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침대사용하시는분들 겨울에 안추운가요

겨울 조회수 : 4,969
작성일 : 2013-09-04 11:45:05

온돌은 온기가 올라오는데 침대 사용하시는분들 겨울에 추운가요

애들방에 가서 자보면 침대가 춥더라구요

IP : 61.78.xxx.46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빵빵
    '13.9.4 11:46 AM (118.44.xxx.162) - 삭제된댓글

    네..한기가 느껴지죠...뭔가 벙~~~~ 뚫린느낌...
    그래서 누빔패드 깔아요...

  • 2. ...
    '13.9.4 11:47 AM (112.220.xxx.100)

    전기장판...

  • 3. ..
    '13.9.4 11:47 AM (220.124.xxx.28)

    그래서 전기매트 깔고 잤는데 흙침대로 바꿨어요. 보일러 후끈하게 돌리면 방바닥이,적정온도나 낮은온도,안돌리면 침대가 훨씬 낫습니다.

  • 4. dksk
    '13.9.4 11:47 AM (183.109.xxx.239)

    전기장판 깔아요.

  • 5. 큰방,거실은
    '13.9.4 11:48 AM (59.22.xxx.219)

    흙침대 흙쇼파구요
    제방과 동생방은 침대거든요 한기가 들어서 흙매트 깔고 자요
    가격대가 꽤 하는데 몇년째 잘쓰고 있습니다 전기장판은 켜고 자면 아침에 미친듯 갈증이 나는데
    흙매트는 그런점이 없어요

  • 6. ................
    '13.9.4 11:48 AM (119.64.xxx.121)

    저도 애들도 전기장판 깔았어요.

    전기장판 온도를 중간쯤하고 그위에 요깔면 전자파에서 조금은 안심된다하네요.

  • 7.
    '13.9.4 11:54 AM (1.177.xxx.116)

    전기장판을 쓰지 않고요 담요를 사용합니다. 덥는 담요와 그 위에 이불. 아래쪽 매트에도 좀 톡톡한 담요.
    이렇게 하면 정말 따뜻하고 좋아요.( 전기요를 쓰기가 싫어서 그런답니다. )

    근데 덥는 담요는 좀 돈을 주고 사시는 게 좋을 꺼 같아요.
    지금 제가 덥는 담요는 오래전 비싸게 주고 산 건데 그 당시 제가 미쳤던 건지 어쩌다 그 비싼 걸 샀어요.
    ( 백화점에서 샀어요. 일본제품이었는데 일제에 대한 거부감과 함께 무척 짠돌이였던 제가 보자마자 바로 질렀었죠.^^
    거의 20년 가까이 되어 가는데요. 그 당시 20만원 주고 샀었어요. )

    아직도 잘 쓰고 있어요. 요즘은 싸고 이쁜 것들 많으니 한 번 알아 보셔요.

  • 8. ...
    '13.9.4 11:55 AM (146.209.xxx.18)

    처음 침대속에 들어갈 때만 춥지 좀 있으면 따뜻해요. 이불만 따뜻하면 춥지 않아요.

    추울때는 남편한테 꼭 안아달라고 합니다요. ㅎㅎ

  • 9. ---
    '13.9.4 11:59 AM (221.164.xxx.106)

    바닥 난방 안 하는 집에서는 침대가 더 따뜻해요 ㅋ
    저 어릴때 그러고 살았음 ㅠ_ ㅠ

  • 10. 별로
    '13.9.4 12:01 PM (112.152.xxx.173)

    안추워요 그냥 자기 체온으로 자기자리 덥히고 잠시후면 이불속공간이 따뜻해지기땀시....
    게다가 난방도 하니까요
    바닥이 뜨거운데서 오래잠자며 뒤척이며 힘들어했던때도 있어서 그런지
    적당히 체온정도로 덥혀진 침대매트리스가 더 좋슴다

  • 11. .;.
    '13.9.4 12:07 PM (211.177.xxx.114)

    전 춥고 더운거 보담 맨바닥에 요만 깔고 자면 허리가 아파서요... 그냥 침대 애용해요... 전기장판도 안좋아하고 그냥 극세사 깔고 덮으면 따뜻하더라구요.

  • 12. 저는
    '13.9.4 12:12 PM (119.207.xxx.52)

    돌침대 사용해요
    며칠전부터 낮게 틀어서...
    덥게 자는 것이 보약 한첩보다 낫다더니
    정말 덥게 자면서 몸이 좋아졌어요

  • 13. 극세사
    '13.9.4 12:15 PM (115.95.xxx.84)

    침대에 극세사 패드 깔아놓으면 하나도 안추워요
    작년에 유행했던 창신담요같은것 깔아보세요
    저는 창신담요는 아니고 엄마가 사은품으로 받아온 저렴 극세사 담요 까는데 이거 깐거랑 안 깐거랑 천지차이예요

  • 14. 결혼 전엔
    '13.9.4 12:20 PM (1.225.xxx.5)

    추워서 전기장판 깔고 잤는데요....제 몸이 좀 냉해요 ㅠㅠ
    결혼하고 나선 남편 몸이 좀 뜨겁거든요. 한 이불 속에 누워 있으면 금새 따땄해지는 게 자고 일어나서도
    개운하고 좋아요. 전기장판 깔고 잠을 자면 일어날 때 찌뿌두둥한 기운이 제 어깨를 짓눌었었어요 ㅠㅠ
    이불 따뜻한 거 구하셔서 깔고 덮으면 좋을 듯요. 전기제품은 되도록 사용 안하심이....

