 알고 있는 부분은 뭐고 아직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런식의 스스로의 검증능력이 약해서 그런거에요. (이를 메타인지능력이라고 해요)
    이런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무조건 열심히 해라 한들 어디까지가 열심인지 잘 몰라요.
    또 열심히 한다해도 시간투자 대비 효율이 낮죠.
    내가 모르는걸 찾아내서 알도록 하는게 공부의 목적인데
    정작 모르는건 그냥 패스하고 아는 것만 주구장창 반복하는 엉터리 공부가 되기 쉬어요.
    그런 아이들은 옆에서 누가 도와주면 좋은데요,
    즉, 아이에게 공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일 좋아요.
    아이가 설명을 할때 단지 아이가 단순 암기만으로 설명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계속 더 깊게 파고들어 가면서 추가적인 질문을 해서 아이가 대답을 잘하는지 점검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아~ 이건 설명할 수 있으니 아는 것이고 이건 대답을 못했으니 모르는 것이고
    그러니 이런이런 부분을 시험전에 더 보완해야겠다.
    이렇게 상당기간 훈련을 시키면 공부를 어느 정도까지 깊게 해야하는지 터득을 하기 때문에
    나중에 스스로 잘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머리가 지속적으로 훈련을 시키면 어느정도까지는 꽤 발달이 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이런 점검자 역할 또는 훈련자 역할을 누가 하느냐 인거죠.
    어려서는 부모님이 제일 좋은데,
    학년이 올라갈 수록 잘 모르고 귀찮으니깐 아이들을 보통 학원이나 과외로 보내죠.
    학원은 개인별로 점검을 꼼꼼히 해주는 저런 과정이 불가능하므로 당연히 패스.
    과외도 천차만별이라 그렇게 정성껏 해주는 과외샘 만나기도 어렵고. 참 어려워요.
    아, 그래도 현실적인 결론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그런 역할을 해주실 수 있으면 제일 좋구요.
    그게 힘들면 주요 한두 과목 정도 좋은 과외샘 찾아서 일정기간 맡겨 훈련시키는 것도 방법이에요.
    또 아이들 중에 나중에 언제든 공부철이 들어서 성적 욕심, 대학 욕심이 생기면 어느정도 머리가 있는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을 마구마구 하면서 저런 과정으로 잘하게 됩니다.

  • 7. ㅇㅇ
    '13.10.5 2:43 PM (211.209.xxx.15)

    공부의 깊이...긴 글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겠네요. 깊이 있는 공부 안 하는거 같긴 해요. 제가 도움이 되면 좋겠는데 받아줄지. 노력해 봐야겠어요.

  • 8. 베이글
    '13.10.5 3:54 PM (221.158.xxx.150)

    저도 정성어린 글 감사합니다

  • 9. parkeo
    '13.10.5 5:13 PM (115.143.xxx.11)

    저도 감사..
    항상 깊게 많은 양을 공부하는 우리딸이 성적은 그래도 큰 차이가 안나는것 같다고 투덜될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을 볼수있을꺼라 다독거려 주었었는데 제 생각이 맞았었던것 같아 안심되기도 하네요..

  • 10. 답글
    '13.10.5 10:28 PM (180.65.xxx.30) - 삭제된댓글

    댓글좋아서 아이랑 함께 보려구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906 담임선생님 결혼...어떻게 하시나요? 4 ... 2013/11/05 1,578
317905 홈쇼핑에서 파는 스마트폰이요.. 10 궁금 2013/11/05 2,217
317904 포장이사하려는데.. 2 이사예정 2013/11/05 696
317903 요새 애들 소풍김밥 보온도시락에 싸주시나요? 2 ... 2013/11/05 2,351
317902 남편이 일하기 싫다네요.. 2 03 2013/11/05 2,104
317901 김치냉장고옆에 바로 전기쿡탑 설치하는 것 괜찮을까요?? 4 ~~ 2013/11/05 1,445
317900 법원, 대선당시 박근혜 후보 비방글 선거법 무죄 호박덩쿨 2013/11/05 597
317899 고추 소금물에 삭히는 중인데요. 질문있어요? 12 삭힌 고추 2013/11/05 1,832
317898 영국의 천사같은 초등생들의 합창 8 빛의나라 2013/11/05 780
317897 마녀사냥에서 오메기떡 왜케 맛나보이나요? 5 dma 2013/11/05 3,396
317896 응사에 김종민도 나왔었네요 2 ㅋㅋㅋ 2013/11/05 1,617
317895 60대 어머니 사드릴 저렴한 패딩 없을까요? 12 ... 2013/11/05 2,226
317894 KT의 인공위성 헐값 매각 의혹이 확산... 2 미디어오늘 2013/11/05 653
317893 살면서 되는일도 없다고 느낄때..어떻게 하셨어요? 2 .... 2013/11/05 1,400
317892 꽃보다 누나 티져 보셨어요? 9 호.... 2013/11/05 3,389
317891 할머니께서 입으실만한 조끼있는 백화점 브랜드 있을까요?? 2 ㅇㅇㅇ 2013/11/05 2,563
317890 나정이 남편 추리 17 지나가다 2013/11/05 5,788
317889 8살 죽은 아이 땜에 맘이 찢어질것같아요 8 참담 2013/11/05 1,621
317888 폰에 연결할 스피커 추천해주십시오. 2 올리브 2013/11/05 524
317887 어깨관절경 수술해보신분 계신가요?? 7 석회어깨 2013/11/05 2,924
317886 세면대 수전이 고장났는데.. 이런건 직접 해야하는거죠? 관리실에.. 3 ... 2013/11/05 2,075
317885 펌)서울시 올빼미버스 흥행대박에 경기도 '속앓이' ,, 2013/11/05 1,390
317884 Garage Sale을 하려구요... 1 2013/11/05 674
317883 영통 밀알 보내시는 분들 계신가요? 이 모에요 2013/11/05 1,705
317882 독어 개인과외선생님은 어디서 구해야할까요?? 6 ... 2013/11/05 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