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가구 공동주택에 사니 이런불편한점이 있네요

내집사자 조회수 : 5,636
작성일 : 2013-01-30 17:30:22
집주인이 살고있는 5층건물에 이번에 이사와서 세들어 사는데요..
수도세를 공동으로 받더라구요.
계량기가 하나라고...
사람수대로 나눠서 내는데 
저희 그동안 평균 수도요금 2만5천원씩 냈었는데
주말부부라 3인이거든요.(남편까지 4인가족일때도 한여름에도 많이나와와 3만원대 평소엔 2만 5천원씩 냈었는데 이번에 주말부부가 됐어요)
인수대로 나누니 인당 8천원 해서 2만 4천원 내라고 하네요.
남편이 곧 발령나서 같이 살것 같은데
그렇담 앞으로는 3만2천원씩 내야하는거네요...
3층은 유치원 다니는 아이들 세명이라 한겨울에도 목욕을 집에서 시켜서 가스비도 많이 나오는데 집인데
우리집은 겨울엔 추워서 집에서 목욕안하고 대중목욕탕 가거든요.
결국 그집에서 쓰는 물세까지 부담해야 하는 꼴이 된거죠.
그리고 수도요금도 누진세 있지 않나요?
계량기 하나다보니 누진세가 적용되서 더 나온것 같아요.

그리고 매달 청소비로 1만원씩 내래는데
한달에 한번 청소하러오는 아줌마가 있는데 그돈받고 적다고 안올려고 하는데
사정해서 시키는거라나요?
늘 계단은 지저분한데 매달 청소비 1만원주기 아깝더군요

더구나 정화조 청소하게 되면 이 비용도 따로 받아가시겠죠?

전에 살던 빌라는 
다세대라 한달 관리비 1만원씩 내긴했었는데 이돈에서 
정화조와 청소비 다 해결했고 매주 월요일 청소해주고 왁스칠까지 해줘서 반질반질하고 깨끗했었거든요.

그런데 새로이사온 이집 
매월 한번 청소에 늘 계단 드러운데 매월 1만원씩 청소비 줘야 하고
정화조청소비 따로줘야 하고 
수도요금 인수대로 놔눠서 줘야 하고
이런부분이 참 별로네요.
돈 몇푼에 인심사납게 왜 그러냐고 하실지 모르지만,
얼마가 됐더라도 납득이 간다면 충분히 낼텐데 
 고지서도 보여주지 않고 인수대로 계산했다하고  한달에 한번 청소하니
자기집앞은 가끔 대걸래질 하라하고
얼렁뚱땅 요금받아가는게 뭔가 손해보는 느낌 들어 참 별로네요.

하루빨리 내집장만하고 싶네요.

IP : 180.182.xxx.22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3.1.30 5:34 PM (58.225.xxx.147)

    수도세.. 그리 내요..
    얼른 이사 가려구요..

    전 일주일에 한번 세탁기 돌리고 주말부부라 주중에는 밥도 안해먹고..
    씻는것도 샤워도 많이 안해요.. 혼자 살만 1만원도 안나오는데...

  • 2. 어차피
    '13.1.30 5:36 PM (210.97.xxx.14)

    3층도 추운데 집에서 목욕시키는 것이고 원글님은 그게 싫어서 대중탕에 가시잖아요.

    다가구는 가구 개개로 계량기가 있지 않고 통으로 있어서 보통 1/n으로 내곤 해요.

    그런데 어차피 원글님 남편이 오면 이번에 낸 금액에서 그만큼 오르는게 아니고 다시 총 금액에서 머릿수만큼 나누겠죠.
    수도요금은 누진세 없는 걸로 알고 있고요.

    고지서를 보여주고 안보여주고는 아마 집주인 재량인데 서로 믿는 분위기가 되서 그달의 총 금액 나온 것을 적고 거기서 머릿수로 나눠서 내는 것 같더군요.
    (이 근처 다가구를 쭈욱 봐도요)

    관리비 1만원은 우리 동네에 비하면 크게 비싼 것 같지는 않아요. 우리 동네는 2만원이거든요.

    보통 1주일에 한두번씩 복도청소 하고요.(이웃집을 보니 업체에서 갖가지 장비를 들고 오더군요)
    한달에 한번 청소한다면 참 지저분하긴 할 것 같아요.

  • 3. ...
    '13.1.30 5:42 PM (218.236.xxx.183)

    다가구면 수도도 전기처럼 여러명이 살고 있다는거 증명하고 신청하면 누진 안됩니다.
    집주인이 모르고 있음 가르쳐드리시구요.
    수도료가 한달치면 너무 많이내는겁니다.
    단독은 두달에 한번 고지될텐데요....

  • 4. 청소를
    '13.1.30 5:44 PM (180.182.xxx.222)

    여기 이사온지 한달반됐는데 한번도 계단청소하는걸 보지를 못했어요.
    제가 전업이라 늘 집에 있거든요.
    아마도 집주인이 동네 지인한테 청소부탁해서 시키는것 같아요.
    그냥 좋은게 좋은거라고 몇만원 받고 청소좀 해줘라 시킨것 같고 그 아줌마가 작지만 그돈으로 해주마 한것 같은데 전문청소업체에 시키면 한달에 네번해주고 왁스칠도 해줘서 깨끗한데 그냥 집주인아줌마가 정으로 시킨것 같네요. 그런데 세입자 입장에선 같은돈 내고 깨끗하게 살고싶죠. 한달에 한번은 너무 했다 싶어요.

