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교수들 진짜 천재급인가요?

내일 조회수 : 4,938
작성일 : 2013-06-19 13:04:06

전 그냥 평범한 인서울 나왔습니다만

아래 외고-설대 나온 질문받으신분보니

교수나 선배들이 다들 천재급이어서

공부에 자신이 없어서 관두셨다는데

사실 저는 대학다니면서 교수들한테도 저런 느낌 받은적이 없어서

 

다만 중고등학교때 설대 나오신 물리샘과 영어샘은 좀

남달랐던 거 같고

그분들 수업들으면서 전 사교육 필요를 거의 못느꼈기 떄문에..ㅎㅎ

 

근데 저도 직장생활하면서 좋은 직장이 아니다 보니

인재를 만날기회가 별로 없어서...

그런 인재들 천재들을 구경하고 싶은 욕구가 있습니다.

원래 주위에서도 전 학자타입 인간으로 인식되어 있는데

집안사정상 걍 직장다녔네요..

 

직접 유명 대학에서 공부하신분들이나

석박사 과정 거치신분들

교수들,선배동료들 보면 정말 넘사벽인가요?

IP : 211.212.xxx.110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3.6.19 1:18 PM (211.59.xxx.253)

    남편 유학할때 친구들-끼리끼리 모여요 부자유학생, 가난한 유학생 ㅎㅎ
    십여년전에 모여서 이야기하면 그런말 많이했어요
    우린 줄도 없고 빽도없고 집안 돈도 없고 한국에 돌아가서
    교수 되긴 힘들테고 어쩌고 살지...
    근데 지금 거의 교수 되서 자리잡아가는 소식들이 들려요
    물론 있는 집 자식들이 빨리 자리잡긴 하더군요

    근데 별로 천재적이란 느낌은 못받았어요 ㅎㅎ

  • 2.
    '13.6.19 1:21 PM (119.18.xxx.137)

    교수도 연줄이라는 거 일반적인 통념 아닌가요
    그리고
    한번 본거 다 기억하고 그 자리에서 책 2000페이지 즉석에서 쓸수있다고 했을만큼 똑똑했구요.
    이게 가능해요??
    써도 너무 쓰셨네

  • 3. 그럴리가요
    '13.6.19 1:29 PM (183.100.xxx.227)

    한 십프로는 천재인거 같고요..
    중간에 책 놓는 사람보다 계속 책 들고 있는 사람이 세월이 쌓이면 아는 것이 더 많아지겠죠.
    제 주변에서 보면... 교수는 하늘이 내는거 같아요.
    교수 임용 기다리기까지 드는 수업료, 생활비 등등을 받쳐주는 사람이 있어야하고
    또 제때에 맞게 교수 티오가 나와야하고요.

  • 4. 호오
    '13.6.19 1:34 PM (180.224.xxx.207)

    집안에 돈도 없고 빽도 없지만 오직 성실과 노력 타고난 머리로 의대 교수가 된 사람을 압니다.
    이십년 가까이 새벽 일찍 일어나 공부하고 논문 쓰고 환자들 살피고 있죠.

  • 5. 딸엄마
    '13.6.19 1:41 PM (203.226.xxx.211)

    음 저는 업무상 스카이부터 다양한 학교의 교수님들을 많아 만나왔는데요. 대부분은 천재라기 보다는 엉덩이 힘이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ㅋㅋ
    하지만 나랑은 뇌의 레벨이 다른 천재구나 느낀 분이 몇분 계세요. 예를들면 고대교수로 계시가 퇴직하신 이모 교수님, 그리고 서울대 의대출신 정신과 박사 등등
    제가 천재라 느낀 분들 대부분은 정말 사교육 없이 어릴때부터 알아서 공부하셨더라구요

  • 6. 저만 빼고
    '13.6.19 1:49 PM (14.52.xxx.59)

    온 집안 식구들이 다 교수인데요
    천재 아니에요
    좋은 대학 나온 사람은 좋은 대학 교수하고
    별로 안 좋은 대학가도 대학원가고 오래 가방끈 유지하면 안좋은 대학 교수해요
    그래서 서울대 가서 월급장이 하는것보다는
    중경외시가서도 교수하는게 낫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리고 이과쪽은 돈 별로 안쓰고 교수될수도 있는데
    문과는 꼭 재단에 뭘 갖다준다는게 아니라도 이래저래 사교에 돈이 좀 들어가요
    예전에 비하면 많이 깨끗해진거구요,한 이십년전에는 정말 건물 지어라,소리 나온 대학들 있었어요

  • 7. 서양은 가능
    '13.6.19 2:05 PM (121.141.xxx.125)

    서양에나 천재급이겠죠. 교수들이 곧 학자들인데.
    한국은 빽, 줄 이런게 있기 때무에
    교수급은 다 천재다, 이거 아니죠.

