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저도 결혼 후 첫 명절 질문

새댁 조회수 : 2,996
작성일 : 2013-08-23 16:52:47

시댁이랑은 걸어서 20분 정도 거리에 살고요,

시부모님 두 분 모두 장사 하십니다. 보통은 8~9시에 퇴근하시는 듯 해요.

결혼 후 첫 명절인데, 남편에게 물어보니 장사를 오래 하셔서

친척들하고 왕래 많이 안 하시고, 특별히 음식장만은 안하신다고 하네요.(그동안은)

막내에 더 가까우신 분들이라 차례도 안 지내구요.

원래 저희 집도 명절이라고 떠들썩하거나 그렇질 않아서 어찌해야 할 지 잘 모르겠는데

이 경우 추석 당일 아침만 찾아뵈도 될까요?

아침 먹고 점심 먹거나 먹기 전 나와서 친정 갔다가 저녁먹고 다시 집에 돌아오려구요.

둘 다 맞벌이라 명절에는 좀 쉬고픈 맘이...양가 부모님들 모두 까다롭거나 어려우신 분들은 아닙니다.

저희 집은 딸만 있는데 명절 아침에 두 분만 계실 걸 생각하면 좀 안쓰러운데

무조건 시댁부터 가야하는 문화에 좀 반항심이 들긴 합니다ㅜ.ㅜ

IP : 168.248.xxx.1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3
    '13.8.23 4:55 PM (175.214.xxx.36)

    그래도 첫명절인데... 이제까지와 다르게 지내실지도 모르고...
    시어머니들 중에서 며느리 들이면 그때부터 집안 가풍 바꾸시는분들 종종 계시더라구요...

    일단 명절 첫날 가서 눈도장좀 찍고.. 친정 갔다가
    명절 당일날 아침에 눈도장 찍고 밥먹고 오후에 친정 가믄 되겠네요-
    이번엔 명절 뒤로 휴일이 좀 있으니..천만다행이예요- 앞에 안붙은게 완전 다행~

    명절마다 번갈아가며 친정먼저. 시댁먼저 이렇게 가는걸 남편분이랑 의논해 보세요
    전 남편이 먼저 그렇게 해도 되겠다 제안했는데. 친정부모님이 절대 안된다고 펄쩍 뛰는바람에....
    그냥 시댁 갑니다~

  • 2. 쩝..
    '13.8.23 4:59 PM (112.220.xxx.100)

    전날가서 음식이라도 좀 하셔야죠...

  • 3.
    '13.8.23 5:02 PM (58.78.xxx.62)

    이건 여기에 물을 사안이 아니지 않나요?
    남편이랑 얘기도 하시고.
    그리고 먼거리도 아니고 20분 거리인데 당일에 가다니...
    전날 가서 음식을 하시든 시부모님이랑 뭐 장을 보시든
    가서 시어머니가 하자는 대로 하시면 되잖아요.

  • 4. --
    '13.8.23 5:02 PM (121.141.xxx.92)

    며느리는 원글님 한분이신지 아님 다른 동서가 있는지에 따라서도 다르고 (글 봐선 외며느리 같군요) 첫 명절이니 그동안은 총각이었던 남편말도 무조건 믿을 건 못됩니다. 일단 시어머님께 명절에 따로 음식을 하실건지 여쭤보는 게 순서 같구요, 조금이라도 음식을 하신다면 최소한 전날은 뵈러가는 게 맞습니다. 집이 가까우시다니 시댁에서 자고 올지 아니면 잠은 집에 와서 잘지는 남편분과 상의하시구요.

  • 5. 원글
    '13.8.23 5:04 PM (168.248.xxx.1)

    결혼 왜 했냐하면 할 말은 없지만... 왜 우리나라는 음식을 며느리만 하는 걸까요?ㅡㅡ;

    사실 이제 잠은 집에서 자는게 제일 편하기도 하고,
    그런 식으로 따져서 1.5일씩 양가에서 보내다보면 명절이 다 간다는게...
    아.. 내가 결혼했구나 싶어서 슬프네요ㅜ.ㅜ
    결혼하기 전엔 명절이면 늦은 여름휴가 떠나서 해외에서 일주일 이상 있었는데
    이젠 이런 걸 고민하고 있네요. 쩝

  • 6. 원글님
    '13.8.23 5:09 PM (58.78.xxx.62)

    시댁이랑 집이 가까우니까 잠은 집에 와서 주무셔도 되요~
    하지만 결혼 첫 명절인데 당연히 전날 가서 명절 준비를 도와야 한다는 거고요.
    명절 당일날 간다는 건 말이 안돼죠.

