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난방비 폭탄 ㅠ.ㅠ

알려주세요 조회수 : 23,382
작성일 : 2013-01-25 20:56:34

새로 이사온 아파트관리비에서 난방비가 너무 많이 나왔어요

전에 살던 집은 물론 위 아래 양옆집이 있어서 그런지 별로 춥지 않아서 아끼고 아껴서 난방비만 4~5만원정도 나왔는데

이사 오고 이번 달에 난방비만 24만원이 나왔어요

물론 아파트가 다르니까 뭔가 다르긴 다르겠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조금 궁금한 것이 있어서요

지난달엔 (그러니까 11월 사용 요금엔) 저희 친정 부모님이 오셔서 2주일 계셨다 가셨거든요.  부모님 추우실까봐 보일러를 30도로 맞춰놓구 팍팍 돌렸는데 13만원 정도 나왔구요

이번달엔 21~22도로 맞춰놓구 잘때 켰다가 아침에 끄고(보일러가 꺼지면 빨간 램프가 꺼져요  살짝 돌리면 꺼지는데...)  저녁에 추우면 잠깐씩 켜 놓구 ...  이런식으로 했는데 어떻게 이번달 난방비요금이  2배 가까이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저희는 지역난방이에요

난방비 절약하는 법 알려주세요

그러니까 보일러 트는법을 알려주세요

1,낮은 온도로 돌려 놓았다가 추우면 높은 온도로 확~ 돌려놨다가 또 끌때는 다시 낮은 온도로 꺼 놔야하는지...

2,아니면 일정 온도를 맞춰놓고 혼자 꺼졌다 켜졌다 하게 놔둬야 하는지...

아시는분은 알려 주세요~~~

 

IP : 211.226.xxx.72
4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5 9:05 PM (218.236.xxx.183)

    지역난방은 난방수 온도가 뜨뜻 미지근이라 껐다 켰다 하면 오히려 더 많이 나올거예요.
    그냥 21도 정도 맞춰놓고 끄지 마세요.
    남향이면 그 온도 맞춰놓으면 낮엔 안돌아갑니다..

  • 2.
    '13.1.25 9:10 PM (125.180.xxx.131)

    청소리돌릴때 환기시킬겸 창문열어놓는데요 한십분정도 그때도 끄지않나요??그때는 온도내려가서 계속 보일러돌아갈텐데요..

  • 3. ㅇㅇ
    '13.1.25 9:13 PM (116.33.xxx.148)

    지역난방 동남향 아파트 37평
    집안전체 주방까지 하루 종일 틉니다
    이번달 난방비 16만원 나왔네요
    각각 온도조절기 끝까지 틀어놓고
    난방배관에 달린 각방 나비벨브 끝까지 다 틀고
    메인벨브를 조금만 열어놨어요.
    북향의 방, 확장한 방은 좀 썰렁하구요
    실내온도는 모두 20~21도 유지되더라구요

  • 4. 싱그러운바람
    '13.1.25 9:15 PM (121.139.xxx.178)

    전문가가 티비에 나와서 그러던데
    영하 5도에서 20도 난방온도 맞추는거하고
    영하 15도에서 20도 맞추는건 다르다네요

    온도가 더 낮아지면 같은 온도가 되기위해서
    더 많이 가동이 되어야 한다구요

    그래서 난방이 많이 돌아가서 요금이 나온다고
    날씨가 추워지면 설정온도를 내려야 한대요 (추운데 그게 가능한건지)

    요금 폭탄 맞은 이유가 외부 온도에 관계없이
    같은 집안 온도를 유지해야 하니 보일러가 쉴새없이 돌아가서래요

  • 5. 온도계
    '13.1.25 9:17 PM (211.207.xxx.180)

    숫자가 집마다 다른건지..지역난방인데 22도로 해놓으면 밤에도 안돌아가고 추워요.
    23도쯤은 해놔야 좀 돌아가고 밤에는 춥지 않을 정도고..낮에는 햇빛때문에 난방 안돌고
    있어도 22도쯤으로 춥진 않고 그러네요.아직 관리비 안나왔는데 많이 나올까 걱정이에요.

  • 6. . . .
    '13.1.25 9:20 PM (175.252.xxx.249)

    25평인데 중앙난방이에요.
    20만원 나왔네요.
    온수비 빼고 ㅠㅠ

  • 7. 지역난방
    '13.1.25 9:23 PM (175.211.xxx.38)

    오늘 12월분 관리비 나왔는데요.

    새아파트 34평이고,지역난방..23도로 계속 두었고 83,220원 나왔어요.

    지난번에 출근할때,외출로 돌리고 퇴근후에 온도를 올렸더니 계속 20도 이하로 맴돌아서 문의했더니

    보일러 담당 직원들이 방문하셔서 일정온도로 계속 두는게 요금이 덜 나온다고 하시더군요.

