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추석때 친정오빠네집으로 갈건데 돈때매 마음이 무겁네요..

ty 조회수 : 5,745
작성일 : 2013-09-13 14:18:56
시어른이 편찮으셔서 올해 구정을 안하고 허락받아 친정에 내려갑니다 . 부모님도 큰오빠네 집으로 오실테구요.
무엇을 준비해야가는지 명절때는 결혼17년만에 처음가는거라 일단 첫째오빠네 대학생 고등학생아이한테 5만원씩줄예정. 둘째오빠네 아이들 초등생둘에게도 5만원씩 줘야하겠죠?
그리고 큰언니한테 따로 10만원할계획.
둘째오빠네도 새로 집을사서 이사했기에 30만원쯤 줄려고하는데 ..벌써 여기까지 금액만도 60이되네요.. 부모님도 조금 드려야할것같고..갈때 빈손으로 못가니 뭐라도 사서가야되고..
모처럼만에 허락받은 친정명절길 돈이 원수네요.

좋은해결책 님들은 친정갈때 어떻게 하시나요?
IP : 175.252.xxx.9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13 2:25 PM (39.117.xxx.6)

    둘쩨 오빠네,,집들이,하면 그때,ㅡ주세요,,미리 줄필요 없어요,,,초등은 3만원씩만,,,,,

  • 2. 우와
    '13.9.13 2:25 PM (110.70.xxx.29)

    원래 가족간에 크게 주시나봐요. 애들용돈은 대학생3만원 초등 만원씩. 둘째네는 선물을 하거나 현금10만원선에서 큰형님네는 10만원에 과일사가시면 되지 않을까요?

  • 3. ....
    '13.9.13 2:26 PM (124.58.xxx.33)

    둘째오빠네가 님네 이사다닐때마다 돈 30만원씩 해준거 아니면, 이사했다고 30만원 줄필요 없어보이는데요.

  • 4. ......................
    '13.9.13 2:27 PM (1.212.xxx.99)

    돈 많으신가봐요?
    큰 언니한테만 10만원 주면 끝.

  • 5. 원글
    '13.9.13 2:27 PM (175.252.xxx.99)

    댓글에 깜짝놀랐어요..
    시어른들께 허락받고 우리가족 다같이 가는거예요.
    댓글이 너무 무섭네요

  • 6.
    '13.9.13 2:27 PM (124.5.xxx.140)

    다문화 가정갖은 신부들은 친정이 해외 오지라고
    하니 그렇다쳐도 17년만이라니 헉 소리 나오네요.
    그것도 허락을 받아야 갈 수 있는?
    앞으로는 표현하고 사세요.

  • 7. 맘이 무거워도
    '13.9.13 2:28 PM (202.30.xxx.226)

    일단..생각한 금액대로 하는게 나중에 잘했다 싶더라구요.

    생각한 금액보다 작게 한 경우에는..돈 쓰고도 찜찜하고 후회되고 그래요.

    17년동안 지출이 없었다고 지금 나가는 돈이 크게 안 느껴지는건 아니지만,

    제 경우에는..나중에 후회될까? 안될까? 그 기준으로 정합니다.

  • 8. ^^~~
    '13.9.13 2:28 PM (144.59.xxx.226)

    결혼 17년만에 첨이라는 글에 마음이 ...

    어차피 이런저런 명목으로 돈을 준비하고 가니,
    들어갈때 간단하게 과일이나 한박스 가지고 가세요.

    그리고 현금선물은 모든 식구들이 있을때 주세요.
    따로따로 하지 마시구요.

    첫친정 나들이인 추석 명절 즐겁게 보내세요

  • 9. ...
    '13.9.13 2:30 PM (211.199.xxx.101)

    둘째오빠네 이사한걸 지금 줄 필요는 없어보여요..

  • 10. 크림
    '13.9.13 2:33 PM (116.38.xxx.10)

    둘째오빠네는 돈 안줘도 될것 같구요, 초딩들은 2만원만 주세요.
    부모님 용돈 따로 챙겨드리시구요.
    정 서운하시면 두 오빠네집에 선물셋트같은거 하나씩 명절선물로 드리심 어떨까요.
    명절땐 오랜만에 가신다고 하시니..