    사실 결혼하고 나면 여자들이 무조건 남자들기준으로 움직여야 한다는게 정말 기분 나쁘지만
    저도 결혼하고 나서 몇년 되니까 차라리 시댁먼저 들리고 친정가거나 집에 가거나 하는게
    훨씬 편하더라고요.


    그리고 명절날 맘편히 놀 생각을 했다는게 정말..ㅎㅎ
    결혼을 가상으로 하신 것도 아니고 말이에요.

    음식이야 남편이랑 같이 하자고 하고 길들이면 되지만 원글님은 지금 음식을 할 생각보다
    아예 시댁을 명절 당일에만 가서 잠깐 얼굴 비추고 손님처럼 나올 생각을 하셨던 거잖아요.ㅎ

  • 7. ...
    '13.8.23 5:10 PM (112.220.xxx.100)

    나이가 어리신가..
    참 철없어 보이네요...

    안물어볼수가 없네요 ㅋ

    결혼 왜 하셨어요?

  • 8. 그래도
    '13.8.23 5:16 PM (164.124.xxx.147)

    결혼한지 얼마 안됐으니까 2, 3년간은 눈치 보고 맞춰 간다 생각하세요.
    시부모님과 며느리는 남남이기 때문에 한두번 서운하고 맘 상하면 오래 가고 선입견 생깁니다.
    어느 정도 서로에게 익숙해지고 마음이 놓이고 하는데에 3년 걸린다는 말이 맞다고 저는 느꼈어요.
    그 이후엔 서로 진심 알게 되고 하면 사소한 일로 오해사고 하는 일이 없어져서 훨씬 편해지더라구요.
    첫명절이면 남편한테 시키던지 아님 님이 먼저 말 꺼내심 더 좋구요. 시어머니께 먼저 명절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물어보세요.
    그리고 당일날도 친정 못 가 안달난 티 내지 마시고 성의껏 하고 있다는 기색 보이시구요.
    서로에게 점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 9. ...
    '13.8.23 5:17 PM (1.240.xxx.105) - 삭제된댓글

    남편생각만으론 서로 오해의 여지를 남길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런일은 시어머님께 직접 여쭤보는 게 정답일것 같아요
    직접 전화하거나 찾아뵐 때 여쭤보세요
    이번 명절 어떤식으로 보낼 건지
    몇시에 어떻게 찾아뵐지
    더불어 친정갈 계획도 얘기하시구요
    서로 조율해야 해요. 지나치게 시댁에 맞출 필요도 없지만
    양가와 관계를 잘 조율하는 것 중요합니다.
    너무 남편 통해서만 얘기하면 오해가 생길수 있으니 직접 여쭈어야 할일을
    직접 하십시요.

  • 10. ..
    '13.8.23 5:20 PM (118.221.xxx.32)

    시가에서도 며느리 들어오면 바뀌죠
    아니라도 전날 음식해서 당일 아침에 싸서 가시던지ㅡ 장사 하셔서 밤 늦게 오시면 하시면 굳이 시가에서 음식할 필요가 있나 싶긴해요
    음식도 남편이랑 둘이 같이 하세요
    명절에 양가에서 시간 다 보내는거 당연하고요. 일부는 시가에서 먹고자고 일하며휴일 다 보내기도 해요

  • 11. ....
    '13.8.23 5:20 PM (112.220.xxx.100)

    부모님 장사하느라.. 명절음식 못얻어 먹은 남편 불쌍해서라도
    하지말래도 알아서 나서서 음식 몇가지 하겠네...ㅉ

  • 12. .....
    '13.8.23 5:24 PM (220.89.xxx.245)

    원글님 친정어머니께서 며늘 볼 일이 없네요.
    만약 며늘 보신다면 명절 아침한끼 같이하고 쿨하실지...

  • 13. --
    '13.8.23 5:26 PM (121.141.xxx.92)

    새댁 마음은 충분히 이해갑니다만, 위에도 썼듯이 시어머님이랑 의논하시는 게 최선이구요, 저 위엣분 좋은 말씀 하셨네요. 서로에게 점수가 필요한 시점이예요. 처음 몇년간은 서로 예의도 차리고 배려도 해야 가족이 되는 거죠. 결혼 전엔 안 하던 걸 왜, 라는 식으로만 접근하시면 해결이 안 되는 일들이 계속 발생할 거예요. 멀리 보세요. ^^

  • 14. 원글
    '13.8.23 5:29 PM (168.248.xxx.1)

    명절음식 얻어먹으면 안 불쌍한 건가요?
    평소에 제가 남편 밥 굶기고 막 대하는 것도 아닌데 뾰족한 댓글은 삼가해주시면 좋겠네요.
    시어머니 되실 분들이 많으신건지..
    모든 집이 명절을 다 지지고 볶고 상다리 휘어지게 음식하면서 똑같이 보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너무 시집 쪽 위주로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은 듯.

