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뒤늦게 그림을 그려보고싶은데요

헛헛한 마음 조회수 : 2,076
작성일 : 2013-09-09 06:33:31
아이 둘... 손 많이 안갈 정도는 키워놨구요.
어릴때 몸이 힘들었다면 이젠 서서히 정신이 힘들어지는....
남편하고도 그렇게 잘 맞는게없고. ..
어릴때도 평범한 집안 끼인 형제자매들 틈에서...
몰개성하게 자란...
해보고 싶은게 뭔지도 모르는 상태로 그럭저럭 성장해온 저랍니다.
부모님께는 죄송스럽지만...
그닥 혜택 받고 자라지 못한 저이기에...
의욕도없이 눈뜨면 학교가는건줄 알고 살았어요.
그러다 성적맞춰 대학가고, 취업하고.. 결혼하고..
참 무던하지만 재미없는 삶만 살다... 또 살림, 육아.. 시부모님 부양... 끊임없는 의무감 속에 제가 뭘하는지도 모르고 살아왔네요.
그림이 좋아요.
그림 구경하는것도 좋구요...
직접 그리고 색칠도 하고 싶어요.
그냥 미술학원가면 되는걸까요?
사실 예술.. 미술 이런쪽이랑 거리 멀게 살아서 뭐부터 해야하는지 감도 없는 상태서 막연히 그림을 그리고싶은 생각이 듭니다.
명암살려 색칠하는것도 참 아름답구요.
어디가면 그림 배울수있을까요...
문화센터는 아이들 어릴때 데리고다녀보니...
뭔가 겉만... 한번 쓱 훑는 느낌이던데..
뭐 제가 전시회할것도 아니고... 그 정도라도 괜찮겠죠...?
저 어딘가 뭔가에 집중하며 마음도 다스리고싶고 뭐한가지 배우고도싶고... 온전히 저 자신을 위해 시간도 할애하고싶네요...
IP : 124.50.xxx.5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 사는 동네엔
    '13.9.9 6:45 AM (14.63.xxx.90)

    소규모 개인 미술관들이 몇 있는데
    가끔 동네 카페에 글 올라와요.
    미술 수업한다거나 브런치 음악회 한다고요.

    지나다니다 보면 날씨 좋을 때 중년, 노년 분들이 마당에 이젤놓고 앉아서 그림 그리고 있기도 해요.

    주변에 그런 곳 있나 한번 알아보세요.^^

  • 2. 미술학원
    '13.9.9 6:48 AM (166.137.xxx.150)

    처음에 그림을 그리려면 기본적인 테크닉은 배워서
    그려야 내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뎃생이 그림의 기초라 할수 있고요.
    미술학원 가시면 입시반과 별개로 취미반이라고 있어요.
    한번 가셔서 도움 받아 보세요.
    처음엔 4B연필로 사물을 그리면서 명암이 뭔지
    그리고 연필 하나로 얼마나 사물을 사실적으로 그릴수
    있는지 배우게 되고요.
    하고 싶은 그림 하시다 보면 사는 맛이 달라 집니다.
    응원할게요.

  • 3. 저 배우고있어요
    '13.9.9 7:00 AM (61.43.xxx.51)

    성인인지라 아주 기초부터 시작하기엔 성취감도 늦고 오래걸리고 입시하실것도 아니니.. 거주지역 복지관이나 청소년수련원. 주민센터. 평생학습관. 홈페이지 잘 들여다보세요. 미술강좌는 웬만하면 있어요. 수채화색연필반이나 연필뎃셍반도 있고요. 수강료 저렴하고 강사진도 공신력 있으시고 대부분 수강생이 원글님같은 마음으로 오시죠.. 화이팅!

