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칠순준비 하실때 자식들이 의논하지 않나요?

며느리 조회수 : 3,220
작성일 : 2013-09-22 13:27:13
시아버님 칠순이 올해에요.
저는 시댁 경조사에 제가 먼저 의견을 내놓고 싶지 않아서 그냥 참아요.
시댁일에 이런저런 얘기 하고 싶지 않고..

저희 친정 같은 경우는 부모님 환갑이든 칠순이든 미리 의논도 하고
회비도 모으면서 대비하고 그랬는데

시댁은 그런것도 전혀 없이 ..
처음에 한번 저희가 주도해서 회비 모으자고 했다가 몇달 내고 안내는
시누이,시동생 때문에 그냥 없어졌어요.


이번 명절에 칠순에 대한 의논이나 어떤 얘기가 나올 줄 알았더니
자식들은 부모 칠순이 올해인지 잘 모르는 거 같아요.
얘기들이 전혀 없었거든요.


서로 근거리에 사는 것도 아니고 해서
명절때 만나면 이런 것들은 미리 의논하고 그래야 할 것 같았는데
정작 자식들이 아무 생각이 없는 듯 싶어서..


위에 말했듯이 저는 시댁 일에 저혼자 나서서 이렇게 저렇게 하고 싶지 않아요.
이런저런 사정도 있고..


그래서 명절 전날 저녁에 다 같이 모였을때 자식들 중 하나라도 말이 나오지 않을까 하다
아무말없이 그냥 넘기는 거 보고 저도 그런가보다 하고 말았어요.


이런 경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요.
하긴 먼저 나서서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그러고 싶지 않다 했으니...

그냥

알아서 뭐 하자고 할때까지 가만 있어야 하나
남편에게 말을 해줘야 하나.


정말 이조차도 싫으네요.  자기부모 경조사 계획도 전혀 없는 남편도. 남편 동생들도..
IP : 58.78.xxx.6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맏며느리신가요
    '13.9.22 1:29 PM (118.221.xxx.32)

    남자들 자기 부모 생신도 알려주지 않으면 몰라요
    올해 칠순이다 정도만 남편에게만 얘기 하세요 그 뒤야 알아서 하게 둬 보고요
    시부모님 본인은 아실텐데....

  • 2. 맏며느리
    '13.9.22 1:31 PM (220.76.xxx.244)

    남자들은 잘 모를수가 있어요.
    어떻게 할지, 요즘은 이렇다더라 사례를 여러가지 알려드리세요.
    어디다 물어볼 줄도 모르는게 남자더라구요

  • 3. ㅁㅁㅁ
    '13.9.22 1:33 PM (223.62.xxx.35)

    님남편이 장남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님부부 먼저 얘기해서 어느 선으로 할지 대략 선은 정해놓고 다른 형제들에게 님남편이 말하는게 ...
    의논 안하다가 닥쳐서 갑자기 목돈 혼자 부담하라든지 하면 정말 싫은데 아무래도 그런 형제들인가보네요.
    만약 맏이 아니라면 누군가 말 꺼낼 때까지 기다리셔야겠지요.
    어느 수준으로 할지 가계 상황에 맞게 얘기하더라도
    자기 부모 아니라 저런다고 오해하기 쉬운 일이더라고요.

  • 4.
    '13.9.22 1:34 PM (39.118.xxx.210)

    맏며느리면 얘기를 원글님 부부가 꺼내고 주도해야죠 아니라면 전 좀 기다려보겠어요

  • 5. 자식들이
    '13.9.22 1:39 PM (124.50.xxx.60)

    알아서 하게하는데 나몰라라 방관했다가 그화살이 며늘한테 갈까두려워요 잘되면 자식이고 안되면 며늘

  • 6. 원글
    '13.9.22 2:00 PM (58.78.xxx.62)

    남자들은 잘 모른다는 것도 일반화하긴 그렇고 성격 문제고 꼼꼼함 차이같아요.
    저희 친정은 남자 형제들도 부모님 경조사는 특별히 더 잘 챙겨서 관리하고 그래요.
    미리 표시도 해놓고.. 그렇다보니 꼭 장남 아니더라도 누구라도 먼저 얘기 꺼낼 수 있고 그렇지요.

    네. 맏며느리는 맞는데 뭐 그것에 대해서 말하고 싶진 않고.^^;
    그나마 결혼하고 몇년간 제가 참 이러저러 노력도 하고 이런 경조사에 대비해서 회비도 모으자고
    했었는데 시작하고 몇달 지나서 시누이나 시동생은 내지도 않고 말해도 또 넘기고 그래서
    없어졌어요.

    장남이다, 맏며느리라고 차별 받은 거 전혀 없고 오히려 역차별 받은 경우라고 보시면 되고
    전혀 지원받은 거 없어요 (아..이건 또 큰아들이라고 뭐 받아서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이런거는
    나몰라라 한다...하실까봐요)

    그리고 뭘 받고 안받고의 문제가 아니라 저는 시댁에서 좀 당한게 많아서 감정이 좋지 않아요.
    또 저희가 잘 사는 것도 아니고 형편도 좋지 않기 때문에 장남이라고 더 하고 말고 할 수도 없고
    전 똑같이 다 나눠서 할 거고요.


    하긴...저희 남편 자기 부모님 나이도 잘 모르긴 하더군요. 다른 시누이도, 시동생도 마찬가지..
    장남이라고 오빠, 형이라고 어려워하거나 그런 대우를 하는 건 아니고 좀 서로 다 만만하게 보는
    성격들이 강한 그런 모습이에요. 특히 시누이.
    무슨 일 있으면 나서서 이렇네 저렇네 하는 시누이조차 아무 말 없는 거 보니 시누이도 몰라서
    가만 있는 듯 싶고요.