    전기요금 55,170원,공동난방비 29070원..등등 총 330,720원 나왔네요.

    작년보다 10만원이상 더 나왔는데,여기 서울이고 작년 10월에 입주한 새아파트인데

    기본적으로 관리비가 많이 나오네요.

  • 8. 포코
    '13.1.25 9:23 PM (115.136.xxx.24)

    유량계방식인지 열량계방식인지 알아보세요.
    방식에 따라 절약하는 법도 달라요..
    관리실에 물어보시는 게 젤 빠르죠..

  • 9. 그냥
    '13.1.25 9:25 PM (222.237.xxx.134)

    지역난방이고 34 평인데 14 만원 나왔어요, 보통 온도는 24~25 도구요.
    저흰 거실 난방은 전혀 틀지 않고 잠굽니다, 각기 방 세 개의 난방만 틀구요.
    근데 거실도 하나도 안 춥습니다.

    난방은 보통 해떨어진후 6~7 시 사이에 틀기 시작해서 아침 6~7 시 사이에 끄네요.
    제일중요한건 거실 난방을 틀지 않는다는 것이죠. 방만 틀어도 집안이 다 따뜻해져요.

    참고로 추운 경기도구요, 전체 관리비가 29 만원 정도 나왔구요, 작년보다 6-7 만원 적게 나왔어요.

  • 10. 주택
    '13.1.25 9:27 PM (119.203.xxx.147)

    심야전기
    75만원 나왔습니다.
    게다가 추웠습니다.

  • 11. ㅇㅇ
    '13.1.25 9:28 PM (116.33.xxx.148)

    온도조절기 설정온도랑 온도계로 잰 실내온도랑은 차이가 있어요

  • 12. ..
    '13.1.25 9:30 PM (180.67.xxx.247)

    저도 추웠는데도 15만원...집은 코딱지마난 26평 아파트

  • 13. ...
    '13.1.25 9:32 PM (211.207.xxx.195)

    위에 싱그러운바람님 얘기가 맞아요. 그래서 저희집은 우풍이 세서 장시간 비울때는 외출로 계속 두는것보다 껐다 켜는게 난방비 덜 나와요. 한파때 아니면 껐다가 켜요. 난방은 각 집마다 상황이 다 다르니까 각자 다르게 운용하셔야지싶어요.

  • 14. 저희는
    '13.1.25 9:37 PM (125.186.xxx.63)

    올해 난방비 무서워서 첨으로 낮에는 한번도 안틀고, 밤에도 두시간에서 두시간삼십분정도 틀어놓고 꺼놓고 잤는데도 8만5천원 나왔어요.
    그러니까 하루에 두시간 정도밖에 안틀고도 이렇게 나왔어요.
    확실히 난방비가 오른것 같더라고요.
    저희는 아파트가 단열이 잘되어있어 난방안해도 괜찮아서.ㅠ

  • 15. 저희는
    '13.1.25 9:44 PM (125.186.xxx.63)

    저희 십만원 안되는데 도시가스예요.
    엄청 아껴썼지요.ㅠ 하루두시간.ㅠ

  • 16. ...
    '13.1.25 9:49 PM (175.194.xxx.96)

    집에서 오리털 입고 등산양말에 실내화까지 신고도
    한달 27만원 나왔어요
    주택이라 기름보일러.....

  • 17. 우리집
    '13.1.25 9:55 PM (123.215.xxx.13)

    32평 지역난방인데 낮엔 햇볕이 부엌까지 깊숙이 들어와 꺼두고요.
    해넘어가면 타이머로 한시간에 10분 정도씩 돌아가게 해놨었어요.
    4만원대 나왔네요. 온수비가 8만원 가량 나왔구요.
    쓰고보니 넘 춥게 살았나싶어 반성되네요.
    그래도 21도 이하로 내려간 적은 없었던 듯 하네요. 북향방 빼고요.

  • 18. 꾸지뽕나무
    '13.1.25 9:56 PM (39.7.xxx.35)

    주택 심야전기 75만원 진짜 멘붕이네요 헐...

    지방 주택이사오고 도시가스도 없고 심야전기인데 쪼금 따뜻하게 지냈는데 16만원넘게나와서 놀랬는데
    적게나온건가봅니다....

