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난방비 절약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난방을 안하는거였네요.ㅠㅜㅠㅜ

아흑... 조회수 : 4,390
작성일 : 2013-03-07 02:10:47
이집으로 이사온지 만 두달 되었답니다.
5층건물의 5층인데 (일반주택이에요 빌라 아니고 주상복합 건물)
실평수 26평...전세금이 싯가보다 싸게 나오고 집도 환하고 맘에 들어 계약했어요.
꼭대기층이라 겨울에 춥고, 여름엔 더울거 어느정도 각오는 하고 이사왔지만,
첫달 가스비고지서 받아보고 기겁을 했네요.
26만원이 떡하니 청구됐더라구요.
그렇다고 무슨 찜질방처럼 뜨겁게 살고 이돈 나왔다면 억울하지나 않았겠어요.
평수넓어서 가스비 많이 나올까봐 조심스럽게 틀었고 목욕도 목욕탕 가서 하고
집에선 머리나 감고 ..이정도 였거든요.

집주인한테 얘기해서 집은 너무 추운데 가스비가 이만큼 나왔다고 보일러한번 봐달라고 했더니
기사분이 와서 보일러 보더니 보일러가  평수에 비해 작은거고 설치한지 12년쯤된거라 노후됐다고 해서
평수에 맞는 새보일러 설치해주시고
인터넷에서 뽁뽁이 주문해서 온집안을 뽁뽁이로 베란다부터 각 창문이란 창문은 
이중창임에도 꼼꼼히 붙였어요.
창문틈새도 테이프로 막고요..
그리고 2~3인용 전기장판 하나 사서 잠잘때 가끔 사용했고요..

다음달 가스비가 무지무지 기대되더라구요.
새보일러도 놨겠다.전기장판도 써줬고..뽁뽁이도 붙였겠다.

2월한달간의 가스비가 너무너무 궁금해서 아직 청구되지는 않았는데
가스회사에 전화해서 물어봤어요.
그런데 
헉헉헉 28만9천원이 떡하니 청구되있더라구요.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 고민고민 해가며
저의 난방사용방식을 되짚어봤어요.

처음 한달은 아침저녁에만 한번씩 보일러를 돌리거나
아니면 밤에만 잠깐 돌리거나 이러식으로 했었는데
지인이 식었던 실내를 다시  뎁히는데 가스가 더 많이 드니
하루종일 실내온도로 설정해놓고 
그 온도를 유지하는게 가스비 덜나온다 하길래
실내온도 18~20으로 맞추어놓고 한달을 지냈었었죠.
외출할때도 외출로 안해놓고 그대로 놓고 외출했고요..
급탕비 많이 나올까봐 여전히 샤워는 못하고 목욕탕 이용했구요...
그래도 마음껏 따듯하지 못해서 전기장판도 사용했어요.

그랬더니 전기요금은 6만5천원이 나왔고,
가스비는 28만 9천원이 나온거에요.

도시가스홈페이지에 이런얘기를 써서 문의를 했더니
높은사람이 직접 전화가 왔더라구요.
새보일러 설치했다니까,
용량이 크면 그만큼 가스를 더 쓰게 되있고,
아침 저녁으로 트는게 좋고,
쓰지않는방 분배기 잠가놓는거 가스비 절약에 도움되냐니까 전혀 아니라고 답변주시네요.

결국 많이 써서 많이 나온거였어요.
위층이 옥상인것도 이유가 있었구요.

이집에서 오래 살려고 했는데요...
몇년살면  전기 가스요금모아 집한칸도 장만하게 생겼기에
오래살기 무서워지네요.



IP : 180.182.xxx.14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너를
    '13.3.7 2:15 AM (1.177.xxx.33)

    그 마음 알겠어요
    제가 생각할때는요.
    늘 난방 약하게 하고 사냐.또는 한두시간 하느냐 이건 크게 차이가 없다고 봐요
    저도 추운집 살아봐서 알지만 차이가 없어요
    그냥 안떼면 적게 나오고 조금이라도 틀면 나오는데요.
    한시간을넘기면 일단 많이 나오더라구요.
    두시간 매일매일 떼보면요 가스비 일단 십만원 넘게 나와요
    십만원 미만이신분들의 노하우 고대로 해도 달라지는게 없더라구요.
    에어컨은 82에 소개된대로 제습기능 사용하니 정말 적게나오던데요
    가스비는 너무너무 이상해요
    솔직히 가스공사가 제일 못미더워요

  • 2. 저도
    '13.3.7 10:52 AM (112.156.xxx.31)

    위의 댓글 메주콩 님의 질문에 답변이 궁금해집니다

  • 3. //
    '13.3.7 12:22 PM (175.249.xxx.76)

    안 쓰는 방 잠궜는데.....열어야 하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2552 이마트에서 파는 양장피 아세요? 혹시 그 겨자소스 만드는법 아시.. 7 초보주부 2013/03/18 2,526
232551 둘째낳고보니 큰아이가 안쓰럽네요 8 두아이엄마 2013/03/18 2,027
232550 반신욕의 부작용이 뭘까요? 10 세아이맘 2013/03/18 20,119
232549 박근혜 정부의 ‘역사전쟁’이 시작됐다 1 세우실 2013/03/18 784
232548 남편 셔츠 목둘레만 헤진 거 수선 되나요? 6 남방 2013/03/18 2,398
232547 남편양복 오래된거 버리세요? 7 집정리 2013/03/18 2,507
232546 히아신스 대~박이네요^^ 2 봄향기~ 2013/03/18 2,246
232545 특정사이트음악만 안나올때 해결방법있을까요?? akrh 2013/03/18 311
232544 팀장이라는데..이 선생님 왜이러는건가요? 이런경우가 흔한가요? 5 학습지 흔한.. 2013/03/18 1,134
232543 자동차보험 해마다 비교하고 가입하세요? 5 궁금 2013/03/18 1,141
232542 시집살이 시킨 시어머니가 오히려 역공(?) 당하네요. 4 며느리들의 .. 2013/03/18 4,092
232541 간단한 영어 질문입니다 3 no lon.. 2013/03/18 459
232540 흙침대 슈퍼싱글과 더블 크기차이와 기획(가죽과 극세사)알려주세요.. 2 흙침대 2013/03/18 3,285
232539 인터넷+TV+(전화) 추천 부탁요. 3 인터넷? 2013/03/18 855
232538 이사할 집 도배는 언제 해야 할까요? 6 도배 2013/03/18 1,532
232537 '일베'가 평점 1점 준 <지슬>, 관객 1만명 돌.. 2 4.3 2013/03/18 986
232536 좌욕이나 좌훈, 하시는 분들 안계세요? 9 부작용? 2013/03/18 6,811
232535 딸아이 스마트폰 3 스무살 2013/03/18 839
232534 안방 화장실에서 샤워하고 샤워실 물기 어떻게 하세요 . 9 샤워 2013/03/18 2,864
232533 검은콩 믿고 살만한데 없을까요?? 4 toto 2013/03/18 987
232532 미국갈 아이는 어떤 영어학원을..? 3 .... 2013/03/18 829
232531 40대 주부님들~! 시댁에 안부전화 얼마나 자주하세요? 18 며느리 2013/03/18 3,933
232530 been 발음이 '벤'이래요. 10 이거 아세요.. 2013/03/18 3,651
232529 너무와 매우.. 헷갈라시나요?바로쓰는건 좋지만 어젠 좀 심했다싶.. 5 어제 연아경.. 2013/03/18 1,687
232528 가장 맛있는 비빔밥.. 4 2013/03/18 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