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책 안읽고 작가 몰라도 잘만 산다는 사람..

걱정이다 걱정 조회수 : 3,271
작성일 : 2013-04-22 16:21:08

스물 넘은 우리집 애들만 해도 어렸을 땐 손에 쥐어주는 대로 읽었고 독후감도 열심히 쓰고 휴일이면 서점 가서 책 읽는 걸 놀이 삼아 즐거워했어요.

십대 되면서 제 친구들하고 놀기 시작하고 십대 중반에 컴퓨터 배우고 싸이월드 하고, 후반에 페이스북하고 스마트폰을 손에 쥐면서부터는 아예 활자와는 이별이네요.사실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서는 저도 그렇구요.

도서관에 가봐도 공부하는 학습실은 따로 있는데도 열람실에도 온통 교재 펴고 공부하는 학생들 아니면 정기간행물 보러 오는 아저씨들 할아버지들이 대부분이예요.

중고등학교 때도 어쩔 수 없이 읽어야 하는 책만 간신히 그것도 단행본이 아닌 다이제스트 형식의 <교과서에 나오는 소설>이나 참고서 문제집으로 읽고 때우니 문학작품을 제대로 읽을 때에나 가능한 깨알같은 재미나 우리말의 제맛을 느낄 수가 없지요.

그런 책 안 읽어도 취직 잘 하고 돈 잘벌고 행복하게 잘 살고 있다는 어느 젊은 처자의 글을 보니 머리를 한대 맞은 기분입니다.사라지는 동네책방,사라지는 독서인구처럼 문학작품 속에서나 면면히 이어지던 우리말도 사라질 테고 우리 사는 한켠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마는지 관심도 없는,그래도 잘만 산다는 사람들의 미래는 어찌될런지.

IP : 122.32.xxx.12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4.22 4:24 PM (221.162.xxx.59)

    저는 이공계라 그런지.. 문학작품 잘 읽히지도 않고 읽는게 힘들어요.. 물론 재미있지도 않구요..
    그렇다고 안 읽고도 잘 산다.. 라는 말은 좀 불편하네요..
    사람마다 취향이 다 다르니 그게 미래까지 걱정될 일인지 저는 모르겠네요..
    마음은 나도 책 좋아하는 사람이었으면 좋겠다라고 하지... 실용서 아닌 문학작품 읽은건 참 어렵네요..

  • 2. 저두 어려워요^^;;;
    '13.4.22 4:30 PM (122.32.xxx.129)

    어려서는 더 어려웠어요.그래서 세계문학전집 어쩌구 하는 건 거의 안 읽었어요.세로조판이나 작은 글씨에 적응이 안되더군요. 어른이 되고 나서 다시 잡으니 인쇄상태나 글씨도 좋아지고 저도 이런 저런 일을 겪은 뒤라 그런지 열몇살 시절보단 훨씬 수월하게 읽히더군요.
    이것저것 다 읽기 힘들면 그냥 세상에서 회자되는 책만이라도 읽어두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네이버 1위 검색어 클릭하듯이요 ㅎ

  • 3. ---
    '13.4.22 4:39 PM (188.99.xxx.203)

    사람마다 적성이 다른걸요. 강요할 순 없는 것 같은데요. 님은 수학 문제 푸는 거 좋아하시나요? 일상 생활하려면 산수를 잘해야 하는데 저는 수학적인 사고가 좀 부족해요. 공부도 잘했고 학벌도 좋은데 수학점수도 따지고 보면 받을만큼은 받았는데...어쨌든 셈도 좀 느리고...책읽고 작가 몰라도 산다는 말 틀린 말은 아니죠 뭐. 전 책 많이 읽고 작가 꾀고 있어도 살기 어려운 걸요.

  • 4. 아마
    '13.4.22 4:40 PM (220.126.xxx.152)

    워낙에 생활력이 강하고 친화력이 강한 사람일 거예요.
    사실 책에서 배우는 것 만큼이나 사람에게서도 배우잖아요.
    책읽은 사람을 주위에 두면 되는 거고.

  • 5. ㅡㅡㅡ
    '13.4.22 4:41 PM (58.148.xxx.84)

    왜 못살거라 생각하세요? 그게 미래까지 결부되는
    원글님 생각에 전 놀라네요
    정서적인 풍요가 책으로만 채워지는건 아니죠

  • 6. 가치관 나름이죠
    '13.4.22 4:42 PM (14.52.xxx.59)

    어쨌든 세끼 밥에 간식먹고 잘먹고 잘자면 되는게 맞긴 한데요
    뭐든 모르는것보단 아는게 좋고
    못하는것보다는 잘하는게 좋지 않나요?
    오프에서 익명으로 맞춤법이나 모르는 말 나왔을때 살짝 배워가면 쓸데없이 컴질한다는 느낌도 없고 좋겠구만...