    그나저나 지역난방은 꺼놓으면 안된다하더라고요. 설정온도를 1도씩 높여나가는게좋대요.
    껐다가 한꺼번에 올리는데 난방비 엄청 많이 든다네요..
    항상 15도 맞췄다가 15도되면 16도나 17도로 맞추고..또 1~2도씩 또 올려 설정하고 그래야된대요

  • 19. ,,
    '13.1.25 10:02 PM (115.140.xxx.42)

    22.5도로 밤 잘때만 돌리는데도 17만원 나왔어요..난방만...ㅎ ㄷ ㄷ

  • 20. --
    '13.1.25 10:08 PM (123.213.xxx.128)

    주택난방방식과 외기온도, 실내설정온도, 보일러 운전방식에 따라 케바케.

  • 21. 깍쟁이
    '13.1.25 10:22 PM (180.65.xxx.136) - 삭제된댓글

    12월과 1, 2월 난방비 단가가 다르대요. 많이 쓰는 기간은 좀 비싸고, 그 외에는 좀 싸고..

  • 22. 전 팔만원
    '13.1.25 11:36 PM (221.162.xxx.139)

    분당 32평 지역난방인데 난방비만 팔만원. 온수 이만 삼천원. 관리비 합해서 26만원
    입니다.
    저녁때 틀어 아침에 꺼버립니다. 방마다 전기장판 약하게 틀고 자구요.
    전기료도 걱정했는데 2만5천원쯤 나왔네요

  • 23. 훔..
    '13.1.26 12:49 AM (112.168.xxx.161)

    34평 지역난방 2층 남서향 아랫집없음 양옆집없음
    온수합쳐 7만원정도 나왔어요
    애들이 어려 24도 맞춰놓고 손안대고 살았습니다

  • 24. 랄랄라
    '13.1.26 1:03 AM (121.153.xxx.112)

    49평 이번달은 18만원이요. 아이둘 어리고 남편 하루 두번 목욕하는데. 아파트 개별난방이고요. 보일러 10년 넘은거에요. 춥지 않을정도 23도 주변인거 같아요. 지난달은 16만원 나왔어요. 하루종일 집에 있구요.
    보일러는 계속틀지 않고 온도 좀 높게 해서 중간중간 30분 정도 돌리고 온수만 나오게 해둬요.
    밤에는 시간예약해서 4시간에 한번씩 해놓구 자구요. 방조절 벨브? 는 신경써서 안쓰는방 잠궈두구요.
    그래도 반정도는 열어두라고 해서지키고 있구요..
    평수에 비해 따뜻하게 적은돈은 아니지만.. 춥지않게 보낸거 같아서 댓글달아봐요..^^

  • 25. 랄랄라
    '13.1.26 1:06 AM (121.153.xxx.112)

    그리고 보일러 배관청소하시는 분이 그러시는데 보일러 온도를 높여서 돌리고 보일러 쉬게 하는것이 연료절약하는 방법이라고 하시던데요. 저도 낮은 온도로 설정해 놓고 가스계량기 체크해봤는데..
    아저씨 말씀이 맞는것 같았어요. 저희 보일러에서는요.. 참고로 ㄹㄷ 보일러에요.

  • 26. 새아파트
    '13.1.26 1:34 AM (110.8.xxx.44)

    거실 15도 16도 아예 꺼놓고 북향인 아이방 하나만 매일 저녁에만 켜주고 19도 유지~안방도 끄고 15도 16도 50평 15만원 나왔어요~~ㅠㅠ 춥긴 제대로 추웠는데 돈만 15 떡 사먹었네요

  • 27. ..
    '13.1.26 1:36 AM (211.108.xxx.147)

    지난달 88천원, 이번달 25만원 나왔어요. 너무합니다. 그렇다고 따뜻하게 산 것도 아니예요.
    1층. 사이드 집입니다. 햇볓은 잘 드는데, 아랫바닥이 너무나 차네요.

  • 28. ..
    '13.1.26 1:50 AM (119.202.xxx.99)

    지난달에 쓴 건 이달에 요금 나오고
    이달에 쓴 건 다음달에 요금 나오고
    그래서 그런거 아닌가요?

  • 29. 동남향
    '13.1.26 2:07 AM (211.255.xxx.108)

    전주에요.서울하고 기온차가 좀 나긴 하지만요.
    32평,세식구 살아요.샤워하고 설거지 거의 온수로 합니다.
    겨울엔 포근하고 여름엔 시원한 집이긴 하지만
    재작년에 경동 나비엔으로 바꾸고 설정에 고민 좀 했는데요

    4시간에 한번씩 돌아가게 둡니다.30분 돌아가네요.
    하룻저녁 네차례 정도 돌아가나 봅니다.14만원 나왔어요.
    추운건 못 참는 체질이고 낮엔 보일러를 외출로 해 놓고요
    집에 들어서면 푸근합니다.23도 유지 되는것 같았어요.
    시골에사는 친구의 집에 갔는데 작은 방 두개 틀고
    기름값이 35만원이 더 든다고 해서 그나마 아파트라 낫구나 하고 있습니다.