  • 8. ㅎㅎㅎ
    '13.6.19 2:07 PM (175.212.xxx.22) - 삭제된댓글

    천재,영재 권하는 사회.ㅜㅜ
    카이스트 갈 정도의 학생은 수재 정도가 맞고 서울대는 그냥 영재 정도. 나머지는 전부 평범한 사람들.
    천재는 무신...모든 교수가 천재라면 천재가 흘러넘치는 나라에서 노벨 물리학상이 한명도 없남요?
    주변 엄마들 초등 영재반 들어가면 자기애가 진짜 영재인줄 알고 우쭐거리고 애도 어깨에 힘 잔뜩 넣고다니는 거 보면 그냥 헛웃음만...ㅜㅜ그게 해당 교육청의 지원금을 겨냥한 금전적인 것 때문인 줄도 모르고 헛바람만 잔뜩.

  • 9. ~~~
    '13.6.19 2:10 PM (121.128.xxx.153)

    제가 교수인데요..
    교수로 임용되기까지 요구되는 조건이 까다로우니
    일단 머리든, 노력이든 능력이 필요한 건 맞습니다.
    과연 천재인가..는 다른 문제죠.
    보통 한 과에서 (과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저희 단과대에는 400명 정도의 전임교수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모두 인정하는 천재. 다 싶은 교수는 5명 내외입니다..
    저희 대학은 우리나라 3대 대학중 하나구요..

  • 10. ~~~
    '13.6.19 2:11 PM (121.128.xxx.153)

    그런데 아까 그분은 서울대셨죠?
    저희 전공의 경우도, 서울대에 좀 천재급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래요..^^

  • 11. 교수들
    '13.6.19 2:20 PM (114.199.xxx.155)

    천재들도 있겠지만 다들 그렇지는 않아요 ㅋㅋ 다른 직종들이랑 같아요 ㅋㅋ 그런분들도 있고 아닌 분들도 있고..교수는 그냥 공부/연구가 세상에서 제일 좋은 분들이 하시는듯..한국에서 어떨진 모르지만 제가 공부하는 곳에선 적어도 그러네요.

  • 12. 돈으로
    '13.6.19 2:36 PM (183.96.xxx.247)

    교수되는겁니다

    아주 뛰어난 학자는 몇없어요

  • 13. ....
    '13.6.19 2:59 PM (50.157.xxx.226)

    우리 시아버지도 교수 .. 남편도 공부하는 사람인데
    전혀 전혀 .. 천재급이라고 느껴 본적이 한번도 없네요

    시아버님은 문과 쪽 교수신데 .. 수업을 들어본 적이 없어 모르나
    정치나 사교적인 능력이 좀 좋으신것 같구요
    신랑은 이공계 쪽인데 .. 그냥 연구하는거 자체를 별로 안 싫어하는 타입이이에요

  • 14. ...
    '13.6.19 3:00 PM (180.228.xxx.117)

    그리고 천재라면 진짜로 하늘(天)에서 내려 준 재주(材)를 지닌 사람에게나 쓰지 남들보다 암기력 좋아서
    공부 좀 잘했다고 그냥 천재라고 부를 수는 없어요.
    학문적 업적이나 예술적 업적으로 국사나세계사에 남을만한 사람에게나 천재라고 불러줘야지요.
    예를 들면 베토벤, 모짜르트, 피카소, 아인쉬타인, 정약용 등

  • 15. ㅎ.ㅎ
    '13.6.19 3:44 PM (203.59.xxx.175)

    전남편이 외국에서 교수 였고 외국인 친구들도 다분히 교수인데요,

    다들 특이한 분위기가 보통 사람들은 아니에요.

    인문아니고 과학, 수학, 의학계열 전공들이였어요.
    호주, 인도, 영국, 러시아 사람 이렇게 들 있는 데 노총각이 대부분.. 엄청 수줍어하고 말 수없고 그래요.

