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삼국의 건국에 대해서 여쭤봐요..

.. 조회수 : 2,311
작성일 : 2013-03-29 18:29:44

아들이 5학년인데

선생님께서 삼국의 건국이 고구려 백제 신라 순이라고 했나봐요..

근데 아들은 신라 고구려 백제순이라고 하고요..

제가 연표를 찾아보니 아들말이 맞긴한데..

다른님들은 어떻게 알고 계시나요?

 

IP : 222.103.xxx.3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3.29 6:32 PM (122.35.xxx.66)

    건국 년도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신라, 고구려, 백제가 맞는데요..
    선생님 살짝 헷갈리신 듯 합니다.
    아이에게 직접 확인하라고 하세요.

  • 2. 저도 고백신요
    '13.3.29 6:33 PM (118.209.xxx.252)

    중국에서부터 문명이 건너왔고,
    중국에 가까운 곳부터 원시->고대 사회로 됐어요.
    (고대 사회가 왕이 생긴 것부터일 겁니다)

    중국에서 가장 가까운 고구려가 먼저,
    고구려에서 일부 떨어나온 사람들이 백제,
    가장 귀퉁이의 신라가 가장 늦었어요.
    몇백년이나 늦었죠 아마?

  • 3. ..
    '13.3.29 6:33 PM (210.117.xxx.183)

    음... 건국을 어떤 개념으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요.

    처음 생긴게 언제냐? 라고 한다면 아들이 알고 있는 순서가 맞아요 (삼국사기 기준)
    그러나 국가의 개념성립이란 관점에서 보면 선생님 말씀이 맞아요.

  • 4. 저도 고백신요
    '13.3.29 6:34 PM (118.209.xxx.252)

    신라가 먼저라는 건
    시기가 앞선 기록이 발견됐거나 그래서 그런 걸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태까지의 학설은 고백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5. ..
    '13.3.29 6:37 PM (210.117.xxx.183)

    참고로.. 고구려와 백제는 중국의 유민이 토착민과 관여하여 설립된 국가이지만, 신라는 그 흐름과 전혀 다른 국가입니다. 중국쪽에서 넘어온 유민의 유입과 관계없이 설립된 국가가 신라라네요. 근래에는 수로왕의 전설처럼 인도유민의 유입설이 받아들여지는 추세에요.

    신라에 유입된 사람들이 어디에서 왔던지 간에.. 대륙을 통하여 온 것이 아니라 바다를 통하여 해변에 상륙하였다.. 라고 보고 있습니다.

  • 6. ..
    '13.3.29 6:41 PM (210.117.xxx.183)

    삼국의 건국시기는...

    B.C 57년에 신라 건국
    B.C 37년에 고구려 건국
    B.C 18년에 백제 건국

    이고..

    국사시간에 열심히 배우고 시험에 나오는 질문은,
    고대국가의 기틀마련 (고구려->백제->신라)
    전성기(백제->고구려 -> 신라)

    입니다.

  • 7. 여기서 잠깐~
    '13.3.29 6:47 PM (118.209.xxx.252)

    중국은
    군소 국가들도 아니고
    최초의 통일 제국인 진나라 건국이 BC 220년입니다.

    당시 중-한의 격차는 거의 300~400년.
    엄청난 격차였죠.

  • 8. ㅎㅎ
    '13.3.29 6:48 PM (210.117.xxx.183)

    우리나라도 3국 이전에 고조선이 있었다는걸 감안하셔야죠 ^^

  • 9. .........
    '13.3.29 6:57 PM (122.35.xxx.66)

    신라 기원전 57년
    고구려 기원전 37년
    백제 기원전 18년
    이니 저대로면 신라, 고구려, 백제가 맞아요,

    그런데 연대기를 잘 살펴보니..
    우리가 신화시대라고 말하는 (주몽전설, 혁거세 전설 등등) 신화시대를 포함했군요.
    이 시기까지 포함하면 저 연도순이 맞으나.
    중앙집권하여 체계적으로 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구체적 시기로 들어가면 또 달라진답니다.

    선생님꼐 문의하라 해보세요.. ^^
    아이의 생각도 말하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근거도 듣고요.
    칭찬 받을 것 같은데.... ^^

  • 10. ..
    '13.3.29 7:09 PM (222.103.xxx.33)

    82에 여쭤보길 잘했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드려요..^^

  • 11. 음음
    '13.3.29 7:12 PM (121.167.xxx.103)

    신라가 먼저라고 한 사람이 삼국사기의 김부식입니다. 골수 신라파 김부식은 그리 믿고 싶었겠지요. 그 땅에 살았다라면 신라가 먼저겠으나 나라의 모양을 갖추었다하면 왕 중심의 중앙집권체제로 시작한 고구려가 먼저이지요.