    일단 시어머니께 먼저 제가 어떻게 할지 물어보고 하는게 더 좋겠다는 말씀은 맞는거 같아요.
    명절 즈음 여쭤봐야겠네요.

  • 15. 20분거리
    '13.8.23 5:30 PM (112.148.xxx.5)

    전날 가서 좀 께작께작 음식 한두가지 만들다 집에 와서 자요..
    아침 일찍 일어나 가서 아침 먹습니다..

    그리고 특별한 일 없어서(손님 절대 없음) 점심 간단하게 먹고 오거나 피곤하면 일찍 옵니다..

    참고로 차례, 손님 없습니다..

  • 16. 20분 거리
    '13.8.23 5:34 PM (112.148.xxx.5)

    장사하시고 퇴근하실때 며느리가 미리와서 전이라도 붙이고 있으면
    예뻐하실 것같아요..

    조금 준비해가서 전이랑 몇가지 해보세요..
    명절이라고 집안에서 기름냄새좀 풍겨주면 시부모님도 새사람 들어와서 분위기 난다 좋아라 하실거예요..

    굳이 잠은 시댁에서 안자도 될것같아요..
    제가 그러거든요^^

  • 17. 여기서는
    '13.8.23 5:50 PM (124.56.xxx.86)

    이런 답변 밖에 못 들어요.
    글쓴이님이 말씀하신 것이 합리적이지만 부모님
    세대가 받아들이는건 힘든게 현실이죠.
    남편이랑 시부모님이랑 잘 상의해보세요.

  • 18. 시어머니랑 상의하실문제일듯요
    '13.8.23 6:00 PM (222.236.xxx.211)

    만약 음식준비를 좀 해야한다면
    전날 가서 하고
    집에와서 자고 다음날 아침에가서 상차리고 식사한후 친정가면 되겠네요.
    부럽당,~~
    전 항상 이틀전에 가서 딸, 사위 먹일 음식장만하고
    다음날 큰댁가서 또 음식장만 돕고
    지저분하집에서 자고..
    차례 지내고 다시 시댁으로 갔다가
    오후 늦게나 친정가는데...

  • 19. 답글이
    '13.8.23 6:03 PM (110.70.xxx.8)

    뾰족하다고만 생각하지 마시고 결혼이 자기들 둘 좋자고 하는것일수도 있지만 각자의 가족으로 합쳐비는거라고 생각하시면 좀 나으실거에요
    혼자 좋은거 하고 여행 다니고 그러다 늦게 결혼하고 이게 요즘 추세임것도 다 자기 결혼을 통해 내인생만이 아닌 남과 더불어살 자세가 되어있을때 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해요
    그런 면에서 님이 좀 철없어보이는게 당연할수 있구요
    여튼, 해야할 일이니 긍정적으로 생각하시고 남편과 시부모님과 차분한 대화로 잘 이끌어나가시길 바래요
    시짜 입장에서 글썼다고 다 미래시어머냐 비아냥대지 마시구요
    님 글 써놓은거 보고 이래서 딸만 있는집은 아들가진 집을 이해조차 안하려고 한다고 그러면 좋으시겠어요?

  • 20. 덧글들보고 저도 괜히
    '13.8.23 6:49 PM (124.56.xxx.86)

    울컥해서 한마디 더 덧붙이자면
    우리세대는 집안 평화를 위해 어쩔수 없이 여자가 좀 손해볼 수 밖에 없는것 같아요. 억울하지만요.
    우리 자식세대부터라도 합리적 이성적으로 살 수 있으면 좋겠네요. 아마 저같이 원글님 나이 정도 되는 사람들은 많은 분들이 그런생각 할거예요. 여기 덧붙여진 글들에 너무 상처받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 21. ,,,
    '13.8.23 6:57 PM (222.109.xxx.80)

    시어머니께 명절전에 미리 물어 보세요.
    전날 와서 음식 준비하라 하시면 전날 음식 준비하고 집에 와서 자고
    명절 당일날 가시고, 명절 당일에 와라 하면 어머니와 의논해서 원글님댁에서
    명절 음식 몇가지 해가지고 가서 명절 보내세요.

