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장김치 간을 짜게와 싱겁게-두가지로 하시는분 계신가요?

김치반찬 조회수 : 1,907
작성일 : 2013-09-23 12:14:57

오늘 절인배추 신청하고 어떡게 김장을 할까 검색중입니다.

저는 엄마가 다른음식은 잘하시는데 김치에 유독 약하셔서

어릴적부터 맛있는 김치를 못먹고 자라왔어요.ㅎㅎ

찌개나 김치전 김치볶음밥등 엄마 김치를 이용 다른 음식으로 환생시키면 먹을만한데

통에서 바로 꺼내 썰어서 반찬으로 한접시 내놓으면 아무도 안먹었지요.ㅜ

바로 먹을수 없게 짜기도 했고..김치는 그냥 그렇게 김치찌개나 이런걸 만들어 먹는 음식이다 뭐 그러고 살았는데...

중학교때 반찬으로 싸온 친구네 엄마 김치맛..와 정말 충격이었어요.

어쩜 그리 아삭 상큼, 정말 밥에 김치만 있어도 먹겠더라고요.

그래서 엄마한테 우리도 그렇게 해달라 졸랐는데

엄마가 결국 못해주셨어요. 먹어보라고 해놓으시면 똑같고..ㅎㅎㅎ

지금 생각하면 그때 우리 엄마, 얼마나 속상하셨을까..나도 맛있는 김치 하고 싶다고~~~!!!! 하셨을것 같아요.

그런데 제가 결혼하고 이제 김장을 담아먹고보니

흑흑흑...

제 김치가 그래요.

유명한님들 레서피 따라해보고 그랬는데, 심지어 저울까지 가져다놓고 양념양을 재서 하기도 했는데

별 재미를 못보았어요.

산들바람님것은 처음엔 맛있는데 오래 보관이 안되더라구요.

무우를 갈아 넣으라는 어떤 레서피도 별로....

작년 김장은 50키로라는 많은 양에 부담을 느껴

오래 보관할수있어야된다 생각에만 집중, 심지어 너무 짜게 되었어요.

결국 요리물음표에 올려 중간중간 무우를 심어보라는 말씀도 얻어듣고 그랬지요.

어느님 말씀이 짠 김치는 다음해 추석지나 먹으면 오히려 맛있다 하셔서 안심하기도 했었구요.

그러나 제 로망처럼 한접시 썰어서 밥반찬으로 먹는 호사는 역시나 누릴수가 없었어요.

정말 여러가지로 고민고민해보다가

"내 김치의 문제는..너무 짜서 그래. 싱겁게 하면 예전 민정이엄마의 김치맛이 날수도 있어" 

하고 일단 결론을 내렸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김장김치 양념을 두가지로 해볼까 하는데 이 방법은 어떤것 같으세요?

한통은 조금 슴슴하게 담궈 제 소망인 맨밥에 맨김치 반찬으로

한통은 짭잘하게 담궈 묵은지 보관용으로..

이것 괜찮을까요?

바로 먹어도 맛있고 조금 있다 먹어도 맛있고 묵혔다 먹어도 골마지나 곰팡이가 끼지않는

쨍쨍한 김치로 먹을수있는 그런 레서피가 있을까요?

고수님들 답변 주시면 감사한 마음으로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IP : 1.241.xxx.12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23 12:27 PM (119.148.xxx.181)

    우리 시댁 김치가 조금 슴슴해요.
    김장 익었을때 먹으면 정말 시원하고 맛있고요.
    나중에 몇달 지나서 묵은지 되면 아삭한 맛은 많이 사라져요.
    그래도 겨울동안은 먹을만해요.
    일년 두고 먹어도 곰팡이나 골마지는 잘 안끼어요.
    슴슴해도 배추가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면 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위에 우거지 덮어주면 될거 같아요.
    레시피는 울 어머니도 감으로 하셔서 ..저도 모르고요..

  • 2. 원글
    '13.9.23 12:29 PM (1.241.xxx.124)

    아, 공기와의 접촉만 막으면 괜찮은 것이군요.
    굳이 간을 두가지로 할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시지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참고할게요.^^

  • 3. ..
    '13.9.23 12:38 PM (119.148.xxx.181)

    네 저희는 그 김치로 일년 내내 먹고요..
    그런데 감이 슴슴하면 나중에 익으면서 국물이 많이 나와서 김치통 넘치는 일이 종종 생겨요.
    김치통에 80% 정도만 채우세요.
    저희는 사실 우거지 안 덮어도 그 국물 때문에 김치가 잠겨서 골마지 안 생기더라구요.
    김치냉장고 사고 김장 일년씩 먹은게 10년째거든요.

  • 4. 원글
    '13.9.23 12:53 PM (1.241.xxx.124)

    아..국물속에 잠기니 그럴수 있겠군요.
    슴슴하면 80%만 채워넣기, 또 하나 배웁니다.
    제 김치는 주로 짤때가 많아서 넘치진 않았었거든요.
    항상 국물이 아쉬웠어요. 접시에 담아 놓으면 국물이 없어 금새 말라버리고..ㅎㅎ
    119님 말씀 참고해서 맛있는 김치 담궈보겠습니다.
    맛있는 점심 드세요.^^

  • 5. ...
    '13.9.23 1:01 PM (58.120.xxx.232)

    원글님 맛있는 김치 비결이 따로 없어요.
    김치가 국물에 푹 잠겨 있거나 공기와 닿지 않으면 됩니다.
    그리고 그상태로 오래 오래 자연숙성되면 정말 맛있어요.
    저희 엄마 김치는 전형적인 전라도 김치로 맛이 진하고
    시어머니 김치는 서울 김치로 엄청 시원하고 아삭 거리거든요.
    근데 두분 다 비결은 공기와 닿지 않게 하고 국물에 김치가 잠겨있게 하는 거에요.
    요새 누름돌 김치통 같은 거 하나 사서 한번 해보세요.

