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독서에 취미는 없는데요.. 30대중반 나이에 도전해보면 저도 책을 좋아하게 될까요^^;

독서 지도사 조회수 : 2,458
작성일 : 2013-08-12 01:44:06

4살 아기 키우고 있어요. 프리랜서로 일을 하고있구요.
요즘 들어 제가 나중에 할수있는일이 어떤게 있을까.. 지금 하는일은 뭐 평생 할수있는건 아니니까요..
여기서 본 광고글 중에 공무원 글도 보고 관심있게 조사하고 검색도 했지만, 제 길이 아닌거 같아서 마음 접었구요.
제가 공부가 체질인것도 아니고 대학졸업후 컴퓨터관련일 한게 벌써 10년 넘었는데.. 지금 와서 책을 판다는게
어렵더라구요^^; .  평소 독서는 재테크. 자기계발.. 등등 뭐 그런류 독서만 했어요.
지금도 책을 안읽는건 아니네요. 그런데 거의 저런 종류 책만  보게 되네요 ㅎ
그마저도 요즘은 읽으면 들어왔다가.. 한쪽으로 빠져나가는듯..


지금 와서 생각하니.. 참 제가 한심했다 싶더라구요.
특출하게 공부를 잘한것도 아니고. 요즘 사회에서는 봉사 활동으로도 많은 경험쌓고 나중에 직업으로도 도움이 되던데.
전 그런것도 없었고. 그냥. 학교.집.. 학교..졸업후엔 회사.. 그랬으니.. 마땅히 하고 싶은거 잘하는거.. 취미 이런게 없이 살았던거죠.

반면 신랑은 어릴때부터 책도 많이 읽고 관심있어 하고.. 종류도 참 다양해요.
제가 신랑이 책을 지를 때마다.. .뭐 이런책을 다 읽나 싶을 정도로.. 예전엔 그런부분이 부럽지 않았는데
요즘은 조금 부럽네요. 그래서 취미도 많고.. 하고 싶은거 관심있는게 저리 많은가 싶고 ㅎ

제가 돌이켜 생각해보니.. 제가 학창시절 .. 마냥 학교.학원.집 할게 아니라..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싶기도 하구요. 그중에서 책을 좀더 가까이 접했다면 지금 내가 좀 달랐을까 싶은 생각도 들고.

예전에는 그런생각한적없는데요. 나도 내 일이 있으니..내일에 좀더 자부심 가지고 살았는데.
다른일에 눈을 돌려서 주변을 둘러보니, 요즘은 똑똑하신 엄마들이 왜이리 많게 느껴질까요 ㅎ
오늘 어린이 도서관 갔을때도.. 엄마는 한쪽에서 영어 원서 읽으시고.. 아이도 옆에서 영어동화책 읽고 있구요^^
난 영어를 못하니...그럼서 쩝쩝..또 다른 주변분 보니..아이도 한문을 잘하고 , 어머니도 ..한문을 잘하시는 ㅎ
우리때는 한문 없어진다고 배우다가 없어진거 같은데..쩝쩝..

요즘들어 말 잘하고.. 자신의 생각을 똑똑히 전달하고, 정리하고, 좀 더 감성적으로 글 지어내고.. 요런부분이 부럽네요.
뭔가 맘이 허한가봐요 ㅎ  그런걸 지금이라도 좀 채워 볼까 해서 제가 독서에 취미를 붙이고.. 책을 읽다 보면..
나도 좀 더 생각이 풍성해지고, 잘 전달할수있을가. 싶은생각도 들고. 나중에 아이한테도 올바른 지도를
해줄수있을것같구요. 더 나아가면.. 그런부분으로 경제적으로 도움될만한 직업을 가질수도 있지 않을까 싶어요.

검색해보니 어린이 독서 지도사과정이란것도 있던데.. 이게 한번 해보고 싶기도 하면서.
과연 내가 여기에 취미가 있는걸까...그것도 확신이 안서고.. 아직 접해보지 못한 부분이라서요^^
또 원래 책에 취미가 없던 내가 지금 책에 취미를 붙인다는게 잘 될까.. 그런 생각도 드네요.

IP : 116.33.xxx.2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직업때문이면
    '13.8.12 1:50 AM (202.150.xxx.235)

    독서지도사는 전망이 없구요, 또 님처럼 독서가 고통인분들은 하기어려울겁니다.
    책을 좋아하려면 어떻게하면 좋아질까? 궁리하실 필요없어요. 그냥 읽으면 됩니다.

  • 2. .....
    '13.8.12 1:52 AM (58.227.xxx.10)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 생활이 되어야하는 거 같아요.
    어릴 때 미쳐서 책 읽던 저도 시간이 갈수록 그렇게까지 몰입할 수가 없더라고요.
    공부에도 때가 있다는 게 그 말이 맞긴 해요.

  • 3. 클로에
    '13.8.12 1:55 AM (221.151.xxx.49)

    음식 좋아하시면 식객 처럼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책부터.. 읽다 힘들면 잡지도 보시고 그러다 연관서적도 찾아 보시면서 시작해보세요.

  • 4. 원글
    '13.8.12 2:04 AM (116.33.xxx.25)

    맞아요 공부에도 때가 있다는말... 왜 그전엔 그런말 많이 들어도 흘러 들었는데..
    나이 다 들어서..이제와서 저말이 와닿을까요..
    생활이 되어야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그런데 책읽고 나서 한참 지나면 .. 나중에 기억나는게 가물가물.. 책 읽는 방법이 잘못된걸까요. ㅎ

  • 5.
    '13.8.12 2:13 AM (173.89.xxx.87)

    원래 책을 읽고 나서 모든 디테일을 다 기억할 순 없어요. 그런데 지금 책읽기를 시작하지 않으면 나중엔 한페이지도 제대로 읽어내기 힘들 수도.....

