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어공부가 끝이 없는 이유

singlist 조회수 : 2,938
작성일 : 2013-05-04 14:49:45

영어는 한자라고 생각해야 마음이 편합니다.

 

저는 10년 넘게 영어로 글쓰는 직종에서 일하고 있는데

 

정말 끝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단어가 너무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한자와 비슷합니다.

 

양키들도 보면 어휘력 수준에 차이가 큽니다.

 

어릴 적 폭넓은 어휘를 경험하며 클수록 더 어휘가 풍부하죠.

 

단어를 다양하게 구사할수록 훨씬 인정받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영어에 비해 어휘가 부족하지요.

 

그래서 학문이 영미권이 더 발달해있기도 하지요. 더 정확하게 문제를 규명할 수 있으니까.

 

우리나라도 대체로 발달한 학문은 거의 다 서양권에서 배워온 거죠. 걔들 언어로.

 

중국이 무서운 이유는 어휘가 많다는 점입니다.

 

그런 점에서 중국이 앞으로도 상당히 상승할 수 있으리라 보고요.

IP : 121.160.xxx.2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퐝당
    '13.5.4 3:37 PM (123.109.xxx.220)

    한국어의 어휘가 부족하다구요? 정 반대아닌가요? 푸르딩딩의 영어식 표현은 뭔가요? 한자표현은요? 푸르죽죽은요? 시퍼런은요? 푸르스름은요? 글쓰는 일하신다면서요. 발달한 학문이 서양에서 배워온거라니 참나. 중국어휘가 얼마나 많은지 모르겠지만 그거 전 중국인중에서 얼마나 알고 사용하나요?

  • 2.
    '13.5.4 3:41 PM (220.93.xxx.123)

    근데 정말 우리나라 어휘가 영어에 비해 부족한 것이 맞나요?

    어떤 근거로 말씀하시는건지 궁금해요.원글님이 바이링구얼이라서
    경험적으로 느끼신건지 그러한 언어연구결과가 있는건지요.

    학문적 어휘라면 어휘로 학문을 세운다고 보지는 않기 때문에(철학제외)
    학문을 먼저 세우지 못하는 문제라고 생각하거든요. 이미 헤게모니가 그쪽에
    넘어갔으니 많은 것을 그쪽에서 검증받아야하는 불리함도 많구요.

    언어가 끝이 없는 것은 맞는데 영어나 중국어가 더 끝이 없을거라는 생각은
    좀 많이 나가신것 같아요. 고급한국어의 세계로 들어가면 한국인들도 그 끝없음을
    느낄테구요. 당장 kbs 우리말 겨루기인가 지나가다봐도 너무 모르는 한국말이
    많아 깜짝 놀랄때가 많거든요. 저런 말까지 어찌 알고 사는지 궁금하기까지 하더라는...

  • 3.
    '13.5.4 4:04 PM (220.93.xxx.123)

    평소 원글님의 영어에 관한 글 공감하며 잘 봐서 이 글이 좀 의아하네요.

    아마 원글님은 실력자라 영어로 더 잘 써내야한다는 고뇌에서 이런 글을 쓰신것 같네요.

    원글님의 "끝"은 일반 사람들(잘 못하는 사람부터~ 영어 어느 정도 한다는 사람까지)의 "끝"과

    다른것 같기도 하구요.

  • 4.
    '13.5.4 4:09 PM (118.130.xxx.236)

    우리나라에 형용표현어가 좀 더 당양하게 존재한다는 것은 맞지만, 영어는 단어가 정말 엄청나게 계속 생겨난다고 보심 됩니다. 우리나라는 그렇게 새로운 단어가 계속 늘어나지는 않잖아요. 근데 영어는 다음 해가 되면 전자사전 업그레이드 안 하면 안 될 정도로 그렇게 신생어가 많아집니다. 저도 그래서 쓰던 단어, 익숙한 표현만으로 외국인들과 얘기해요. 더이상은 제 영어 실력 업그레이드를 포기했달까? 영어 꽤 잘 하는데도 그럽니다. 제가 아는 영문과 교수님은 그것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라고 하세요. 영문과 교순데 그 단어도 몰라? 이런 소리 들을까봐 여전히 자기는 단어 공부 하신다고요. 한국어와 비교 이전에 영어 단어가 무궁무진 늘어나는 것은 정말 맞는 말입니다.