  • 4. 참고
    '13.9.9 7:13 AM (58.235.xxx.109)

    화실의 취미반은 은근히 텃세가 있는 곳도 있습니다.
    수영장에서 보이는 그런 행태죠.
    선생님 중에는 묻거나 요청하지않으면 적극적으로 가르치지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개성표현이란 명목을 붙여 무엇을 하든 OK라는 사람도 있구요.
    기초를 찬찬하게 가르치는 곳을 찾으세요..
    단 선생님의 특성을 너무 강조하는 곳은 피하시구요.
    그리고 미술관,전시회 자주 가셔서 보시고 도슨트가 있다면 꼭 요청해서 설명 들으세요.
    이론 강의도 자주 있으니 실기와 뱡행해서 수강하시면 느낌이 깊어져요.
    홧팅입니다!

  • 5. 111
    '13.9.9 8:08 AM (210.109.xxx.114)

    전 동네 교육청에서 하는 수채화 수업 다녔었는데요.
    윗분 말씀처럼 좀 그런게 있었어요.
    거기 총무하시는 분이 수영도 하시고 에어로빅도
    하셔서 그랬는지 몰라도요.
    연령대가 대부분 5~60대였는데 그래서 그런지 그보다
    어린 사람들을 좀 부려먹는 경향도 있었구요.
    그림 그리는 자체는 참 좋았구요.
    전시회도 한번 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성취감도
    느꼈답니다.
    지금 사정상 잠시 쉬고 있는데 인간관계 때문에 다시
    다니기가 망설여져요.
    알아보실 때 선생님이 어떤분인가도 잘 살피시고
    구성원의 면면도 가능하다면 살펴보세요
    아무래도 젊은분들이 많은 곳이 더 담백한 관계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6. 같이배워요
    '13.9.9 8:11 AM (211.234.xxx.69)

    저도 그림 배울려고 계속 생각중이었어요
    ㄷㅇ네 상가의 미술학원에 성인반 모집한다고 광고하던데
    마음먼 두고 차일피일 미뤄왔는데
    님글 읽고나니 오늘 방문해서 둥록해야지 결심이 생기네요
    우리 같이 열심히 해봐요 화이팅~!!!!

  • 7. ㅇㅇ
    '13.9.9 8:23 AM (121.148.xxx.165)

    저는 백화점 문화센터에서 배우다가. 작가가 하는 화실로 옮겼는데요
    수강생수도 많지 않고. 다들 그림을 오래 하신 언니들이라서
    본인이 처세만 잘하면 아주 좋은 분위기에서 공부할수 있더라고요
    선생님도 잘 이끌어주시고요

    전시회도 하고. 가끔 작은 공모전에 응시도 하고 그래요

    삶의 질이 달라지는것 같아요

    다녀오면 마음의 평화와 힐링까지 얻어지고요

    좋은 화실. 잘 알아보셔요. 강추합니다.

  • 8. 시바
    '13.9.9 9:40 AM (175.193.xxx.1)

    문화센터보다는 개인 취미화실쪽을 알아보세요. 문화센터는 아무래도 개개인에게 신경을 쓸 시간과 여유가 없는데 초보자에게는 좀 그렇지요. 동네가 오디신지 모르겠는데 개인취미화실은 홍대쪽이 좀 많이 있고 무엇보다 배우고자하는 장르가 무엇인지 정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듯. 이것저것 다 배우시지마시고 아예 뎃생/드로잉/수채화/유화/동양화 이런식으로 세분화해서 시작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이상 화실 운영자의 개인적 소견이었습니다

  • 9. 일단
    '13.9.9 9:58 AM (118.46.xxx.27) - 삭제된댓글

    평생 교육원쪽을 알아보세요.
    한두학기 다니다가 그 선생님 화풍이 맘에 들고 좋으면 화실로 옮겨서 더 열심히 작업하시면 전시회 활동도 하실수 있을거에요. 그림 선생님 밑에는 아줌마들 그림 모임이 한두개씩 있거든요.
    화실부터 들어가면 발빼기도 부담스럽고 적응하기 어려운 부분이 좀 있어요.