  • 11. 원글
    '13.9.13 2:35 PM (175.196.xxx.232)

    17년만이라는 표현자체가 제가 반감을 사게 했나봐요.
    저만 서울 다른가족들은 지방에 살아요.
    명절때 빼고는 오빠네와 일년에 2-3번씩보고 살아요.
    전 17년만에 명절시작하자마자 친정으로 가는게 첨이라는뜻이었는데...^^;
    제 어휘력이 부족했는지 다른분들은 명절때 바로 친정가시는분들이 많은가봐요~
    따뜻한댓글 감사히 받을께요.

  • 12. aa
    '13.9.13 2:36 PM (221.149.xxx.18)

    명절에 오빠네집으로 처음 가는거겠죠?

  • 13. 댓글이
    '13.9.13 2:37 PM (223.62.xxx.14)

    왜이래요
    명절에 친정먼저 가는거 처음이라는거 아니예요?
    거의 90프로 한국인이 시댁 친정 순으로 방문하지 않아요?

  • 14. //
    '13.9.13 2:45 PM (112.185.xxx.109)

    내형편 무리해서 할 필요없어요,,그때뿐

  • 15. 윗분
    '13.9.13 2:47 PM (61.73.xxx.109)

    윗분은 말씀이 좀 심하시네요 명절 당일 차례지낼때 친정에 있는것, 즉 친정에 먼저 가는게 처음이라고 말씀하셨는데 표현이 잘못된거다 하셨는데 무슨 증거로 그게 거짓말이라고 몰아붙이시는지...
    잘못 표현하실수도 있는거죠
    각자 집안 사정이 있을수도 있는건데 무조건 못되게 말하려고....그저.....

  • 16. 윗분
    '13.9.13 2:48 PM (61.73.xxx.109)

    그리고 친정에 명절때 아예 안갔던게 아니라 나중에 갔어도 며느리 시누이 올때까지 기다리게 하는집이 아니면 결혼 17년만에 명절때 오빠네를 만나는게 처음일수도 있죠 오빠들 처가로 떠난 후에 친정에 도착하면 그럴수 있잖아요

  • 17. 원글
    '13.9.13 2:55 PM (14.52.xxx.122)

    아버님이 편찮으셔서 지금 4달째 병원에 계세요.
    어머님과 형님네 동서에게 양해를 구하고 저흰 친정가는거구요.
    그래서 명절자체를 친정식구들끼리 같이있는건 처음이예요.
    나중에 찾아뵈면 부모님만뵙고 언니들은 각자의 친정으로 가니깐요.
    제 글때매 마음 불편한분계시면 죄송합니다.

  • 18. ...
    '13.9.13 3:13 PM (211.36.xxx.167)

    조카들 돈을줄이시구요

    이사간집에 정드리고싶으면 20
    그리고 언니분 그니까 새언니겠네요
    그분이 명절 쇠시는거니까 그분께 20드리는게 어떨까요

    저는 추석엔 조카들용돈 안주는데 ㅎ
    다들 데리고 슈퍼가서 과자사주고~

    초등은 1만원 그이상애들은 2만원 3만원이면 충분해보이는데요

  • 19. 난독증들
    '13.9.13 3:14 PM (180.65.xxx.29)

    진짜 많네요. 근데 큰 올케가 그렇게 대가족이 내려오면 진짜 힘들겠다는 생각드네요 저라면 너무 싫을것 같아요
    그냥 원글님네 가족만 명절 보내고 평일에 부모님만 보고 오는게 어떨까 싶어요

  • 20. ...
    '13.9.13 3:16 PM (110.5.xxx.141)

    윗분말씀대로 조카들한테 주는 돈을 줄이시고, 올케분한테 따로 봉투로 찔러주는게 좋을거에요.

    올케입장에선 명절 차례상차리는데 시누이네 가족들까지 모두 내려와있으면 아무래도 힘들테니가요.

  • 21. 삼땡
    '13.9.13 3:16 PM (112.175.xxx.141)

    저는 상황이 아주 잘 이해 됐는데.....^^;;;;;
    글을 잘 이해 못하신 분들도 계신가봐요~~
    원글님 고민 덜어 보려다...고민 붙이시지 마시고 상처 받지 마세요

    저도 마음 가는대로 주고 오는게 나중에 후회도 없고 웬지 돈을 쓰고도 찜찜하지 않고 후련하긴 하더라구요~~
    글타고 무리하면......담달 생활비 죽습니다.ㅜㅜ 수많은 경험자....ㅎㅎ
    넘 무리하지 마시고 쓰세요...
    다른건 몰라도....집들이 30만원은 집들이 직접하실때나....아님 안하신다고 하심... 그때 드려도 무방할듯해요
    안그래도 명절이어서 목돈 많이 나가는데 부담되잖아요
    홧팅!!!!!