  • 15. 웃풍..
    '13.9.4 12:36 PM (218.234.xxx.37)

    전 전기장판 올려놨는데요.
    이게 결국은 공기가 얼마나 따뜻하게 오래 유지되느냐에 따라 침대도 겨울에 그냥 쓸 수 있는 거더라구요..

    해외 출장 때문에 미국, 유럽 호텔 여러곳을 이용하면서 보니 여기는 침대 안에 뭐 둘 게 없잖아요.
    첨엔 아, 춥겠다, 어떻게 자나.. 했는데, 온도 26도 유지하도록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온풍기)
    뜨거운 물로 샤워하고 나와서 - (실내 온도가 따뜻함) - 그 상태에서 침대 들어가서 자는데
    하나도 안춥더라구요. 거위털 이불 걷어차면서 잤음....

    실내온도 26도 유지하도록 계속 보일러 틀고 자면 우리나라에서도 그럴 듯..
    (다만 내 집에서는 가스비 아까워서 그렇게 못하는 것일 뿐..)

  • 16. 우리 집은
    '13.9.4 12:38 PM (211.112.xxx.42)

    겨울엔 이불 얇은것 한겹 두꺼운것 한겹 모두 두겹을 덮어줘요. 보온성이 아주 뛰어납니다.
    얇은 이불 두겹이 두꺼운 이불 한겹보다 따뜻해요.

    그리고 가족이 침대 들어가기 전에 미리 고무팩(빙침)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침대에 넣어줍니다.

    그거 품고 자면 아침까지도 따뜻하고 침대에 들어갈때도 춥지 않아서 좋아요.

  • 17. ....
    '13.9.4 1:18 PM (118.131.xxx.27)

    매트리스 위에 옥매트 깔고 잡니다.
    그리고 7센치 두께의 메모리폼 매트리스 바닥에 깔고 그 위에 극세사 깔고 자는데...
    전혀 안춥던데요. 밤새 난방 약하게 계속틀어놓고.
    그상태로 자면 좋아요.

  • 18. ...
    '13.9.4 2:17 PM (118.221.xxx.32)

    아뇨 난방 하면 괜찮아요
    대신 이불이 양모나 거위고요

  • 19. 겨울
    '13.9.6 10:45 AM (61.78.xxx.46)

    고민되네요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1045 쌀 2012년산하고 2013년산하고 밥맛차이 많이 나나요? 2 ^^* 2013/09/26 1,530
301044 대학생 아들이 읽으면 좋을 책 추천 11 가을 2013/09/26 1,135
301043 대학 기숙사있는 딸이 심심하다고... 4 엄마 2013/09/26 3,087
301042 선입견이 남는 사람... 11 이건뭘까 2013/09/26 1,444
301041 이것만은 대물림하기 싫다 이런거 있을까요? 14 뭐가있나 2013/09/26 2,725
301040 김여사 vs 김여사 우꼬살자 2013/09/26 675
301039 전기압력밥솥으로 찰밥하는법 오뚜기 2013/09/26 7,674
301038 19금 남자는 복걸복인거 같아요 6 어떤남편 2013/09/26 6,543
301037 10월4일날 쉬는 회사, 학교 많은가요? 6 연휴 2013/09/26 1,199
301036 황정음 연기 잘 합니까? 4 드라마 2013/09/26 1,539
301035 아우디 짚차 중고 얼마정도하나요? 1 외제중고차 2013/09/26 1,707
301034 내년부터 일인당 10만원 세금 증가 3 우라질 2013/09/26 792
301033 냉온풍기 사용하시고 계신 분 있으세요? 3 눈사람 2013/09/26 1,640
301032 용달업체 추천좀해주세요 다은다혁맘 2013/09/26 365
301031 맏딸이신 분들 친정 형제들 모임 주관해서 모이거나 6 맏딸 2013/09/26 1,544
301030 쇼파 말고 뭐가 좋을까요 ... 2013/09/26 610
301029 요즘 파마 할 때 팁은 얼마나 ? 6 ... 2013/09/26 1,774
301028 캐나다의 아사이베리와 빙청(석청)이 그렇게 비싼가요? 4 똘똘마님 2013/09/26 15,592
301027 '아기 울음소리 뚝'..출생아 7개월째 감소 4 샬랄라 2013/09/26 925
301026 걷기,등산,조깅 등등 하루 운동량이 얼마나?? ㅣㅣ 2013/09/26 690
301025 데미무어... 9 이 아짐 진.. 2013/09/26 2,688
301024 며칠전 글인데.. 삶에 용기주는댓글 팍팍달렸던.. 1 .. 2013/09/26 785
301023 40중반 가방좀 골라주세요 16 ... 2013/09/26 2,953
301022 일본 [스타일북]책 사려면 어디서 구입해야하는지 아시는분? 3 스카일북 2013/09/26 888
301021 후각이랑 식욕은 상관이 없나보네요........ 1 나만그래?ㅠ.. 2013/09/26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