  • 5. singlist
    '13.5.4 5:31 PM (121.160.xxx.2)

    우리 말에도 미세한 차이를 나타내는 표현이 많지요. 그런데 영어에 비하면 모자랍니다. 일단 실생활에 사용되는 표현이 별로 없어요. 그리고 그러한 미세한 표현도 영어에 그에 상응하는 단어가 많지요. 푸르죽죽, 시러펀, 영어에도 다 있어요. 아니, 영어에는 더 많아요. 그런데 정작 중요한 건 이런 형용사가 아니예요. 명사와 동사죠. 한 문명이 발달하는 데는 명사와 동사가 중요해요. 가장 객관적이고 명쾌하게 문제를 인식시켜 주는 데 필요한 품사거든요.

    우리나라에 어휘가 많다는 건 형용사가 많다는 거지요. 그리고 일반적인 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사와 동사도 거의 한자입니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글에도 한자가 얼마나 많이 들어가는지 보세요. 한국이나 일본은 결국 한자권에서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너무나 오랜 시간을 그리 살아왔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 한자 교육 예찬론자입니다. 어차피 피할 수 없는 현실 당당히 받아들여서 우리 식으로 받아들여 활용하자는 거지요. 일본도 그렇게 하고 있고요. 그런데 영어는 형용사뿐 아니라 가장 중요한 명사와 동사에서 엄청나게 어휘가 많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영어는 진화하고 있어요.

    오해하지 마시길. 저 우리나라 문학책 엄청 많이 삽니다. 시도 가끔 쓰고, 나중에는 소설도 쓰고 싶을 만큼 우리말 사랑해요. 근데 영어도 나름 대단한 깜냥을 갖고 있는 언어입니다. 민족주의적인 감성으로 접근하면 그게 보이지 않고요. 우리나라를 사랑해야 하지만 취약한 건 취약하다고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6. singlist
    '13.5.4 5:42 PM (121.160.xxx.2)

    rm님: 너무 무거운 매체보다는 좀더 가벼운 매체를 활용하시는 게 어떨까요. 제일 좋은 건 전 소설이나 동화라고 생각합니다. 청소년 소설도 좋고요. 거기서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뜻이 찾아보세요. 그리고 단어가 들어있는 문장 전체를 다시 써보시는 것도 좋지만 그 이후 단어장을 만들어서 그 문장 자체를 단어장에 적어보세요. 단어장이라고 해서 단어와 뜻만 적지 마시고요. 오히려 뜻은 안 적으시는 게 좋습니다. 그냥 그 단어가 들어가있는 문장을 적으시고 단어에 밑줄 죽 그으세요. 이렇게 외우면 내가 재미있어 하는 이야기와 함께 외우는 거기 때문에 연상효과가 대단합니다. 그 문장을 보면 이야기의 흐름이 떠올려지고 그 흐름과 문장 속에서 단어의 뜻이 떠오르기 때문에 두뇌에 단단히 고정이 됩니다. 그 단어가 다른 여러 뜻이 있더라도 그건 무시하세요. 딱 그 문장 속, 이야기 속에서의 뜻만 기억하셔도 충분합니다.

  • 7. singlist
    '13.5.4 6:03 PM (121.160.xxx.2)

    참 영어에 어휘가 많다는 주장에 확정적인 근거가 될 수는 없으나 Oxford English Dictionary가 적어도 150만개 단어로 단일 언어 사전으로는 가장 많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확장되고 있지요. 어휘는 많지만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나라에서는 사전도 발달하지 않았으므로 이게 확정적일 수 없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 사전에 비해서는 분명 많지 않나 싶습니다.

  • 8. 그렇군요
    '13.5.4 7:15 PM (112.171.xxx.67)

    좋은 글 고맙습니다.

