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 교황을 보면서 새삼 아르헨티나가 흥미롭다는 생각..

이태리 조회수 : 2,551
작성일 : 2013-03-15 22:37:26
이번에 새 교황 선출에 대한 기사들을 보면 유럽계라고 하던데 그렇게 따지면
미국의 백인들도 유럽계이고 브라질은 포르투갈 유럽계, 그리고 남미인의 대다수는 스페인 유럽계들이죠.
그런데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도 좀 독특함을 갖고 있는 것 같아요.
남미 국가들 대부분이 스페인계인 것과 달리 아르헨티나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이태리계라죠.
교황도 이태리계이고요.
그리고 나머지가 스페인계라고 하니까 아르헨티나는 스페인과 이태리 사람들이 반반씩 섞여서 살고
있는 흥미로운 나라네요.
축구의 메시, 테니스의 사바티니, 농구의 지노빌리 등이 이태리계 선수들이죠.
쿠오레를 보면 마르코가 이태리에서 아르헨티나로 엄마를 찾으러 가는 이야기도 나오고요.
이태리인들이 유독 아르헨티나로만 이민을 갔었나 봐요.
암튼 자기들은 백인들의 국가라고 생각한다며 브라질을 비롯한 다른 남미 국가들을
낮춰서 본다고 하니.. 참...
IP : 175.198.xxx.129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3.15 10:48 PM (112.152.xxx.174)

    아르헨티나는 백인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나라 입니다..또 지금은 별로지만 한때 세계에서 몇위 안에 드는 잘사는 선진국이었고요.. 영국사람들이 지금은 많이 뒤쳐졌어도 그때의 그 자부심으로 사는 것처럼 아르헨티나도 비슷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 2. 잠잠
    '13.3.15 11:00 PM (118.176.xxx.128)

    그렇죠. 스페인이 식민지로 개발하여 스페인어를 쓰는 국가이지만, 20세기 초반에 꽤 잘 살던 나라라서 상대적으로 못살던 이태리 사람들이 많이 이민가서 이태리계 백인이 가장 많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로 영국의 식민지였지만 독일계 백인이 가장 많습니다.

  • 3. 이태리
    '13.3.15 11:07 PM (175.198.xxx.129)

    잠잠님 맞아요. 제가 미국에서 대학을 나왔는데 그때 그런 얘기 들었어요.
    19세기 유럽에 대기근이 왔을 때 수십만명의 독일 농부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왔는데
    그들이 퍼지면서 지금 미국의 혈통 중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독일계라고요.
    어느 정도냐 하면 1차 세계 대전 때 미군 중에 독일계가 너무 많아서 정신교육까지 시켰다네요.
    너희들의 적은 너희들 조상이 아니라고..ㅎㅎ
    그리고 19세기 때는 미국의 국어를 영어로 할 지 독일어로 할 지를 놓고 논의를 하다 결국
    영어로 결정하였다는 것도 들었네요.

  • 4. 잠잠
    '13.3.15 11:15 PM (118.176.xxx.128)

    이태리//네, 한때 독일어를 국어로 하는것을 고려했다고 하더군요. 2차대전때 히틀러와 싸우던 연합국 사령관이던 아이젠하워도 독일계지요. 당시 대통령이던 루즈벨트가 미국의 육,해,공군 사령관이 전부 독일계라 좀 못 미더워했다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 5. 유럽계가
    '13.3.15 11:29 PM (99.226.xxx.5)

    남아메리카로 가서 세력을구축했죠. 아르헨티나의 경우 상대적으로 남미에서 가장 유럽계가 많아
    남미의 유럽이라 불리웁니다. 군부독재 그리고 3만명 이상의 민간인들이 정치범으로 죽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더 무시무시했죠. 이 깊은 암흑시대에 현교황이 아르헨티나의 예수회 대표였구요.
    이 부분에 있어서....비판적인 사람들이 많죠.
    어쨌든....교황은 철도노동자로 이태리에서 이민해서 현교황을 아르헨티나에서 낳았고, 이 부분이
    1200년만에 비유럽계가 교황이 되었다는 이슈가 될 수 있었던 놀라운 역사의 한 사건이 되었던겁니다.
    아르헨티나 영화들이 꽤 괜찮은 것들이 있는데 다시 찾아볼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6. mm
    '13.3.15 11:34 PM (1.247.xxx.78)

    엄마찾아삼만리에서 엄마가 취직하러 간곳이ㅡ아르헨티나죠

  • 7. 그 많던
    '13.3.16 12:04 AM (121.139.xxx.94)

    원주민들은 어디로 가고....
    식민지 역사는 슬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1866 두타 스노피 2013/03/16 414
231865 빌보 나이프가 예쁜건가요? 16 그릇 2013/03/16 6,839
231864 요즘 베란다에서 빨래 잘 마르나요?? 9 .... 2013/03/16 2,118
231863 자전거 무서워 못타는 중딩남자아이 26 방법있나요?.. 2013/03/16 1,935
231862 노루궁뎅이 버섯 3 시장에서 2013/03/16 2,005
231861 조카 선물 뭐가 좋을까요? 2 컹컹컹 2013/03/16 591
231860 여자들을 회사에서 안뽑는 이유 45 .. 2013/03/16 16,276
231859 소재와 바느질이 좋은 온라인 쇼핑몰은 어디일까요? 52 봄날 2013/03/16 8,404
231858 아빠와 아들의 긴 설전 끝에.. 5 허락이란 2013/03/16 1,365
231857 245사이즈 운동화는 안예쁘네요 4 운동화 2013/03/16 1,839
231856 약쑥차 3개월 복용후기 12 ㅅㅅ 2013/03/16 29,234
231855 여자가 남자 유혹하는 방법 8 .. 2013/03/16 8,464
231854 춘몽님 시위에 침묵하는 새누리..왜?? 2 green 2013/03/16 614
231853 무인양품(muji) 신혼가구로 어떨까요? 총 예산은? 8 ... 2013/03/16 7,418
231852 토요일은 우체국 몇시까지 하나요? 4 . 2013/03/16 1,220
231851 요즘은 허벅지가 안붙어야 예쁜몸매라고 하나요? 19 ,,, 2013/03/16 8,531
231850 우는애를 따귀때려버리는 엄마를 봤네요 43 ㅡㅡ 2013/03/16 13,080
231849 나이 똑같은데 모르고 언니라고 불렀어요 15 ㅏㅏ 2013/03/16 2,462
231848 코스트코 양재에 6인용 식탁 들어왔나요? 1 식탁 2013/03/16 2,284
231847 물크러진 묵은 김치 뭐 넣고 지질까요? 6 .. 2013/03/16 1,003
231846 선생님도 놀란 초등과학뒤집기.. 4 과학책 2013/03/16 2,312
231845 급질문! 꽃게 몇 분 익혀야 하나요?! 4 포로리2 2013/03/16 1,920
231844 선식 어떤가요. 4 굶는 여자 2013/03/16 1,193
231843 예술의전당에서 인천시청가는 정류장 알려주세요~ 1 노선 2013/03/16 726
231842 천연팩 효과 좋대요. 팩 하고 나면 폼클렌징 세안을 또 해야 하.. 3 2013/03/16 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