  • 7. ...
    '13.4.22 4:56 PM (123.98.xxx.121)

    왠만큼 극악무도한 사건이 아니라면
    백프로까진 아니라도.. 조금씩이나마 "아 그럴수 있겠구나.." 로 변해 가더군요.
    여러 사건 사고? 를 겪으면서 내 자신이 깍이고 낮아지고 겸손해지는 경험도 하게되고요.

    이해안가는게 많으면 아무래도 세상을 보는 시각이 많이 날카롭달까요 뾰족하달까요. ^^;;
    어떻게 보면 이해안간단 그 자체가 철저히 나 자신만의 시선으로 타인을 판단하는 행동은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이거 원글님께 드리는 말씀이 아녜요 너무 오해 마셔요.. 걍 제 생각)

    그냥 이래도 흥 저래도 흥 하면서 둥글둥글한게 제일 좋은것 같아요.

  • 8. 안타까운 마음은
    '13.4.22 4:57 PM (175.214.xxx.38)

    알겠는데 사회가 변하고 있는데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기도 하죠.
    책 많이 읽으면 스스로 만족하는 거지, 안읽는 사람들 때문에 사회가 어찌 될 것까지 걱정하는 건 좀...

  • 9. ...
    '13.4.22 4:58 PM (222.117.xxx.4)

    편견을 가지고 계시는군요.. 책을 읽어야만 유식해지고 똑똑해지고 삶이 풍요로워지는게 아니죠.. 책을 읽지 않아도 보고 듣고 체험하는게 얼마나 많은데요.. 책에 책을 읽지 않아도 잘 살수 있다는 글이 있으면 좋겠네요..

  • 10. ...
    '13.4.22 5:07 PM (220.72.xxx.168)

    얼마전 박경철의 '문명의 배꼽, 그리스'를 읽는데, 이런 글귀가 있었어요.

    '코린토스의 영화가 순간의 불꽃으로 끝난데에는 깊이있는 문화가 없었던 점도 크게 작용하였을 터, 사치와 향락의 도시에 인간의 삶의 본질을 고민하는 철학자나 문인, 예술가가 등장할리 만무했다.'
    '먼저 정신이 죽고, 그 다음에 도시가 죽었다.'

    이 글귀가 무섭게 느껴졌었어요. 수천년전 코린토스가 현실에서 보이는 것 같아서요.

  • 11. 으으
    '13.4.22 5:24 PM (125.152.xxx.233)

    책을 읽는다는 것이 인생을 더 풍요하게 하긴 하지만
    책을 안보는 사람이라고 이러저러하다라고 편견을 가지고 판단할 필요도 없는듯.

    제 남자 조카도 책을 전혀 안보던데
    음, 너는 인생의 가장 큰 즐거움, 위안거리 하나를 안가졌구나 뭐 그렇게만 생각하지
    요사이는 워낙 정보와 타인의 생각들을 접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매체와 도구가 다양하니까요
    그냥 일종의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선택하는 선택의 문제인듯.
    꼭 책으로 접해야만 바람직하다고는 생각 안드네요.

  • 12. 도대체
    '13.4.22 6:29 PM (121.157.xxx.235)

    솔직히 소설책 읽어서 커다란 감명을 받은 적 별로 없어요.

    특히 우리나라 현대문학 작가들 소설 보면 (굳이 이름을 밝히지는 않을 게요.)
    신파조의 감성팔이 혹은 무라카미 하루키류의 허무주의로 양분화되더군요.

    어느 쪽도 내 마음의 성장에 딱히 도움되지는 않아요.

  • 13. //
    '13.4.22 7:05 PM (1.251.xxx.6)

    저 현직 중학교 국어 선생님이구요. 괜찮은 대학교 현대문학 석사까지 했습니다.
    그렇지만 조금을 읽어도 선별된 양질의 책 정독이 중요하지
    이래저래 오만책 다독은 필요없다고 생각해요.
    책을 읽는 것은 간접경험에 해당하는데
    책을 읽는 시간에 직접적으로 온몸으로 놀아보고, 사람을 만나보고, 음악을 듣고, 여행을 하고, 사랑을 하고
    그렇게 직접적으로 좋은 경험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직접 경험할 체력도 시간도 여건도 안되면 책을 읽는게 좋고요.
    책 이외에도 다큐멘터리 영화 만화 얼마나 즐길 거리들이 많나요.
    책만이 지고한 지식의 보고라고는 생각지 않아요.
    실제로 저는 책이라면 어릴때부터 다독 남에 뒤지지 않게 했지만
    어릴때 가난해서 집에 교과서 말고 그 흔한 소년소녀문학전집 한 권 없는 우리 남편이랑 이야기해보면
    우리 남편이 사상도 바르고, 경험도 풍부하고 표현력도 좋아요.
    제가 방구석에서 책만 읽던 시간에 남편은 들에서 친구들과 뛰놀고, 옆집 형 기타치는거 들으며 노래하고
    텔레비전 많이 보고, 신해철 락도 구해 듣고 클래식도 주워듣고 그래서 저보다 오히려 훨씬 아는게 많아요.
    그러니 문화적 경험도 이해도도 저보다 더 생생하고 깊어요.
    인생을 글로만 배우는건 키스를 글로 배우는것만큼이나 우스꽝스럽다고 여겨져요.

