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로이트와 융 심리학이 학계에서 어느정도 인정을 받고 있나요?

마음 조회수 : 2,253
작성일 : 2013-05-12 19:16:15

좀 질문이 막연하지만..

심리학계에서는 비판적이라고 들은거 같은데 프로이트와 융심리학은 정설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나요?

IP : 59.31.xxx.7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5.12 7:20 PM (121.160.xxx.45)

    정설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이들의 이론은 '과학'이 아니예요.
    경험적 연구가 불가능하거든요.
    예를 들어 남근기에는 리비도가 남근에 집중된다는데, 과학적 데이터를 가지고 보여줄 수가 없죠.
    발달단계나 무의식, 아니마, 아니무스... 등등의 개념도 그렇구요.

  • 2. ㅡㅡ
    '13.5.12 7:20 PM (115.126.xxx.69)

    미술 영화 문학 등등...프로이트 이론이 뻗치지 않은
    영역이 있나여...융도 프로이트만큼은 아니지만...
    프로이트에서 한 발 나아간 ..라캉도 그렇고

  • 3.
    '13.5.12 7:22 PM (182.215.xxx.19)

    증명이 불가능하니 수준이하 취급을 받는 모앙이에요
    근데 전 갈수록 끌립디다

  • 4. ...
    '13.5.12 7:24 PM (121.160.xxx.45)

    스타노비치의 책 '심리학의 오해'라는 책을 보면 왜 프로이트 이론이 과학이 아닌지 잘 설명해 줍니다. 실제로 지난 십년간 미국의 주요 심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보면 정신분석학을 다룬 것은 다섯 손가락안에 든대요.

  • 5. dd
    '13.5.12 7:36 PM (125.179.xxx.138)

    프로이트는 애초에 '인정'을 받고 말고의 대상이 아니예요.
    심리학의 창시자인데..;;;;;;;;;

    프로이트의 가설로서 굉장히 많은 인간들의 행동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100프로 설명할 순 없고 그 안에서 끊임없는 논쟁이있지요.

    심리학또한 학문의 영역이니 다를것 없습니다.
    끊임없이 보강되고 대체되고. 뭐 그렇죠.

    하지만 이런건 있습니다 1960년대 한창 미국유럽등에서 정신분석이 유행했다가
    지금은 많이 주춤한 상태이지요.
    대신 요샌 영성? 뭐 이런게 뜬다는..
    조만간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겠죠.

  • 6. +++
    '13.5.12 7:54 PM (121.155.xxx.82)

    프로이트학회나 융학회는 존재하고 일부 정신과 의사들도 회원으로 가입이 되어 있어요.

    그리고 심리학의 창시자는 빌헬름 분트라는 학자입니다.
    분트 이전에는 심리학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고 철학에 포함이 되어있었는데 심리학이 철학에서 떨어져 나온거죠.

    프로이트나 융이 사이비 취급을 받는건 인간의 마음에 대한 그들의 설명방식이 비과학적이기 때문입니다.
    무의식은 뇌가 덜발달하고 논리력이 떨어지는 유아기 아이들이 외부상황이나 정보를 즉흥적으로
    학습하면서 불안정하게 뇌에 저장이 되다가 그게 성인이 되어서도 유년기의 기억들이 이따금씩 튀어나오는데
    프로이트나 융은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게 아니라 형이상학적으로 설명을 하는겁니다.
    프로이트나 융의 설명방식은 순전히 자의적입니다.
    특히 융의 설명은 형이상학적 설명을 초월해서 종교적이기까지 해요.
    융의 동시성개념도 완전히 공상과학 수준입니다.

  • 7. +++
    '13.5.12 8:14 PM (121.155.xxx.82)

    그리고 프로이트의 무의식도 비과학적이지만 융의 집단 무의식은 완전히 과학과 정반대의 주장입니다.
    프로이트나 융의 사상은 심리학에서는 사실상 사장된 학설입니다.
    프로이트와 융학설은 현대심리학이나 신경과학등의 뇌과학과 공통점이 없어요.
    대신에 문학이나 예술 종교에서는 여전히 인기가 많습니다.

  • 8. .
    '13.5.12 9:02 PM (193.83.xxx.77)

    프로이드가 유태인이니까 그나마 아직까지 근근이 맥락이 이어오고 있는거죠. 이 사람 많이 틀린 가설을 내세웠어요. 프로이드 자체가 약빨고 글 쓰던 사람인데요.
    정신분석은 뇌과학을 모를때나 그런갑다로 취급되었던거지, 요즘은 그냥 설입니다.

  • 9. 편견
    '13.5.12 10:04 PM (67.87.xxx.133)

    무의식을 다룬 심리학인데 물리학이랑 접점있습니다. 영혼의심리학이죠. 의식심리학에서 보는 거대한 편견입니다.
    인간의 정신을 과학이 '아직' 탐구하지 못한것뿐이죠.

  • 10. ..
    '13.5.12 10:20 PM (203.226.xxx.92)

    사이비과학의 피난처가 양자물리학인데 양자물리학은 무의식이나 정신과 아무 상관없습니다.

  • 11. ...
    '13.5.12 11:01 PM (211.32.xxx.239)

    명상이나 뉴에이지 과학하는 사람들이 인간의 정신이 물리학과 접점이 있다고 주장하긴 하죠.

