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레시피없이 요리하는 비법?좀 알려주세요

조회수 : 2,267
작성일 : 2013-08-03 00:08:57

각종 볶음, 조림, 고기 양념 등등

 

레시피없이...기준이 있나요?

 

요리 초보는 너무 힘드네요...ㅠ.ㅠ

IP : 175.115.xxx.17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3.8.3 12:15 AM (203.152.xxx.172)

    제가 항상 음식을 할때 생각하는게 이 음식이 달콤짤잘한 음식인가 아닌가를 따져요.
    보통 국물요리가 아닌 양념 볶음 요리는 간장+ 설탕 + 마늘의 조합이죠...
    여기에 매운맛을 더하냐 아니냐의 차이
    양념갈비나 조림 등의 요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양념고기나 조림등은 전체 짠맛의 대략 절반을 단맛으로 하면 실패가 없더라고요.
    매운맛에도 짠맛과단맛이 포함되어있으니 (고추장등요) 잘 계산하셔야 하고요..
    고추장이 들어가는 얼큰한 찌개나 얼큰한 볶음 찜 등의 요리는 고추장분량을 조금 줄이고 절반은
    고춧가루로 합니다. 그럼 개운하고요.
    고기요리에는 술을 꼭 넣고 단맛이 포함되는 고기요리는 요리술 씁니다.

  • 2. 고기 100g에 간장 1T
    '13.8.3 12:35 AM (1.231.xxx.40)

    다른 재료도 무게당 비슷한 간장량
    그게 소금 농도로 1~2%(우리가 먹는 음식의 소금 농도)
    간장:소금은 15:2

  • 3. 자꾸 하다보면
    '13.8.3 12:39 AM (222.236.xxx.211)

    어느순간 저절로 잘하게 되요
    일단은 레시피 보면서라도 자주요리해보세요

  • 4. 쇼핑좋아
    '13.8.3 12:42 AM (218.209.xxx.132)

    전 레시피를 봐도 계량은 제맘대로 해요.
    일단 이런이런 양념 재료가 들어가는구나 정도를 파악하신 후에
    맛을 보면서 추가하심 되는겁니다.
    넘 어려워 마세요~

  • 5. 크림치즈
    '13.8.3 12:46 AM (121.188.xxx.144)

    한식조리 셤 수업들을 때
    고기양념
    간장 설탕 파 마늘 후추 깨 참기름
    이걸 간장대신뭐 고추장 혹은 고춧가루 아님 두개합쳐서
    글코 ㅣ번거의반을 단맛양으로 항상
    설탕 대신 다른 것으로도..

  • 6. 음음
    '13.8.3 12:48 AM (211.234.xxx.233)

    원글님, 지름길을 알려달라는 건데..... 요리에는 지름길이 없어요. 지름길이 있다면 그 많은 요리책과 요리 프로그램이 아직까지 팔리겠나요? 이미 정리 끝났겠죠.
    저도 몇 가지 수칙을 적어 드리겠지만 그것도 진리는 아니고, 수 년간 요리해 보면서 익힌 거지 저절로 생긴 게 아니거든요. 그러니 원글님도 요리를 많~~이 해 봐야 그 노하우가 자기 것 된다는 거죠.
    그래도 몇 가지 적어 드릴게요, 쉬운 요리책 사서 따라해 보면서 배우세요.

    - 제철 재료들로 장을 본다. 쌀 때 사면 좋은데 단, 먹을 수 있는 만큼만 본다.
    - 기본 양념을 잘 갖춰 두고 특이한 양념은 웬만하면 사지 마라... 그거 끝까지 다 쓰는 사람 별로 없다.
    - 기본 양념이란? 1. 간장 고추장 된장 마늘 파 소금 설탕 참기름 들기름 식용유 식초 /2. 양파 요리용 엿(물엿) 요리용 술(맛술) 후추 생강 등... : 2번이 좀더 덜 필수인 양념들