  • 16. 천재라기보다
    '13.6.19 9:27 PM (125.184.xxx.139)

    요즘 대학중 상위권 몇 대학빼고 천재 교수들이 있을까요?? 천재 자체가 희박하니깐요. 대신 교수가 되는게 100 % 실력은 아니겠지만 교수 자리를 유지 하는건 실력이라고 봐요. 영업이든 인맥관리든 연구 실적이든. 뭐든지 하는게 있어야 자리가 유지 되더라구요. 일반 직장인보다 시간이 자유롭긴 하지만, 성과내야 할때는 정말 사람 몰골이 아닐정도로 연구하시는 분들도 많죠.

  • 17. 음..
    '13.6.19 9:46 PM (129.69.xxx.43)

    사실 어떤 교수가 천재인가 아닌가는 일반 대중들이 느낄 수 있는 게 아니에요. 경험상 그 사람 전공 분야, 연구에서 업적을 보거나 동료로써 연구관련 토론을 해보면 아, 천재구나, 머리가 특별하게 남다르구나 하는 느낌이 오는 사람들이 한 5%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근데 그런 사람들 중에 그냥 일상 생활에서 천재란 티가 나는 사람은 한번도 본 적이 없네요. 같은 연구자들끼리만 아는거죠..
    그리고 한국에서 노벨상이 안나오는 이유는 연구자들의 자질이 떨어지거나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온전히 연구비, 투자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턱도 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기초 과학 분야 교육은 전세계가 다 비슷하고 한국이 특별히 주입식이나 창의력 말살 교육이라는 건 다 편견과 환상이 뿐이죠.

  • 18. 외국
    '13.6.19 10:57 PM (46.127.xxx.89)

    음악 공부하러 독일 왔다가
    천재라고밖에 할 수 없는 교수님들을 보고...
    나의 한계와 실력을 통감했습니다. 오히려 저에겐 공부하러 나온게 자신감을 상실시키는 계기가 되었어요.
    다른 분야는 어떤지 몰라도 독일 음대 교수들 천재 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71009 복강경 수술후 실밥 오늘 뽑았는데 수술흉터연고 좋은것 좀 알려 .. 2 ... 2013/06/30 6,178
271008 괜찮은 짝퉁 타조백 1 아하핫 2013/06/30 1,477
271007 정말 혼란스러워요 이혼후 44 낳아야되나요.. 2013/06/30 21,111
271006 55세에 은퇴해서 95세까지 산다면 10억이 13 필요한가요?.. 2013/06/30 5,215
271005 도깨비방망이로 빙수만들어보셨어요? 4 도와주세요 2013/06/30 2,572
271004 캐리어형 캐디백 ...써보신 분~계세요? 1 궁금해요~ 2013/06/30 875
271003 아이들 공부할 때 노트정리하면서 공부하나요? 15 고딩맘 2013/06/30 2,447
271002 ㅇㄴ제분 사모님 돕기 7 ... 2013/06/30 3,446
271001 오래된 레코드판 버려야 할까요? 12 에궁 2013/06/30 3,088
271000 코스트코 꾸미바이트 먹여보신 분? 5 꾸미 2013/06/30 1,479
270999 맛없는 김장김치 6 정말 2013/06/30 1,786
270998 잘 막히는 화장실 어떻게하나요~~? 4 고민고민 2013/06/30 1,384
270997 여름만 되면 화장실에서....냄새가... 8 ehdhkw.. 2013/06/30 2,590
270996 서울에 애들 데리고 3주 정도 밥해먹으면서 있을 곳 있나요? 6 2013/06/30 2,181
270995 수정과 6 계피 2013/06/30 1,097
270994 제주 스노클링 5 ' 2013/06/30 2,161
270993 나만 알고있는 좋은약, 성분과 회사까지 확인하세요 9 지나가다 2013/06/30 2,242
270992 보이스피싱두번째전화 4 땅개비 2013/06/30 1,507
270991 좋은 샴푸 추천해주세요 3 샴푸 2013/06/30 2,229
270990 냉장고 바꿔야 할 때인지 봐주세요. 3 수명이란 2013/06/30 900
270989 팥빙수 팥 만드는거 쉽나요? 12 == 2013/06/30 2,478
270988 수박이 너무 새빨갛고 이상한 맛이 나요 1 수박주사 2013/06/30 1,561
270987 인생의 선배님들을 만나기 위한 모임 1 정성을다해 2013/06/30 889
270986 친정식구들 싫어하는 남편 60 하소연 2013/06/30 21,675
270985 교회에 항의해 보신적 있으신가요 19 교회소음 2013/06/30 5,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