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청량리역 화장실 괴담 : 화장실에 화장지 없다...ㅠ

아암 조회수 : 3,213
작성일 : 2013-06-23 00:10:12

청량리역 화장실 화장지 건에 대해 고객소리함에 글 남겼는데, 별무 반응이라, 공론화를 위해 82에 글 올립니다. 일터가 서울이라 주 1회 이상 기차로 출퇴근을 합니다. 작년 봄만 해도 화장실 칸칸이 화장지가 배치되어 있어서 아주 찌질한 감동을 느꼈지요. 그런데 언제부턴가 칸칸이 화장지는 없어지고, 공유 공간의 2개 화장지 걸이에만 화장지가 걸려있더군요. 기억하기론 지난 3-4주 전부터 공유 공간 화장지 걸이에마저 화장지가 없는 겁니다. 지난주엔 역사의 고객감동 안내를 맡은 인턴사원한테 얘길 했습니다. 알았다고 하더군요. 이때까지만 해도 회사 방침이 '화장지 없다'로 바뀐 줄 몰랐지요.

그런데 바로 어제 아침, 또 화장지가 없더군요. 어쨌든 저는 일보러 들어간 상태였고, 듣자하니 어떤 분이 청소하시는 직원한테 말하길, '화장지가 없네요. 어떻게 하지요?' 하는데, 청소직원하시는 말씀이, '네, 없습니다. 앞으로는 고객님께서 챙겨 다니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정교한 멘트가 흘러나오는 겁니다. 이건 청소하는 분의 자의적인 말이 아니라, 회사 방침을 옮긴거라는 판단이 들었지요. 고객지원실에 가서 화장실에 화장지가 없다고 했습니다. 기대했던 것은 '아, 그렇습니까? 죄송합니다. 당장 가져다 놓겠습니다.' 이런 정도의 반응이었습니다. 놀랍게도 역무원 왈, ‘알고 있습니다. 화장지가 떨어져서 놓지 못합니다.’ 당연히 설왕설래와 고성이 오갔고, 또 다른 역무원이 나타나서 점잖게(?) ‘앉아보십시오. 화장지가 왜 떨어져서 비치하지 못하게 되었는지 상세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하면서 청량리역 소모품 대장이라도 펼쳐 보이고, 더 나아가서는 코레일 예산총액까지 알리고, 합리적 이해 내지 동의까지 구할 기세였습니다.

정황상 판단컨데는 청량리역은 회사방침상 화장지를 비치하지 않기로 했던 겁니다. 떨어져서가 아니라, 비치 자체를 안한 겁니다. 뽀삐 수준도 안되는 화장지 못 매달 정도로 코레일이 힘든가? 기차요금 산정 내역 내지는 매커니즘 모르지만, 거기에 역사 화장실 관리비용 및 화장지값 정도는 포함되어 있지 않을까? 어이없어서, 지금 나누는 얘길 녹음하자고 했더니, 그렇게는 못하겠다고 하더군요.

맘 같아선 화장지가 다시 매달릴 때까지 죽치고 싶었지만, 저 역시 일로 바쁜지라 자리를 뜰 수 밖에 없었습니다. 어제 밤 9시 13분 기차를 타기 위해 다시 청량리역에 왔습니다. 아침의 일은 아득했고, 화장실엘 갔더니 두개의 공용 화장지 걸이 중 하나에만(꼼꼼하게도) 화장지가 걸려있더군요. 치사하게 다시 감동... 건너편 화장실에도 가봤습니다. 역시나 둘 중 하나에(꼼꼼하게도) 화장지가 당당하게 걸려있더군요.

 

사이트 운영방식이 얼마나 폐쇄적인지 주민등록 소지자만 글을 올리게 되어 있더군요. 제가 올린 글은 ‘처리중’으로 분류되어 있고, 아직껏 답이 없습니다.

청량리역에 가면 친절 서비스 한답시고 어깨 띠 두른 직원이 서넛 서성입니다. 기차를 타면 승무원들은 승객 누구에게랄 것도 없이 고개를 숙입니다. 이번 화장실 화장지 전말을 보면서 이들이 지향하는 ‘친절’이 얼마나 공허한 제스처인지를 확인하게 되었답니다. 시민이 공공기관을 이용할 때 친절까지는 바라지 않습니다. 바라는 것은 친절이 아니라, 상식이지요. 그들이 다른 공공기관을 이용할 때 당연시되는 정도의 기초적이고, 평범하고 자연스러운 서비스...

 

 

IP : 1.244.xxx.208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6.23 12:14 AM (180.64.xxx.211)

    화장지 없는 건 알았고 이젠 괴담을 들려주세요.

  • 2.
    '13.6.23 12:17 AM (110.70.xxx.82)

    괴담은요???

  • 3. ...
    '13.6.23 12:21 AM (211.234.xxx.43)

    역사안이라도 개찰구 바깥쪽에 있잖아요.
    노숙자들도 많고 훔쳐가는 사람들도 있고 그걸 어찌감당합니까
    밖에 있는거 좀 가져가서 쓰면되겠네요.

  • 4.
    '13.6.23 12:38 AM (112.219.xxx.251)

    청량리역이 유난히 화장지가 잘 없어지거나 그런걸까요

    제가 주로 가본 역들은 다 화장지가 칸칸이 구비되어 있던데
    그런데 그건 부가적인 서비스지
    당연히 지하철역에는 꼭 공짜화장지가 있어야만 한다가 상식이라고는 생각안해봤구요

    코레일 작년 대부분의 노선이 다 적자고 적자규모만도 몇천억이라고 듣긴했어요
    화장지값 아낀다고 얼마되겠냐 싶긴하지만 공짜 화장지 막 비치할 형편도 아니긴 하네요

  • 5. 뽀삐
    '13.6.23 12:39 AM (124.61.xxx.15)

    청량리 역장에게 항의 전화라도 한통 해야되겟군요, 이런 진지한 글에 괴담은요? 이러고 있는 한심한 분들은 또 뭐지??