    - 채소는 단단한 것부터 익힌다 : 예 - 당근이나 감자, 브로콜리는 부드러운 것보다 먼저 넣고 볶기. 그래야 다같이 제때 익으니까.
    - 고기는 잡내 빼고 연육 과정 거치거나 밑간을 한다 : 고기는 맛있지만 잡내나 핏물이 맛을 망치는 경우가 있어요. 그걸 잘 빼야 되고, 덩어리 고기는 연육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거의 모든 고기 요리는 밑간을 제대로 하면 맛이 달라져요. 심지어 김치전에도 밑간한 돼지고기를 넣으면 맛이 확 다르게 맛있어요.
    - 웬만한 건 간만 맞으면 맛있다 : 감자+양파에 소금 후추 뿌려 볶아 보세요. 맛있어요. 브로콜리 볶다가 소금 후추 뿌려 보세요. 그것도 맛있어요. 거기에 밑간한 닭가슴살 한 개 찢어넣어 볶아 보세요. 내가 반찬의 신 같아요. 단, 너무 신나서 소금 뿌려뿌려 막 쉐킷쉐킷 하면 짜요. 간은 잘 맞아야지, 짜다고 맛있는 게 아니에요.
    (참, 후추는 통후추를 갈아 쓰면 좋아요. 향이 달라요.)
    - 해산물은 속까지 잘 익어야 하지만 너무 익히면 질겨지는 경우가 많다 : 소라, 조개, 오징어 종류, 이런 거 다 오래 익으면 질기고 물 빠져서 맛이 없어요. 적정 시점을 찾아야 함. 생선은 속까지 푹 익어야 하구요.
    - 채소는 그 때 그 때 조금씩만 사고 고기 종류는 많이(혼자 산다면 한 근도 많은 거임) 사도 된다. 사서 반드시 한 번 먹을 만큼 나눠서 뭔지 써서 냉동할 것.
    - 나물은 어렵지 않다. 거의 뭐든 다듬어서 데쳐서 간을 하면 먹을 수 있다. 간을 하는 재료는 소금/ 간장/ 된장/ 고추장. 이 중에 하나로 간을 한다 생각하고 참기름이나 들기름 중 하나, 그리고 마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음.

    대강 적어 봤어요. 저도 반찬 하기 막막해서 82 굴러들어왔던 사람인데요. 레시피 무지무지하게 많이 봤어요. 다 해 보기 어려우면 읽어보기라도 하세요. 그것도 도움 됩니다. 어떤 재료가 어떤 요리법으로 어떻게 요리되나, 무엇과 어울리나, 보통 푹 끓이나 살짝 익히나...... 이런 거 수백 번 보다 보면, 나중에는 냉장고에 굴러다니는 짜투리 채소 가지고도 그럴싸한 반찬이 나옵니다.

    그리구요. 제일 좋은 요리는 재료 본연의 맛을 거의 그대로 살려서 먹는 것 같아요. 생채소 썰어 드셔도 좋고요. 간은 최소한으로, 요리과정은 복잡하지 않게 상큼하게 금방 끝나는 걸로, 그렇게 해서 드세요. 충분히 영양식 만들 수 있어요.

  • 7. 바람이
    '13.8.3 10:03 AM (220.117.xxx.229)

    요리비법 저도 참고 할께요^^

  • 8. ~~~
    '13.8.3 2:03 PM (61.105.xxx.213)

    도움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258 현직 경찰이 내란 옹호 글 게시 안양동안경찰.. 16:57:02 27
1740257 여수 숙소 좀 골라주세요 여수 16:56:16 14
1740256 학칙까지 바꿔서 유급효과 싹 사라짐 2 . . 16:53:37 154
1740255 김밥은 왜 소화가 잘 안될까요 2 ㆍㆍ 16:50:42 132
1740254 구미시에 있는 동사무소 구경하세요. 세상에 16:45:49 317
1740253 민생지원금 쓴다고 가격을 올리는군요 11 ... 16:43:18 772
1740252 싸이는 가정생활도 잘하나봐요 3 ㅇㅇ 16:37:43 1,022
1740251 전북 농민들, 이재명정부에 전면전 선포 5 .... 16:27:30 1,103
1740250 재태크 연저펀 운용 4 ㅁㄵ23 16:26:12 230
1740249 워터파크 왔는데 6 ... 16:18:31 1,187
1740248 업무에 집중할수 있는 약도 있을까요? 4 .. 16:16:03 329
1740247 여행중 에피소드들 여행 16:15:39 285
1740246 자동차 관련 순정대신 대체부품사용 관련 약관 아세요? 9 car 16:00:46 263
1740245 미친듯이 더러운 딸의 방 31 ㅇㅇ 15:55:53 3,479
1740244 처음 와 본 스타필드. 사람 엄청 많네요 8 덥다 15:54:15 1,617
1740243 맘카페들도 보면.. 12 .... 15:53:25 1,139
1740242 '대출사기 등 혐의' 양문석 의원 항소심도 당선무효형 ... 15:50:07 393
1740241 강형욱 부인이 통일교 2세였네요 6 ... 15:49:03 2,998
1740240 수해복구 현장에서 장난하는 국짐의원들 5 쓰레기들 15:46:58 727
1740239 월세 중개 수수료 얼마인지.. ** 15:44:39 149
1740238 강아지가 너무 더워서 잠만 자요 1 ... 15:44:08 766
1740237 어릴 때 로봇이나 자동차 좋아하는 딸은 3 남매 15:39:25 388
1740236 통일교 캄보디아 문건 희림 대표 노트북에서 나왔다 2 내그알 15:39:08 829
1740235 참깨는 냉동실에서 얼마동안 보관하고 드시나요 2 보관 15:38:06 509
1740234 아래에 대딩딸 워홀 고민하는분 4 아래에 15:37:31 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