  • 12. ㅊㅊ
    '13.5.13 5:33 AM (125.181.xxx.204) - 삭제된댓글

    이미 죽어 증명 안돼는 남이 해놓은 없적 가지고 이러니 저러니 전세계의 학자인 지들도 철학하고 심리하며 그들거 가지고 공부헤 박사되고 교수 됐으면서 원 그리 잘났으면 융. 프로이트 뛰어넘는 실력이나 되던가...
    그시절 그때에 그만큼의 실력과 생각....지금도 못뛰어 넘는 주제들이 ...남거 비판과 비아냥들은 잘해요. 그리 할일 없음 지들도 융. 프로이트
    처럼 과학적 시대에 그들 뛰어넘는 연구하여 발표나 하던가.

  • 13. 이름도
    '13.5.13 5:38 AM (125.181.xxx.204) - 삭제된댓글

    융. 프로이드 참 잘지었어요. 중학생만 되도 교과서에 저 두이름 실리기 시작해서 전세계 어디서든 꼭 짚고 넘어가는 사람들이잖아요.

  • 14. mn
    '13.5.13 8:41 AM (59.31.xxx.37)

    프로이트(융도 마찬가지 일테고..)는 경제/정치학에서 칼 막스 같은 위치입니다.
    유명하기는 유명한데 그냥 이름 값밖에 없는거죠.
    그나마 막스는 정치분야니까 좀 상황이 이해가 되지만 심리학이론은 과학적으로 설명해야하는데
    프로이트와 융은 이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수준미달의 설명을 한겁니다.
    프로이트는 막스처럼 지금도 연구하는 학자들은 많을겁니다만 이들이 정치, 역사, 예술, 문학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연구할 가치가 있는거지.
    현대심리학자들이 프로이트나 융보다 실력이 못하다는건 대단한 착각이죠.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이 가당키나 한가요?
    정작 자신의 전공분야학계에서는 찬밥신세입니다.

  • 15. mn
    '13.5.13 8:50 AM (59.31.xxx.37)

    프로이트와 융이 인간의 마음에 대해 밝혀낸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상상력이 기발하기는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요?
    비과학적인데..

    그리고 현대심리학은 프로이트와 융을 뛰어넘는 연구를 진행하고 발표한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인간의 마음에 대한 수많은 미스테리와 수수께끼가 풀렸죠.
    이 미스테리와 수수께끼를 푸는데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은 아무런 역활도 하지 못했고
    심리학과 뇌과학이 발전할수록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점점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8782 청담어학원 내신수업 어떤가요? 12 부탁 2013/06/04 3,856
258781 (대구)위치좋은 재건축노후아파트, 새로 분양받는 새아파트??? 5 어느게 맞는.. 2013/06/04 2,010
258780 데톨 주방세제 너무 건조하네요 ㅠ 12 ㅇㅇ 2013/06/04 1,211
258779 밀가루와 튀김가루 구분 방법이 있나요? 4 가루 2013/06/04 1,024
258778 ‘창조경제’ 관련 10번 말할 때 ‘경제민주화’ 1번 말했다 2 세우실 2013/06/04 435
258777 올리브영에서도 로드샵처럼 이벤트 자주 하나요?? 2 바이오오일 2013/06/04 1,002
258776 1박2일로 여행가고 싶어요~~~ 여행 2013/06/04 488
258775 10원 짜리 동전도 이뻐합시다... 5 손전등 2013/06/04 767
258774 얇은 수건 어디서 살수있나요? 6 삶기편하게 2013/06/04 2,427
258773 조현오, 진술 또 번복.."'차명계좌, 찌라시 보고 알.. 14 샬랄라 2013/06/04 1,412
258772 초3아이들,, 학교에서 수영 수업하는거 관련하여.....아시.. 2 궁금해서 2013/06/04 935
258771 이(치아)가 빠지려고 하는데요. 5 30대 2013/06/04 937
258770 급>>숯불갈비 해먹는 화로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요?.. 8 급해요 2013/06/04 918
258769 (방사능)일 정부 한국 청년들 초청 뭐하나 했더니.. 방사능 청.. 3 녹색 2013/06/04 1,024
258768 6인용 식기세척기 설치하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3 식기세척기 2013/06/04 13,461
258767 삐용이(고양이)에 대하여~. 22 삐용엄마 2013/06/04 1,967
258766 요즘 농수산물 시장가면 호박고구마 10키로에 2 ,,, 2013/06/04 1,428
258765 무슨 뭐 남자는 한 여자랑 오래하면 질린다는 말이요 4 웃기고있네 2013/06/04 2,660
258764 정상어학원 중학교과정(에이스) 보내시는 분들 만족하시나요? 1 흠.. 2013/06/04 4,658
258763 아끼고 아끼다? 로맨스가 필요해 2012 보고 펑펑 울고 있어요.. 9 꾸지뽕나무 2013/06/04 1,966
258762 '甲'의 횡포 어디까지..이번엔 대형마트 '생각하는 의자' 논란.. 3 세우실 2013/06/04 995
258761 직장맘 블로그 있을까요? 5 직딩 2013/06/04 1,692
258760 혹시 기형아검사해보신분.. 3 .. 2013/06/04 1,157
258759 여긴 이단 김밥집, 절대 가지말라"..한 교회의.. 5 호박덩쿨 2013/06/04 1,828
258758 제가 잘 못가르치겠어서...어린 선생님 붙이는거 어떨까요? 5 7세 남아 2013/06/04 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