  • 22. 슈르르까
    '13.9.13 3:19 PM (121.138.xxx.20)

    저도 맏며느리라서 그런지 큰언니한테 마음이 가네요.
    명절에 시어른, 도련님네에 평소에는 안 오던 시누이 식구까지 온다면
    보통 신경쓰이는 것이 아닐 것 같아요.
    둘째 오빠네는 집들이 할 때 주시고
    일단 큰언니한테 넉넉하게 쓰시는 것이 좋겠어요.
    시댁에서 상 차려 보셨으니 아시겠지만
    식구 수 늘어나면 숟가락만 더 얹으면 되는 것이 아니니까요.

  • 23. ,,,,,
    '13.9.13 3:50 PM (211.35.xxx.21)

    17년 만에 처음 드리고 주는 거라면
    많은것은 아니거 같은데

  • 24. 적당한금애같은데요
    '13.9.13 3:56 PM (122.37.xxx.51)

    정말 간만에 가시고 주는 용돈이라면 많은돈이아니에요 니애들도 받는게 있잖아요
    받는돈과 비슷한액수로 주곤 하니까
    무리가 되더라도 하고 오세요
    만 편해질거에요
    같은의견인데요 초등에겐 1만원이면 충분해요

  • 25. 오타수정
    '13.9.13 3:57 PM (122.37.xxx.51)

    금액같은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432 모아타운이 로또인가요 ... 16:49:04 53
1773431 죽겠다고 협박하는 엄마도 있어요. 하하 16:45:31 158
1773430 서인영 최근 살찐 모습 보셨어요? 2 . . 16:39:19 811
1773429 고등 입학 여학생에게 색 있는 립밤 ㅇㅇ 16:39:12 65
1773428 공부시작했어요 1 공부 16:36:38 229
1773427 김장에 갈치를 넣던데 5 ㅈㅂㅎ 16:32:21 364
1773426 자동차 보험만기인데 .. 16:31:59 68
1773425 고3 수능 점수 모르는 부모님 계시나요.... 6 .... 16:30:07 346
1773424 보쌈 김치 콩나물국에 뭘 추가하면 될까요? 1 ㅇㅇ 16:27:13 107
1773423 먹기 좋게 조각내서 삶은 감자를 냉장실에 10일 두었는데 1 ㅣㅏㅏ 16:24:13 320
1773422 70세에 젊어진 사람인데 4 신기함 16:23:50 776
1773421 폐렴과 인공호흡 관련해서 여쭙니다 1 .... 16:19:18 221
1773420 연예인 정치인 자녀 외국 유학가서 성공한 케이스 9 궁금 16:13:00 795
1773419 김치통에 간장게장 담가도 되나요?장물 덜 잠겨도 되나요? 1 간장게장 16:11:09 166
1773418 월세 안 들어오면 4 ㄷㄷ 16:06:00 561
1773417 요즘 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4 ㅗㅎㅎㄹㅇ 16:03:33 653
1773416 스포x) 장승조 배우 (그녀가 죽였다)연기 왜이렇게 잘하나요 10 ... 16:01:45 1,367
1773415 배즙 드시는 분들 .. 어디서 사시나요? mimm 16:01:05 86
1773414 하겐다즈마카다미아 세일중인데 5 ........ 15:58:15 696
1773413 김남주 딸은 미국대학 중국분교? 편입으로 갔단는말있어서 3 사실이면 15:55:00 1,427
1773412 올 수능이 어려웠던게 맞나요 14 수능등급 15:44:48 1,833
1773411 김장 속이 있는데 얼려도 될까요 4 김장속 15:43:09 500
1773410 노모의 요리똥고집 5 15:42:37 905
1773409 능구렁이 같다는 표현이요 2 ... 15:41:55 393
1773408 사법내란수캐조요토미희대요시 4 !,,! 15:40:4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