  • 22. ..
    '13.8.23 7:18 PM (211.36.xxx.130)

    저희 아버지 70대 후반이시고 어머니도 살아계셨으면 60대 후반인 나이인데요, 저 어릴 때부터 할머니 할아버지 양가 모두 같은 서울에 사셨지만 한 번도 명절 전날에 가서 음식을 만든다든가 하는 법이 없었네요. 두분 다 그런 건 상상도 못하셨고 언제나 늦은 오후에 도착해서 밤까지 놀다, 당일날 집에 왔어요.
    살면서 아무 생각이 없다가도 문득, 아 우리집이 이북 실향민 출신이구나 하고 느낄 때가 바로 이런 시집 문화, 결혼 문화를 당연한 듯이 말하는 분들을 접할 때죠. ㅎㅎ 바로 우리 세대부터 바꾸면 안 되나요?
    저는 70년 대부터 그리 살아와서 이런 이야기를 보다보면 시간이 거꾸로 돌아간 듯한 느낌입니다.

  • 23. ....
    '13.8.23 10:18 PM (113.131.xxx.24)

    시간이 거꾸로 돌아간 느낌이라도 어쩔 수 없어요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은 며느리가 아니라 시엄니에게 있으니까요

    그게 시엄니가 가진 권력이라죠?


    지금의 며느리들이 나중에 나이 들어 시엄니가 됐을때 그들의 방식대로 변화시키면 되겠지만 과연~

    나는 똥을 먹었는데 너는 감히 물을 먹어? 라며 똑같은 일들을 벌이지나 않을지.....

  • 24. ㅎㅎ
    '13.8.24 12:03 AM (122.38.xxx.22)

    님심정이해해요 근데 정말 결혼하면 명절은 더이상 휴일이 아니랍니다 저희남편이랑 저랑 둘다 명절싫어해요 ㅋㅋ 길막히는데 양가부모님 찾아뵙느라 쉬기는커녕 더힘들거든요 여기는 아무래도 연령대가 있다보니 님이 철없어보이시나봐요 저도 결혼하고 딱 님같았기에 댓글달아요 글고 생각하신대로 시댁에 여쭤보심 될듯 가풍이 다르니 서로 맞춰가야할 시기긴 하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2712 김병기 원내대표 발언이에요. .. 05:47:23 167
1772711 애들 엄마 못잊는 남자.. 1 05:30:43 560
1772710 안양고등학교 근처 주차장 새벽 05:21:51 96
1772709 명언 - 낙관주의 삶의 자세 ♧♧♧ 05:00:10 256
1772708 대장동 항소 포기했다고????? 6 야근한 아줌.. 04:52:27 524
1772707 오늘 수능인데 언어문제 하나 풀어보세요 10 ㅇㅇ 03:46:38 720
1772706 싱글맘이 받은 병간호 4 11 03:33:39 1,411
1772705 인터넷 쇼핑에서 바가지 당한것 같다면...? 2 03:19:10 300
1772704 수능 선물도 변했다… 떡·엿 대신 상품권·현금 2 음흠 03:07:43 628
1772703 제주서 사망한 쿠팡 새벽배송 기사 ‘주6일 야간에 하루 11시간.. ㅇㅇ 02:34:29 939
1772702 9년만에 밥솥 바꿨는데 밥맛 기맥힙니다^^ 9 바꿈 02:32:07 2,029
1772701 거절을 못해서 마음이 힘든 거였나 싶기도 해요 4 ... 02:28:37 648
1772700 대학 학위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 팔란티어 CEO 1 ㅇㅇ 02:24:02 581
1772699 알리) 해표 콩기름 대박싸네요 ㅇㅇ 02:05:09 348
1772698 친구한테 조언(충고) 하는게 나을까요? 안하는게 나을까요? 7 소람 02:02:55 1,022
1772697 나솔 라방에 광수 정희 안나왔네요 3 .. 01:59:54 1,758
1772696 계속 고민이 크고 괴로워요 2 01:49:17 725
1772695 삼겹살 생선은 에프가 진리같아요 3 ㅇㅇ 01:46:40 1,210
1772694 감사원장 퇴임식서 유행가 틀고 유병호 ‘행패’.jpg 5 난동 유병호.. 01:30:12 756
1772693 뉴진스말고... 뜰뻔하다가 무슨문제 생겨서 7 .. 01:21:37 1,365
1772692 나솔 라방 시작했어요~~~ 16 .. 00:52:08 2,285
1772691 뉴진스 3명은?? 8 그런데 00:49:13 1,585
1772690 사장이 변덕스러워요 1 .. 00:47:57 398
1772689 어린이집 담임쌤이 계속.. 7 .. 00:40:25 1,729
1772688 블핑 로제요 노래 잘하네요 6 ㅇs 00:36:18 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