  • 5. 청소를
    '13.1.30 5:46 PM (180.182.xxx.222)

    더구나 매달 청소비 만원 내면서 대걸래질 하라는 소리 들으니...청소비 내고 대걸래질은 왜 해야 하나란 생각도 들고요..

  • 6. 마니또
    '13.1.30 5:47 PM (122.37.xxx.51)

    당연하죠
    이상하면 이이 제기할수있죠
    저도 주인거주하는 다세대 사는데요
    거의 가게에 있다시피하고 추워서 당연히 물을 거의 안쓰게되요
    출퇴근용으로만 쓰던 총각이 있어
    그나마 만오천내외에요..총각은 더 억울하겠다싶어 전 암말안해요 하지만 속은 쓰리죠
    다세대은 거의다 2만넘어요
    그런데요
    청소는 입주자들이 같이 해도 되지않나요
    날 정해서 하면??

  • 7. ....
    '13.1.30 5:50 PM (123.199.xxx.86)

    4대강 때문인지 수도세가 많이 올랐더군요..
    우리도 4인은 4만원 정도 내네요..

  • 8.
    '13.1.30 6:01 PM (112.155.xxx.23)

    이 내용 저번에도 봤어요. 저도 다가구살아요. 청소비 2만원인데 청소하는 것은 한 번도 못 봣어요, 그래도 늘 깨끗하긴 해요. 눈오면 눈은 주인이 엄청 치워요. 원룸도 보통 청소비 2-3만원 받아요. 그렇게 지나치게 할 것 까지는 없다고 생각되요. 저도 아파트에서만 오래 살다 이사왔지만 아파트에 비해 나가는 돈이 적어 생활이 넉넉해졌어요. 가스 난방비 15만원 물값 2만원 청소비 2만원 전기요금.이렇게만 내면 되니 아파트 관리비 보다는 적게 나가던데요.
    --그리고 수도요금은 두 달에 한 번 냅니다.

  • 9. 호님
    '13.1.30 6:02 PM (180.182.xxx.222)

    저는 처음 올리는거에요.

  • 10. 마니또
    '13.1.30 6:04 PM (122.37.xxx.51)

    수도세야 나만 내는것도 아니니 어쩔수없어도
    청소업체도 아니고
    개인이 하는거라면
    입주자가 하는쪽으로 함 의논해보세요
    저희 주택은 지하포함 4층인데 주인아저씨가 하시면 사람들이 나와서 하는편입니다
    며칠전 공지해주니 거의 다 참여하죠..빠지는사람도 있지만
    어려서 살던주택은 층마다 청소팻말 걸어넣고 일주일 청소하고 옆으로 또 청소후 옆으로
    이렇게 했었어요

  • 11. ...
    '13.1.30 6:25 PM (218.236.xxx.183)

    에구님은 주인이 수도료 가지고 돈버네요 ㅠㅠ

  • 12. ..
    '13.1.30 8:34 PM (182.218.xxx.187)

    근데 수도세가 예전보다 많이 올랐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9021 뇌수술 비용 혹시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희망나리 2013/02/16 17,766
219020 페이팔로 물건 살 때 유의점같은거 있나요? 1 @.@ 2013/02/16 697
219019 영어 두개 병행하는거 별로겠죠.. 2 정리하자 2013/02/16 1,097
219018 층간소음, 결국 오늘 터졌습니다. 36 솔직한찌질이.. 2013/02/16 21,770
219017 보육교사자격증.. 실습 대학 찾는게 어렵나요? 플리즈..| 4 보육교사 2013/02/16 2,412
219016 분을 그치고 노를 버리라, 행악에 치우칠 뿐이라. 2013/02/16 706
219015 국민이 바꿀수 있는 힘을 가졌음에도....바꾸지 못하고 있죠. .. 2 전우용 트윗.. 2013/02/16 761
219014 산후조리 중 좋은 요리 추천 부탁 드려요. 5 메뉴 2013/02/16 1,064
219013 돼지고기에서 나는 냄새 7 수수엄마 2013/02/16 16,964
219012 서영이. 가방 6 ........ 2013/02/16 3,566
219011 갈비탕을 처음 해볼려고 합니다. 그런데... 7 갈비 2013/02/16 1,561
219010 1,2인용 티팟이랑 찻잔을 사고싶은데요 이거 어떨까요? 3 동글이 2013/02/16 1,707
219009 초등아이 처음 펌 하는데 그냥 일반으로 하는게 제일 순한거죠? 2 5학년 2013/02/16 718
219008 저도 부조질문좀..고민되네요. 5 2013/02/16 1,013
219007 아침 6시 30분쯤 신분당선 4 .. 2013/02/16 1,446
219006 윗집이 너무 뛰어요.. 14 ... 2013/02/16 2,646
219005 매운거먹은 날 다음날은 꼼짝도 못해요ㅠㅠ 6 ... 2013/02/16 2,252
219004 제사지낸 후 먹을거 정리할 때요. 59 조동 2013/02/16 8,438
219003 식초나 구연산으로 가습기나 과일 씻을때 어떻게 해야.. 1 식초소독 2013/02/16 1,329
219002 밖에서 목소리 큰 인간들. 1 2013/02/16 805
219001 나이들어 영양가 없는 머리는 무슨 파마? 나이가드니 2013/02/16 994
219000 제사때 쓰고 남은 건대추 17 마님 2013/02/16 2,866
218999 은행에 입사하려면 어떻게 들어가나요? 9 라인 2013/02/16 2,696
218998 이사 들어 가기 하루전 전입신고해도 될까요? 3 전입신고 2013/02/16 2,544
218997 디지털 도어락 터치식 번호식 어떤게 좋아요? 1 .... 2013/02/16 2,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