  • 6. 원글
    '13.9.23 1:09 PM (1.241.xxx.124)

    58님, 공기와 닿지 않게 하는게 참 중요한 것이었군요.
    누름돌 김치통 해보겠습니다.
    올해는 김장 맛있게 할수있을것 같아요. 아이 벅차라..ㅎㅎ
    성의있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 7. ..
    '13.9.23 1:28 PM (118.221.xxx.32)

    한번에 너무 많이 하지마시고 두번으로 나눠 해보세요 11월에 한번 2월에 한번
    아무래도 시간지나면 그 맛이 달라지죠
    묵은지도 나름 맛있지만요
    간도 자꾸 먹다보면 .. 엉망 되서 한두번에 끝내요
    그리고 위에 비닐이나 우거지 덮어두고요

  • 8. 지나가다
    '13.9.23 1:29 PM (211.182.xxx.2)

    엉뚱하게 들릴지 모르겠는데요
    원글님 글투가 넘 이뻐요^^
    맘씨도 따뜻하실 것 같아요~

  • 9. 원글
    '13.9.23 2:32 PM (1.241.xxx.124)

    118님, 간을 자꾸 보면 엉망이 된다는 말씀..깊이깊이 공감입니다.
    뭣 좀 아는듯이 먹어보고 먹어보고 갸우뚱갸우뚱 나중엔 다 뭔가 뭔지..ㅎㅎ
    2월쯤에 새김치 조금만 담궈 신선하게 새로 먹는것도 좋은 방법인것 같네요. 감사드려요.^^

    211님, 정성댓글 달아주시니 저도 모르게 친절하게 답글을 달게되서 그런것같아요.
    엉뚱하게 답글 주셔서 몸둘바를 모르겠고 기분도 좋아져서
    학교갔다 돌아온 아이에게 과잉친절한 엄마 되었어요.ㅎㅎ
    좋은 하루 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5971 휴대폰 바꾸면서 카톡옮기는거요~ 2 ..... 2013/10/10 1,667
305970 인터넷쇼핑몰사기당한것같아요 ㅠㅠ 1 개구리개굴 2013/10/10 1,240
305969 무시무시한 페루의 집단강도 우꼬살자 2013/10/10 680
305968 kbs안녕하세요 이상한 심리들 8 ... 2013/10/10 1,620
305967 돼지고기 가격이 이렇게 싸요? 3 ... 2013/10/10 1,412
305966 학예회 경험있으신분 조언좀 부탁드릴께요 5 어떻게해야할.. 2013/10/10 788
305965 신선로라는 요리에 대한 궁금증 1 mac250.. 2013/10/10 403
305964 신화 김동완 참 괜찮은 사람이네요~! 6 고양이2 2013/10/10 3,590
305963 서강대는 직원들이 참 불친절하네요 11 일반 2013/10/10 2,898
305962 친정엄마와 여동생의 싸울때 여동생을 말려야할까요? (좀 깁니다).. 4 말안하고 싶.. 2013/10/10 1,210
305961 박원순 서울시장, 새벽에 시내버스 탑승..왜? 9 샬랄라 2013/10/10 1,032
305960 좋은 아빠, 혹은 아빠에 대한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유아그림책 추.. 2 궁금 2013/10/10 571
305959 아이들있는 집.. 텐트.. 다 있으신가요? 7 .. 2013/10/10 1,289
305958 아이폰 사진스트림이 될때도 있고 안될때도 있어요.왜그런걸까요? 1 ... 2013/10/10 1,640
305957 박정희 전 대통령 때 A급 전범 등 일본 극우인사 무더기 훈장 16 /// 2013/10/10 563
305956 발암위험도 높은 이유 설명 않고, 송전탑과는 무관? ...이상하.. 최대 34 2013/10/10 499
305955 아침일찍 혼자 산에가면은 위험할까요? 11 운동 2013/10/10 1,815
305954 朴정권, 군대나 갔다오고 NLL이니 애국 소리 하라 4 기상천외한 .. 2013/10/10 561
305953 비밀의 지성의 집착심리는 뭐예요? 12 2013/10/10 3,503
305952 대치동 구슬면접학원문의 2 합격자 2013/10/10 1,761
305951 전세값이 왜이렇게 오르는거죠? 무섭네요 21 ㄹㅇ 2013/10/10 4,133
305950 간단한 영작 부탁드릴게요. 4 원어민선생님.. 2013/10/10 350
305949 정의란 무엇인가 저자의 최근 테드 강연... 13 .. 2013/10/10 1,671
305948 같이 운동할 사람이 있음 좋겠어요. 10 2013/10/10 1,372
305947 새아파트 전세입주하는데 주인이 아파트메인카드를 안주는데요? 3 어찌 2013/10/10 1,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