  • 9. 우리나라 사람들잏
    '13.5.4 9:49 PM (175.125.xxx.131)

    보통 잘못 생각하는 것
    1.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고 가을 하늘이 높다 - 할 말이 없네요.
    2. 미묘한 의성어 의태어, 색 표현 어휘가 많다

    영어를 깊이 공부햐보면 상용어휘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 실감할거예요. 한국어는 어휘가 확실히 적어요.

  • 10. sunny
    '13.5.4 11:10 PM (5.151.xxx.28)

    참고하겠습니다. 감사드려요^^

  • 11. ,,,,
    '13.5.5 1:40 AM (14.47.xxx.55)

    저장합니다

  • 12. 나무
    '13.5.5 2:06 AM (14.33.xxx.26)

    왜 그런 걸까요?

    그 이유가 넘 궁금해요
    흥미롭구요

  • 13. 콜콜맘
    '13.5.5 12:38 PM (65.188.xxx.29)

    영어 단어가 많다는 것, SAT 시험보면 알 수 있죠. 미국 아이들도 그 단어 다 못외우고 시험장에 가요. 물론 소수의 아이들은 따로 공부안하고 될만큼 앞서있기도 하죠. 근데 생각해 보면 한국국어시험에는 무지막지한 단어리스트가 없어요. 이런말 한국사람들 들으면 괜히 부정하곤 합니다.

  • 14. ebay
    '13.8.26 4:42 AM (76.99.xxx.241)

    좋은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8281 불어잘하시는분 이거 무슨뜻인지좀 ^_^ 6 윈터메리쥐 2013/05/27 1,415
258280 커피 전문점 시작 한지 3년이 다 되갑니다 86 바다네집 2013/05/27 24,832
258279 차 대접 안해놓고 신경쓰여서요 4 이기적인가 2013/05/27 1,178
258278 2만원대 선물 뭐가 좋을까요.. 4 선인장 2013/05/27 4,651
258277 부동산매매계약불이행 2 여름비 2013/05/27 2,554
258276 밥냉동, 락앤락 실리쿡 다 실패.다른방법없을까요? 21 .... 2013/05/27 7,068
258275 못생긴사람이 좋은인상갖는거 가능할까요? 12 호감 2013/05/27 2,731
258274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 대하여 6 .... 2013/05/27 3,229
258273 짬뽕이랑 볶음 짬뽕중에 뭐 시킬까요? 11 ㅅㅅ 2013/05/27 1,343
258272 윤길자 청부살해사건,김현철 장모 청부살해사건 4 꿀벌나무 2013/05/27 4,696
258271 이번엔 울산에서 불산누출사고 2 불산사고 2013/05/27 990
258270 헌가구 회수해가는곳 없나요? 3 가나 2013/05/27 2,047
258269 무정도시 시사회 당첨되서 정경호 보고 왔어요ㅋㅋ 바람부는12.. 2013/05/27 934
258268 라면 한그릇만 먹었으면... 8 .... 2013/05/27 1,793
258267 블루베리 쨈 만들기 실패했어요. 3 ㅜㅜ 2013/05/27 9,147
258266 성적표를 안 봤어야 했는데... 6 고1엄마 2013/05/27 2,818
258265 방문교사 맨발. 긴급제안. 33 ........ 2013/05/27 3,868
258264 함초가 그리 좋은가요? 1 함초라? 2013/05/27 1,436
258263 오디가 엄청 열렷는데 효소맹글때 씻어야 하나요? 3 겨울 2013/05/27 1,771
258262 전세*월세 복비는... 2 복비 2013/05/27 1,182
258261 한번이라도 입었던 옷은 드라이해서 넣으시나요? 1 ^**^ 2013/05/27 1,095
258260 백화점카드/ 신용카드 포함 자르신분 계셔요? 2 초코라떼 2013/05/27 869
258259 주택화장실 난방 어떤게 좋을까요? 1 주택화장실 2013/05/27 7,328
258258 우리나라도 태형이 있었으면 하네요 8 ... 2013/05/27 1,082
258257 손안잡고 다니는 3살 활발한 남아 도와주세요 8 육아 2013/05/27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