  • 6. 아휴
    '13.6.23 1:21 AM (211.213.xxx.20)

    화장지좀 챙기고 다니시지요
    지하철 역사마다 그정도 깨끗한 화장실 공짜로 이용하는 것만도 저는 감지덕지 랍니다.
    지하철 화장실에 화장지까지 비치해야 한다는 법이라도 있나요?
    지하철에 화장실따위 없는 미국(뉴욕)이나, 화장실 유료인 런던 같은데 비해
    우리나란 공공서비스가 잘돼도 너~~~~무 잘돼 있는 경향이 있어
    시민들이 아주 배가 불렀다는 생각이 드네요.

  • 7. 뽀삐
    '13.6.23 1:52 AM (124.61.xxx.15)

    코레일 예산에서 화장실 휴지가 차지하는 비용이 얼마나 될까요

    엉뚱한 곳에 돈 낭비하는거 조금만 줄여도 고객들 편의를 위한 화장지 배치 하고도 남을것 같은대
    이런 고객을 대하는 마인드 문제지 무슨 시민들 배가 불럿다니 헛소릴 하고 있나요? 윗님?

    일예로 수십년전에 한겨울 아주 추운날 독일 여행중 화장실 들렀다가 하루에 고작 한두명 올까말까한 외딴 화장실이였는대도 히터를 틀어놓았더군요

    한국같으면 그런 세심한 배려 상상이나 됩니까?

  • 8. 그 히터요
    '13.6.23 11:05 AM (59.2.xxx.6)

    그렇게 안해놓으면 수세식화장실들 얼어터져서 그비용이 더나와요
    그래서 동네상가건물들도 한번 겪으면 알아서 그해겨울엔 작은 난로를 비치해놓더군요.

    화장지문젠 대중들이 오가는 공공화장실의 휴지를 가정집 휴지와 비슷하게 생각하심 안됩니다.
    화장지 집어가는 사람, 화장지 집에선 서너번 쓸 용량을 한번에 뜯어가는 사람, 잘못해서 돌돌 흘러버리는 화장지등등 그 비용도 상당할걸요?

  • 9. ...
    '13.6.23 12:28 PM (211.234.xxx.43)

    수도터지지말라고 히터틀어논거죠.

  • 10. 그거 훔쳐가는 사람들 땜에
    '13.6.28 4:14 PM (218.236.xxx.183)

    지역에 따라 공공건물 화장실 안에 있는 휴지 훔쳐가는 비율이 너무 높은곳은
    아예 안에 놓지 않는곳이 있어요.
    거기가 그런곳일 거예요... 오죽하면 그러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8339 해독주스 다들 참고 드시는거죠? 24 ㅡㅡ 2013/06/24 4,980
268338 장아찌 우체국 택배로 보낼 수 있나요? 2 .. 2013/06/24 656
268337 너의목소리가들려-드라마작가-박혜련??? 2 수목드라마 2013/06/24 2,597
268336 MBC·YTN, 국정원 선거개입 규탄 촛불집회 '묵살' 1 샬랄라 2013/06/24 471
268335 사주와 점성술에 대한 오해 풀기 - 1 3 아리엘102.. 2013/06/24 1,884
268334 수학과외 선생님 기말고사엔 몇일전까지만 오시게 하시나요? 3 궁금 2013/06/24 797
268333 아침에 2가지 이슈를 갖고 장난치네요 오늘일베애들.. 2013/06/24 787
268332 헤어드라이기 추천해주셔요~ 6 궁금이 2013/06/24 2,795
268331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우리들의 자세 --- 2013/06/24 459
268330 중고생 자녀분들 카톡 카스 들어가 보시나요? 8 늘맑게 2013/06/24 2,097
268329 충치치료 견적 좀 봐주세요 1 대구 2013/06/24 651
268328 이해가 어렵고 국어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인데 속독학원괜찮.. 7 아이가 2013/06/24 1,207
268327 발뒤꿈치 1 ..... 2013/06/24 1,017
268326 40대 중반, 건강검진 어떤거 할까요...? 2 빰빰빰 2013/06/24 1,718
268325 도움요청..반건조 오징어 처치법 5 어쩌나~ 2013/06/24 830
268324 층간소음 윗집만 잘못인가요?? 33 도움절실 2013/06/24 3,699
268323 드림렌즈 뺄때 손으로 빼주시는분 있나요? 7 /// 2013/06/24 7,346
268322 PDF파일 한글로 변환할 수 있나요? 2 패랭이 2013/06/24 4,328
268321 국정원 여론조작은 민주주의에 대한 강간이다 3 뉴스타파 최.. 2013/06/24 719
268320 아이 이마를 꿰맸어요. 2번에 걸쳐서 실밥을 푼다는데 다른 병.. 4 상처 꿰맨곳.. 2013/06/24 3,024
268319 임테기는 아니라는데 그날이 안와요 ㅡㅡ;; 5 나라냥 2013/06/24 1,857
268318 사소한 고민... 2 연희동 한선.. 2013/06/24 799
268317 휘슬러 압력 밥솥 사용법 좀 알려주세요 8 휘슬러 2013/06/24 14,895
268316 손톱에 하얀색 1 장마철 2013/06/24 774
268315 6월 24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1 세우실 2013/06/24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