    남편에게 말해주고 알아서 의논하게끔 해야겠네요. 남편 통해서 의논되어지는 거 보고
    제가 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만 할 것이고요.

  • 7. .............
    '13.9.22 2:07 PM (182.208.xxx.100)

    70?? 71?? 어느 나이 신가요?/

  • 8. 원글
    '13.9.22 2:09 PM (58.78.xxx.62)

    칠순은 딱 70에 하는 걸로 아는데요.

    만으로 하는 건 환갑이고요

  • 9. 원글님
    '13.9.22 2:14 PM (220.76.xxx.244)

    일반화가 어렵다는거 저도 압니다.
    님 친정은 그런 문제에 형제간에 의논이 잘 되는 반면에
    님 남편분이 장남이시고 주위에 이런 문제 먼저 경험한 바가 없으면
    이럴수 있으니 이해하세요.
    저희는 친정이 잘 모르는 편이고 시댁은 어른들이 만세력펴놓고
    사돈 생년월일까정 표시해두고 해마다 카운팅하시네요.
    이런 분위기에서 살아온 아들 딸하고
    자식 생일 언제인지 모르는 부모 아래서 자란 아들 딸하고 천지차이입니다

  • 10. 원글
    '13.9.22 2:56 PM (58.78.xxx.62)

    위에 원글님 맞아요. 일반화 어렵지요. 다 다르고요.
    그저 저는 친정에서 그나마 서로 회비걷고 같이 하던 문화라서 익숙하고
    그런 이야기나 분위기를 저희 남편도 알긴 해요. 벌써 결혼 몇년이니.

    반대로 시댁은 좀 다르기도 하고 형제들도 서로 따로 노느식이라.
    이런 경조사에 제가 나서서 뭘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 큰 것이긴 한데
    이게 제가 시댁에서 받은 상처가 많아서 더 그렇고요.

    어찌됐든 남편에게는 말해서 뭘 하든 미리 준비할 수 있게 해야겠습니다.
    사실 자기 부모 경조사에 대한 걸 제가 이렇게 얘기해줘야 한다는 것도 전 참 싫으네요.

  • 11. 같은 입장
    '13.9.22 3:36 PM (125.177.xxx.190)

    친정은 비용문제며 소소한 이야기가 오갔는데요
    시모 칠순 아직 아무 얘기가 없네요.
    근데 닥치면 아들딸 의논할거 같아 저는 신경 안쓰고 있어요.

  • 12. 시댁일은
    '13.9.23 12:14 AM (119.64.xxx.153)

    나서지 않는게 편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3132 박정희가 경제성장을 했다고 착각하는 이들이 있는데.. 6 앨빈 토플러.. 2013/10/23 1,445
313131 닥터지바고에서 해바라기가 나오나요? 6 닥터지바고 2013/10/23 1,743
313130 손님이 없어요 ㅠㅠ 5 2013/10/23 2,895
313129 미싱 공업용 살걸 그랬어요 미싱학원가니까 죄다 공업용 15 미싱 2013/10/23 6,481
313128 바케트빵 위의 토마토등등 2 젤마나 2013/10/23 736
313127 복덕방에 주는 돈은? 1 전세증액 계.. 2013/10/23 334
313126 딸이 집에서 남친 준다고 빼빼로 만들고 있다면 무슨생각드세요? 32 gg 2013/10/23 3,690
313125 10월1일이 엊그제같은데 벨랑 2013/10/23 325
313124 정경호랑 소녀시대 수영이랑 사귄다네요 16 그러던지 2013/10/23 13,932
313123 지구종말,,,,,,,,,,,,,,, 2 2013/10/23 801
313122 요시삼라 플랫편한가요? 1 살빼자^^ 2013/10/23 3,295
313121 [팩트TV HD생중계] - 오후감사 kbs 국정감사를 속개합.. 1 lowsim.. 2013/10/23 411
313120 어제 손세차 하는데 시트 도둑맞았어요 ㅜㅜ 9 속상 2013/10/23 2,282
313119 갑자기 손님 초대를 하게 됐어요..조언좀 해주세요 5 ㅠㅠ 2013/10/23 844
313118 강남지역 결핵도는 고등학교가 어디예요? 2 학부모 2013/10/23 2,440
313117 뽑기 계라고 아시는분 계시나요? 8 꾀꼬리 2013/10/23 1,030
313116 보통 아파트 매매시 집 보러 가려면 예약?해야 하나요? 2 아파트 2013/10/23 1,052
313115 요즘날씨 아이스박스 없이 배송받으면 제품이 이상있을까요 1 ,, 2013/10/23 462
313114 지하철 9호선 맥쿼리 철수..서울시에 운임 결정권 6 샬랄라 2013/10/23 999
313113 친구남편 사망시 장지 9 .. 2013/10/23 3,050
313112 신승훈 신곡 증말 좋네요~ 3 미쳐붜리겠네.. 2013/10/23 1,224
313111 방이 좁은 어린이집 어떨까요 4 알흠다운여자.. 2013/10/23 1,154
313110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소각하는 장치가 있는 3 시원한 전망.. 2013/10/23 717
313109 [대선 댓글 의혹] 野 ”특검해야” 與 ”정쟁 중단을” 1 세우실 2013/10/23 672
313108 무료한글타자연습 어디것이 좋은가요? ^^* 2013/10/23 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