  • 14. 달리
    '13.4.22 7:17 PM (219.255.xxx.94)

    문화적 베이스가 척박하고, 그 척박함에 가속도가 붙는 게 아니죠. 문화는 사람이 만드는 거니까요.
    요즘 우리나라는 배금주의로 대동단결 하는 추세잖아요. 인문학은 이미 사망선고 받았고(정식 단행본인데 고작 700부 찍는다는 소리에 기함한 게 벌써 오래전이네요. 아, 소설책들은 이보단 사정이 낫다고 들었습니다)
    도대체 책이 밥을 먹여주냐 돈을 주냐? 그 따위 것 안읽어도 잘만 먹고 산다! 딱 이거죠. 하긴 틀린 말은 아니지요, 먹고 사는 데에 독서가 꼭 필요한 건 아닙니다.

    덧붙이자면, 그렇다고 자라나는 아이들이 생생하고 풍부한 육체적-정서적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는 환경도 아니죠. 배금주의와 결합한 무한경쟁주의 때문에 사회 구성원 대다수가 그럴 여력을 상실한 게 사실 아닌가요?

  • 15. ...
    '13.4.22 8:28 PM (1.242.xxx.178)

    그래도 책만큼 편하고 좋은 친구는 없는 듯

  • 16. --
    '13.4.22 8:36 PM (188.99.xxx.203)

    책읽지 않는다해서 정신이 죽는 건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1726 역사학자 전우용 최근트윗 4 전우용 2013/05/15 1,454
251725 靑, 대통령 해외수행단에 공직기강팀 참여 의무화 6 세우실 2013/05/15 608
251724 스승의날 빈손으로 간 울애 6 속상해요 2013/05/15 3,284
251723 꽃 보냈는데 괜히 보냈군요. 3 헉ㅠ 2013/05/15 2,815
251722 이사해야 하는 데... 서울 지리를 몰라요.. 8 이사.. 2013/05/15 713
251721 매실 사이즈랑 상관없죠? 1 매실엑기스 2013/05/15 725
251720 추천인쓸때 아이허브질문.. 2013/05/15 188
251719 스승의 날 없어졌으면 좋겠어요. 15 학부모 2013/05/15 3,032
251718 '종북' 지칭과 관련된 판결 릴레이~~ 5 깨소금 2013/05/15 697
251717 아기가 손을 탔나봐요.ㅜㅜ 2 ... 2013/05/15 708
251716 집에서 브래지어 못하시는분들~~ 11 궁금 2013/05/15 3,732
251715 모순적인 언행하는 사람은 정말 싫네요..특히 육아 관련해서요 9 내참 2013/05/15 1,274
251714 한복디자인 1 의견좀 2013/05/15 616
251713 엄마들과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볼때 6 경험 2013/05/15 2,261
251712 주말농장 너무너무 재밌어요. 8 주말농장 2013/05/15 1,866
251711 너무 깔끔한 남편하구 사시는분들 계신가요? 11 깔끔한 2013/05/15 2,159
251710 다음은 왜 변모를 고소하지 않는가? 무명씨 2013/05/15 415
251709 김연아 선수 mbti 검사하면 무슨형일거 같아요? 5 2013/05/15 6,675
251708 남자가 대쉬를 안해요 13 헬프미 2013/05/15 5,769
251707 나인, 나에게는 3명의 선우가 있다로 결론 내렸어요. 4 007 2013/05/15 4,510
251706 마트 양념불고기 양념빼달라면 안되나요? 8 양념불고기 2013/05/15 1,119
251705 윤창중땜시 미국내 위안부 캠페인들이 힘을 잃는다고 하네요 5 참맛 2013/05/15 710
251704 회장엄마되고 보니... 답답하네요. 5 ... 2013/05/15 1,974
251703 초등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1위 김연아 11 귀요미 2013/05/15 1,401
251702 병원입니다..아후 떨리네요.. 6 .. 2013/05/15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