  • 10. 제가 다니던
    '13.9.9 11:04 AM (211.109.xxx.177)

    화가 작업실은 가르친다기보다 적당히 시간보내고 돈받는것같았어요. 스케치를 가르치기보다 매번 아예 직접해주는 선생님도 있었고 기초도 안되는 사람도 선생님이 적당히 리터칭 해주고 공모전에 당선시켜주고 돈받고.... 저도 지역 아트센터 나가다가 거기 강의하는 분 작업실로 간거였는데 그랬어요. 정작 아트센터 수업은 대충대충... 학생들 자기 작업실로 끄어가기위해 나오는 느낌. 또 다른 반들은 워낙 기존회원들과의 유대감이 깊고 회원수도 많아 신입이 선생님 가르침 받기란 참 힘들었어요. 물론 안그런 선생님들 계시겠지만 제가 배웠던 두 분은 좀 실망스러웠어요. 여러군데 잘보시고 기초부터 잘 배우시기 바랍니다.

  • 11. ..
    '13.9.9 2:48 PM (180.66.xxx.97)

    예술의 전당요~! 제 친구도 그냥 좋아서 다니기 시작했는데 몇년째 꾸준히 잘 다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2920 앞니에 충치가 생겼는데 이거 레진으로 때우나요? 2 앞니 2013/10/01 1,698
302919 팔자 좋은 여자들의 특징 49 관찰 2013/10/01 35,672
302918 사라다마스타 구입 후 후회하시는 분 안 계신가요? 14 미치기 직전.. 2013/10/01 1,941
302917 자존감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10 . 2013/10/01 2,012
302916 보증금 2천만원까지는 보호 받는다는 거... 3 종종 2013/10/01 949
302915 박정희와 장준하 3 이이 2013/10/01 466
302914 임신 중인데 잉어 괜찮을까요? 14 anfro 2013/10/01 1,636
302913 에버랜드 피크닉존 근처에 더운물 얻을곳 있나요? 3 ᆞᆞ 2013/10/01 2,743
302912 朴 30조 쓰면서 고작 분단유지냐 4 전쟁을기념 2013/10/01 455
302911 [원전]日 수도권 어린이 70% 소변에서 '세슘' 검출 2 참맛 2013/10/01 1,303
302910 오늘 이화여대에서 황당한 일이 있었네요 31 2013/10/01 19,421
302909 밀양 주민들, “무덤까지 파놓고 공사 반대 1 2일부터 공.. 2013/10/01 577
302908 3월달쯤인가..G스타일님께서 찾으시던 .... 람보르 2013/10/01 333
302907 코 속 입구에 피지가 단단하게 뭉쳐서 아파요. 5 지방 2013/10/01 2,711
302906 학교수업중단, 학생자살…특단의 대책 1 죽음의 경쟁.. 2013/10/01 1,495
302905 저 아래 정장치마에 레깅스 패션 글 보고 8 정말 궁금 2013/10/01 2,038
302904 수학 정석 인강...어느 사이트 들으시나요? 1 이제 시작 2013/10/01 1,195
302903 집주인 재산세 고지서가 세입자집으로 오나요? 6 궁금이 2013/10/01 1,781
302902 상식적인 공직자는 그만두어야 하는 정부 2 서화숙 2013/10/01 394
302901 아파트 매매시 중도금 관련 5 궁금이 2013/10/01 2,644
302900 터키산 스파게티면 정말 싸더군요 3 ㅇㅇ 2013/10/01 1,992
302899 조국교수, 버클리대에서 서울대 법대로 정식 공문이 도착! 3 참맛 2013/10/01 1,940
302898 "김진태, 300명 어린 학생들 앞에서 '선정적 카더라.. 3 새누리 품격.. 2013/10/01 839
302897 저혈압이라는데 어찌 하면 되나요? 14 21살 아들.. 2013/10/01 3,453
302896 4대강 '설거지비용' 5년간 21조원…"기초연금 20만.. 1 연간 1조 .. 2013/10/01 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