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인 1악기 문제, 토요일 국악 공연을 보고

... 조회수 : 794
작성일 : 2013-02-27 14:15:19

요며칠 게시판에서 1인 1악기 이야기로 논의가 활발하네요.

저도 어릴 때부터 어머니가 억지로 피아노 학원을 다니게 해서,

오 년 이상은 피아노를 친 것 같아요.

하지만 지금은 그냥 악보보고 더듬거릴 정도로 많이 잊어버렸지요.

그렇다고 뭐 피아노 학습을 바탕으로 다른 악기를 쉽게 배웠다거나

음악에 취미를 갖게 되었다거나 그런 것도 아니랍니다.

 

저는 오히려 소리 자체를 소음으로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

책을 읽거나 일을 하면서 음악을 들을 수 없는 편이에요.

따로 시간을 내어서 음악만 감상하거나 하지도 않구요.

대신 눈으로 보는 것에는 굉장히 예민하고 관찰력도 남다른 편이구요,

제 전공도 눈이 중요한 분야입니다.

물론 미술학원도 수년간 다니긴 했지만 아마 그 때문은 아닐거에요.

피아노보다 더 재미가 없었어요.

 

그래도 만약 제가 아이를 낳는다면 악기와 미술과 운동 하나 이상씩은 다 접하게 해줄 거에요.

일단, 아이가 어떤 쪽에 재능이 있는지 알 수 없으니 적성을 알아보도록 하기위해서에요.

또 적성이 아니더라도 아이는 그냥 그런 것이 세상에 있구나, 하고 알고있다가

언젠가 또 여건이 달라지거나 관심이 생길 때 더 발전시켜 볼 수도 있을거에요.

 

그 중 하나에 단순한 취미 이상으로 푹 빠지게 된다면 그것도 또 좋은 일일거구요.

지난 주말에 전시회에 다녀왔어요.

사진이 전공인 분이 국악에 관심을 갖게 되어 사재를 털어넣고 국악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어요.

국악이 어느날 벼락처럼 그 분한테 찾아왔을 때,

그걸 알아들을 수 있고 또 그 가치를 확신해서 여력을 다 쏟아부어 노력할 수 있었던 건

그 사람이 그 전에 엄청난 양의 다른 음악을 들어온 내공이 있었기 때문일거에요.

이미 길러진 안목과 그에 대한 자기 확신이요.

요즘 간송미술관의 전시가 날로 인기를 더하던데,

간송같은분도 우리 미술의 가치에 대한 확신이 있었으니

집안의 재산을 아낌없이 투자할 수 있었을거에요.

 

가치는 누가 정해주는 게 아닌 것 같아요.

자기 뿌리나 취향에 대한 확신은 결국 스스로의 내면에서 나오는 거에요.

성격이나 성장환경, 가족 배경도 중요하겠고 또 경험을 통한 발전도 내면의 형성에 도움이 될거에요.

접해보지 않고 알 수는 없잖아요.

IP : 147.46.xxx.91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2.27 3:13 PM (58.148.xxx.103)

    그래서 사교육..
    음악, 미술, 운동, 과학, 수학....
    예능, 체능, 각종 체험활동이 끊임없이 요구되는거겠죠.
    여유만 있다면 다 시키면 좋겠지요
    피아노, 플룻, 바이올린, 기타.. 재능이 어딨는지 다 해봐야 하니까요

  • 2. ㅇㅇㅇ
    '13.2.27 4:03 PM (117.111.xxx.7)

    저같은 사람이 요즘태어났음 진짜 이것저것 배우기넘 좋았을거예요~전 어릴적 피아노한개가 다였는데
    요즘 음악은 악기가 정말 많잖아요...우리아들은 절안닮아 관심이 없어 아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208 노부모님댁에 보내드릴 밀키트 추천 좀 해주세요 17:02:17 23
1603207 내가 동물농장을 끊다니.. 1 .... 16:58:32 264
1603206 선글라스에 도수넣는 비용 얼마정도 하나요? 3 00 16:56:06 109
1603205 집에서 공부하는둥 마는둥 하는 아이 보기 싫어서 1 ........ 16:53:14 202
1603204 입술라인 지방종 지방종 16:42:51 136
1603203 85인치 tv 해외직구로 사신 분 있나요? 1 티비 16:32:53 265
1603202 회사 광고카톡 차단 해 놨는데도 와요 2 카톡광고 16:30:42 109
1603201 김창옥 강사 기억력 감퇴 영양제 광고 찍었네요 11 .. 16:27:52 1,447
1603200 중국응원단이 한국에서 뭘 했나 보세요 3 ... 16:27:33 733
1603199 쓰레기 백과사전 010 16:25:47 122
1603198 주변에 수학교수들이나 교사들은 9 16:25:23 742
1603197 요양보호사. 물어봅니다. 2 Jbj 16:24:45 342
1603196 당근에서 비누냄새 1 ... 16:20:57 412
1603195 임예진이 윤유선 시어머니로 나오네요 3 주말드라마 16:19:16 1,354
1603194 금요일에 있었던 일... 13 @~@ 16:14:34 1,478
1603193 수박껍데기는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6 질문 16:12:57 1,267
1603192 특정 질병 유전이요 789 16:07:27 323
1603191 주가조작이 대법원까지 무죄로 갔다는게 더 소름 3 동그라미 16:07:13 793
1603190 조의금 질문이요 12 16:06:17 578
1603189 포항불륜 비슷한데 재혼해서 잘먹고 잘살고 10 기억은잊혀지.. 16:05:46 1,467
1603188 윤석열은 지금 어디에 ?/펌 6 이렇다는데요.. 16:03:57 955
1603187 이번 정부 국가 장학금마저 1/7 로 줄었다네요 8 16:03:39 876
1603186 발아픈 분들 여름엔 어떤 신발 신으세요? 5 ..! 16:02:19 703
1603185 어떻게 일제 시대 나라가 넘어간건가요 7 seg 15:55:50 608
1603184 방송계 요즘 무슨 일 있나요??? 13 ㅇㅇ 15:53:08 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