  • 6. 치매예방
    '13.8.12 2:19 AM (202.150.xxx.235)

    치매예방에 독서가 고스톱보다 훨씬 좋다는 거 아시나요?
    그런데 함정은 그냥 책은 안된다는거 ㅎㅎ
    인문학 고전, 즉 철학책과 더불어 톨스토이 괴테 등등 고전을 읽어야한다고해요.
    이들을 읽으면 뇌 전체에 불이 들어오고 뇌신경이 다 자극이 되요.
    대중소설, 감성소설? 등은 해당이 안되구요.

  • 7. 문자중독증
    '13.8.12 6:45 AM (59.26.xxx.155)

    문자종독증이다시피해서 굉장한 독서량을 가지고 있지만 저같으면 책이 잘 읽히지 않으면 그렇게 굳이 책 읽으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결국 책이란 것도 작가가 고민해서 (즉 전문가면 전문가로서 최대한 고민해서 적은 것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거든요.

    한동안 미술사에 관심이 많아 미술사책을 최대한 많이 읽은 적 있는데 각 평론가마다 화가에 대한 평가가 달라서 아~ 결론은 나 자신부터 미술에 대한 깊이가 있지 않은 이상 평론가의 전문적이지만 주관적 견해만 쫓아가게 되는구나 라는~~~ 사실을 느꼈어요 ㅋㅋㅋ

    또한 어린시절 책과 현실에 대해 괴리감을 많이 느꼈어요.
    지금이야 작가가 주제에 비춰 이상향을 제시하는것에 이해는 하지만 그래도 현실 반영되지 않는 작가 특유의 아집만으로 쓰여진 책들이 많아서 씁쓸할때가 많더라고요.

    드라마를 보거나 영화를 보거나 단 내가 그것을 보고 충분히 생각을 해본다면 그것이 독서효과를 읽으키는 것 같아요.


    자꾸 독서를 해야 한다 다들 그러는 이유는.
    드라마나 영화나 단시간에 끝나고 혼자 생각해볼 여유를 잘 가지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지금 책이 안 읽히시는다는 이유는 생활과 인간관계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가 문자중독인 이유는 ㅠㅠ 현실도피입니다. 잠시 책을 읽음으로써 현실을 망각 할 수 있기에 책에 빠지고 있습니다.(제 경우입니다. 다른분들 제외...)





    지금도 일주일에 2.3권은 읽지만 내 아이에게도 그렇게 책 권하지 않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89330 생중계 - 국정원 대선개입 국조속개, 표창원 진술기대!~ 1 lowsim.. 2013/08/19 920
289329 매실액 걸러낸 매실로 매실식초 만들어 보신분 계신가요?^^.. 5 매실건더기 2013/08/19 2,202
289328 용산으로 이사가는데.....용산중 어때요??? 2 희망기쁨사랑.. 2013/08/19 1,005
289327 국정원녀는 컨링페이퍼도 준비해 왔었네요. 5 바람.. 2013/08/19 1,039
289326 인터넷 통신사 어디가 괜찮은가요? 4 벼리 2013/08/19 565
289325 침구청소기나 진공청소기 먼지 어떻게 버리나요? 3 어디 2013/08/19 2,031
289324 요즘 유행하는 멸치국수 정체는??? 5 궁금 2013/08/19 3,432
289323 가림막 뒤 숨은 국정원 증인들, 답변거부 아니면 기억상실 1 샬랄라 2013/08/19 913
289322 대형견과 소형견을 같이 키울 수 있나요? 4 궁금 2013/08/19 2,213
289321 남한테 솔직하지 못한 사람은 왜그런거에요? 6 타인의 마음.. 2013/08/19 4,165
289320 불어 전공하신 분 도와주세요! 4 ... 2013/08/19 819
289319 레몬 효소 만드는 거 가르쳐 줬더니.. 8 만족해하는 2013/08/19 5,694
289318 [사진] 김하영과 박원동의 녹음기 모범답안 1 손전등 2013/08/19 1,451
289317 그냥 살만하면 둘 낳는게 나은가요? 16 ... 2013/08/19 2,667
289316 지금 아이들 재웠는데요. 14 아니벌써~ 2013/08/19 2,886
289315 달 보셨어요? 4 2013/08/19 1,436
289314 박영선 의원 부채랑 A4용지 뒤적거리는 거랑 자리 옮기는 거 지.. 4 01 2013/08/19 1,762
289313 소변에서 거품..단백뇨 이거 건강보조식품 과다섭취로 생길수 있나.. 6 양파깍이 2013/08/19 4,888
289312 굿닥터 보시는 분 17 ... 2013/08/19 3,382
289311 김용판, 16일 청문회서 거짓말했다 1 선거법 위반.. 2013/08/19 963
289310 뺑소니택시 응징 1 우꼬살자 2013/08/19 991
289309 국정원 대선개입 특검 가야한다 1 ㅁㄴ 2013/08/19 931
289308 국정원 증인들, 컴퓨터 하드‧휴대폰 막 갖고 들어가 3 얼굴이 1급.. 2013/08/19 1,115
289307 부모도 선택할 수 있다면 하는 생각이 들어요.. 6 언어폭력 2013/08/19 1,090
289306 체리 설탕에 절이고 있는데요 도와주세요 2 리락쿠마러브.. 2013/08/19 1,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