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로 이사온 사람들이 서울과 시골에서 뼈저리게 비교되는 것 한가지.

리나인버스 조회수 : 1,810
작성일 : 2013-03-28 09:32:21

보통 별 생각없이 이사오고 나서 얘기하는것 한가지가 있습니다.

 

 

 

"도시가스 언제 들어와요?"

 

 

 

보통 도시가스 난방의 경우 많이 나와도 30 만원 정도면 30 평대 아파트 그런대로 살죠.

 

 

헌데 시골로 와서는 서울서 사는 방식대로 기름 보일러 돌리기 시작하면 뭐 기름값 월 60~70 만원 선이 나올수가 있죠.

 

 

요즘의 건축 추세는 "건축비가 많이 나와도 단열을 신경쓴다" 로 정의 됩니다.

 

단열재 비용 좀 들어도 기름값이나 가스비로 금방 뽑으니까요.에너지 절감 대책이 필요한거죠.도시가스는 참 많은 혜택을 보고 있는 겁니다.

 

 

거기에 아파트는 뭐 말할것도 없구요.

 

아래층 옆집에서 올라오는 열기도 만만치 않거든요.

 

헌데 대부분 단독주택인 시골지역에서는 대부분 단열이나 개념없이 건축한 주택이 많다보니 난방비가 상당히 부담스럽게 되죠.

 

저도 심야전기 보일러 입니다만 정말 따뜻하게 살려고 하면 월 50 만원 정도는 들이 부어야 25 도 정도 유지가 가능한 수준이니 말입니다.

 

결국 해결책은 안쓰는 방 다 끄고 꼭 쓰는 방만 사용하는 방식을 적용할수 밖에는 없죠.

 

 

시골로 이사왔는데 단독주책이고 슬라브 주택이라면 수리할때 꼭 슬라브에 지붕을 얻으시는 것이 좋습니다.지붕도 그냥

모양새 지붕은 별로고 조립식 판낼로 올리시면 겨울철에는 난방비 여름철에는 냉방비를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요즘은 벽돌 주택보다는 alc 주택이 휠씬 좋기는 합니다만 아직 alc 제대로 건축하는대를 못봐서 걱정이기는 합니다 좋은 소재인데 기피하는 이유가 경험과 기술의 부족 때문이니까요.

 

예전 벽돌 주택 올리는 방식을 그대로 진행하다 보니 하자가 좀 발생하는 편이죠.

 

 

서울처럼 밀집된 곳과 시골 처럼 여기 저가 산발적으로 주택이 존재하는 경우 난방비는 더더욱 증가합니다.바람이 그대로 들이 치니까요.

 

시골로 이사해서 주택 수리를 할 요령이라면 꼭 단열공사에 우선 순위를 두시기를 권해 봅니다.

 

 

IP : 121.164.xxx.227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리나인버스
    '13.3.28 12:24 PM (121.164.xxx.227)

    예 봄소식 조만간 올려 드리겠습니다.

    alc 가 단열이나 기타는 짱이죠.

  • 2. 비온
    '13.3.28 4:39 PM (39.113.xxx.174)

    좋은 글 올려 주셔서 감사 드려요
    주택으로 이사 가고 싶어서 관심이 많아요

  • 3. 리나인버스
    '13.3.28 4:58 PM (121.164.xxx.227)

    비온님 별 말씀을요~

  • 4. 홍홍홍
    '13.3.29 6:55 AM (183.109.xxx.35)

    귀농한 제 이웃이 흙마대 (?)집을 지었어요. 것두 그집 남편이 손수. 물론 품앗이로 도와주시는 분들하고
    벽 둨께가 50센치라던가. 패시브 하우스의일종이죠 아마도.
    난방하지 않아도 집안에 냉기가 없대요 겨울에 몇일 집 비우고 들어와도 차지가 않다네요.

  • 5. 리나인버스
    '13.3.30 5:03 AM (121.164.xxx.227)

    어떤 자재던 벽 두께만 두껍게 하면 괜찮아요.

    그리고 흙은 워낙에 공간 사이 사이에 공기 층이 많아서 두껍께만 하면 단열이 됩니다.


    우리가 땅에 수도 파이프 묻을때 보통 1 미터 깊이로만 묻으면 안 얼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47381 시판 수프 뭐가 맛있나요?? 2 수프 2013/04/26 1,358
247380 초등학교다니는 애들생일도 케익이랑 간식 보내시나요? 3 초등1학년 2013/04/26 1,344
247379 일부러 나 엿먹으라고 그런건 아니겠지만 남편한테 너무 야속해서... 너무해남편 2013/04/26 1,014
247378 헤나염색 할때요 8 .... 2013/04/26 2,513
247377 에버랜드 로스트벨리 다녀오신분~ 1 게으름뱅이 2013/04/26 3,423
247376 설렁탕에 고기좀 봐주세요(사진있음) 5 .. 2013/04/26 2,017
247375 황수경 아나운서도 자기관리를 잘하는것 같아요 9 2013/04/26 5,503
247374 잠깐 쉬는시간 추리소설을 읽고 있네요 ㅎㅎ 레몬차 2013/04/26 753
247373 오뚜기 주식 사신 분들 있으신가요? 4월 이전에.. 1 /// 2013/04/26 1,995
247372 결혼식을 가는데 어떤 옷을 입는게 이쁘고 날씨에 맞을까요? 5월말경 2013/04/26 912
247371 임신중인데 고모가 돌아가셨단 연락을 받았어요. 31 ... 2013/04/26 3,625
247370 싱크대 거름망관리 어떻게하세요? 5 어렵다 2013/04/26 1,581
247369 그많은 열무를 다듬고보니..... 너무 억세요, 이를 우째..... 5 날죽여 2013/04/26 1,535
247368 삐용이(고양이)는 지금... 9 삐용엄마 2013/04/26 1,214
247367 여러분의 서명이 꼭 필요합니다 ㅠㅠㅠㅠ 2 노라제인 2013/04/26 753
247366 몇일전 별이별이님 막걸리 술빵 질문이요 1 프랑프랑 2013/04/26 726
247365 삭히지 않은 생간자미가 많이 생겼어요 2 어쩌나~ 2013/04/26 717
247364 날씨 왜 이래요.... 4 우박 2013/04/26 1,714
247363 불 끄다 다치면 벌점?…소방공무원들 '뿔났다' 2 세우실 2013/04/26 909
247362 그늘막 모기장 텐트 사려는데요 크기 조언 좀 2 아들엄마 2013/04/26 1,219
247361 어제 쑥떡 담날 쉬나요? 4 날날 2013/04/26 1,686
247360 급질) 강남 고속터미널역에서 일반 택배 보낼수있는곳 하시는분 2 감사합니다 2013/04/26 768
247359 암막커튼이 더위에도 효과적일까요? 2 ... 2013/04/26 3,573
247358 가구 사는거 좀 참을까요? 지름신 2013/04/26 1,049
247357 세 과시하는 이웃엄마로 아이 놀이터데리고 나가는게 스트레스네요... 13 7세남자 2013/04/26 4,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