  • 12. ㅎㅎ
    '13.3.29 9:07 PM (210.117.xxx.183)

    신라가 미운 심정은 잘 알겠는데요..

    우리나라 3국 시대의 역사는 삼국사기에 많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역사적사실을 적었다고 보고 있구요. 조금만 검색해봐도 건국은 신라가 맞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신화니 설화니 따지기 시작하면 고주몽도 만만치 않아요.

    우리나라 역사는 삼국이 맨처음이 아니며 적어도 우리는 그렇게 말해선 안됩니다.
    삼국이전에 부여가 있고 고조선이 있었어요. 신라가 신화시대 설화시대가 포함된 허상의 건국이라고 해 버리면 부여나 고조선은 아예 말도 못 꺼내는 겁니다.

    연표에 표기된 역사마저 부정하고 싶을 만큼 왜 그렇게도 경상도가 밉고 신라가 미우신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김씨의 대부분, 이씨의 절반은 신라출신이란건 아시는지 모르겠네요.. 또한 신화니 설화가 포함된 허상의 역사라 하는건 일본사학자들이 단골로 쓰는 말입니다.

    독도를 가졌던 나라도 신라요 지켰던 나라도 신라며.
    우리나라 역사중에서 일본에서 제일 두려워하고 미워하는 나라도 신라라는 것도 아셨으면 좋겠네요.

  • 13. 나나
    '13.3.29 9:13 PM (121.190.xxx.201)

    윗분 이상하심. 신라를 왜 미워하나요. 제발 그런 지역감정 조장하는 소리 좀 하지 마세요.
    역사를 역사로 봐야지 왜 현대인의 입장을 투영합니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7102 2시 30분 결혼식은 언제 밥 먹나요? 13 궁금 2013/04/25 15,191
247101 오토바이에 개를 매달고 달린 노인이랍니다 7 기막혀 2013/04/25 1,455
247100 목이나 기관지에 좋은 것들이 뭐가 있나요? 8 콜록콜록. 2013/04/25 1,640
247099 아파트관리비 카드결제수수료 안붙는카드 2 없나요? 2013/04/25 1,543
247098 은행빚 못갚아 압류당할시 1 압류에 대해.. 2013/04/25 1,181
247097 미래엔 교과서가 뉴라이트 출판사 아니었나요? 아시는 분 알려주세.. 8 궁금 2013/04/25 1,697
247096 내가 홀릭되어 본 드라마,, 1 코코넛향기 2013/04/25 1,534
247095 간만에 극장 나들이도 못하고...ㅠㅠ 1 회색사슴 2013/04/25 581
247094 출산방법 선택한다면 자연분만 VS 제왕절개 어떤거 하실거에요? 37 .. 2013/04/25 24,884
247093 이비인후과는 왜 비싸나요 4 감기 2013/04/25 1,227
247092 아이스 아메리카노 와 아이스티 중에 2 휴식 2013/04/25 905
247091 평소 식습관이 좋은 사람은 어떻게 살빼나요? 또는 가르니시아약의.. 15 궁금해요 2013/04/25 5,664
247090 20년전에 쓰던 커피메이커 사용해도 될까요? 5 메니 2013/04/25 1,450
247089 밥하기 싫을때 이렇게 해보세요 6 나만의 비법.. 2013/04/25 4,420
247088 하루종일 고민..ㅠㅠ 가죽할까요, 합피할까요? 22 고1엄마 2013/04/25 2,826
247087 4학년 딸아이 상담하고 왔는데 기분 좋네요 1 ... 2013/04/25 1,260
247086 치아 크라운... 금or 세라믹 ???? 4 추천좀 2013/04/25 2,254
247085 4학년 남아 피아노 진도 질문요 6 피아노 2013/04/25 1,576
247084 요즘 밥하기 싫어 미칠지경입니다 11 고단한 엄마.. 2013/04/25 5,229
247083 정부, 경제민주화 뱃머리 돌려 재계 달래기 1 양치기아짐 2013/04/25 476
247082 코스트코에서 산 양념들.. 2 궁금 2013/04/25 1,844
247081 일자목 완화를 위한, 초간단 목운동있네요 6 ........ 2013/04/25 2,970
247080 제가 예민한거겠죠? 9 2013/04/25 1,695
247079 내집있는 분들 대출 얼마나 남아있나요? 10 .... 2013/04/25 3,490
247078 이거 한번 보세요 피가 꺼꾸로 솟네요.. 6 ... 2013/04/25 3,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