  • 30.
    '13.1.26 4:47 AM (58.141.xxx.49)

    댓글들읽어보니 저흰정만적게나오는거군요. 12월요금 2만3천원나왔어요. 20년넘은 오래된아파트고 22평이에요. 저희가 안틀어두 공동난방비항목이 있어서 공동난방나오고 개인적으로 튼 난방비랑 같이 나오는데 이런 방식은뭐라하나요? 저희집도 추운편이라22도 넘은적없어요.윗풍도 있구요

  • 31. 집마다
    '13.1.26 5:13 AM (14.52.xxx.71)

    다르겠지만요. 저희 아파트는 그래요. 계속 켜놓는게 더 따뜻하면서 금액은 같게 나와요. 즉 30도로 맞추어 놓으면 계속 ON 상태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적게 나오고요. 21도에 맞추면 낮에 껐다가 밤에 켰다가 그리고 몇십분 간격으로 ONOFF 를 반복하기 때문에 많이 든다는거에요. 즉 난방을 쓰는것보다 ONOFF에 많이 소요된다. 모 이런식이에요.
    온도를 높게 설정한다고 금액이 덜 나오기까지는 아니지만 온도가 높으면 더 따뜻하고 금액은 비슷하게 나오게 되어 있어요.

  • 32. ㅔㅔ
    '13.1.26 9:15 AM (119.64.xxx.140)

    저도 지역난방 살아봤는데.. 첫 댓글님 말이 맞습니다.
    컸다 켰다 하는것보담 켜두고 일정온도를 유지하는게 덜 들어요.
    낮은온도를 데우기위해 보일러 켜면 그때 에너지가 많이 든대요.

  • 33. 애셋맘
    '13.1.26 9:38 AM (1.246.xxx.85)

    32평 아파트 잘때만 틀어놓구 낮에는 꺼놨는데....온도도 높ㅈ도 않아요 20도에 맞춰뒀으니~ 난방비 13만원 나왔어요...

  • 34. 요리조아
    '13.1.26 10:20 AM (122.32.xxx.169)

    개별난방이구요~말일이 검침일이라 좀전에 확인했더니 화가 막 나네요.전 24도로 맞춰놓고 새벽에30분 저녁

    시간에 한 시간씩 돌아가게 타이머해놨는데도 벌써 12만원정도 나왔어요~요즘은 추워서 샤워도가끔씩하고

    일주일에한번씩 목욕탕가서 온수도 많이 사용안하는데ㅠㅠ...참고로 저희집7년된 32평인데..이해가 안가는

    게 저 위에분들처럼 밤새돌려도 10만원도 안 나온다니..부럽네요.가스밸브 반씩만 열어놓고 한시간 30분 돌

    려도 폭탄맞은 기분이니...더 이상 어떻게 아껴겨야할지..아님 제가 한는방법이 잘못된건지...아예 끄고 살아

    야 하나봐요

  • 35. ....
    '13.1.26 10:40 AM (116.120.xxx.193)

    우리 부모님 57평에 30도로 항상 지내세요.
    몇년전에 난방비만 80넘게 나오던데 이번달은 얼마 나왔는지 궁금하네요 ㅠㅠ

  • 36. 미소
    '13.1.26 2:57 PM (122.34.xxx.10)

    36 평 5년된 주상복합이요
    지난달 미국사는딸과 사위와서 보름정도 머물다 갔는데요
    난방비23만 전기 23만원
    워낙 딸이 여유롭게 살아선지 친정집에 와서도 팡팡 24-5도 조석으로 한낮엔 햇빛 많이 들어오니
    한20정도 해 놓드라구요
    이번달 관리비등 보고 헉-
    보통 우리끼리 살땐 거실 설정21도- 종일 큰방과 서재는 외출로 부부는 약간 작은방에서 20도로 살았구요
    평상시 관리비12만 전기3-4만원선
    그래도 부담되요

  • 37. 난방비
    '13.1.26 3:47 PM (175.197.xxx.212)

    50평 20년된 남서향 사이드 아파트

    지역난방 이번달 77,400 원

    평소엔 18도로 맞춰놓고요.

    아침에 20도로 3시간 정도

    해지면 20도로 2시간 돌려요.

  • 38. 60평
    '13.1.26 6:54 PM (1.236.xxx.34)

    36만원 나왔어요작년보다 20%는 오른 것 같아요
    전기료 포함한 관리비가 80이 넘어요 ㅠㅠ

  • 39. 밝음이네
    '13.1.26 8:49 PM (221.154.xxx.18)

    40평 아파트 2층 동남향 입니다
    관리비 전기포함168990원 도시가스 51750 취사하고 온수하고 난방하고
    춥지않아요!

  • 40. ..
    '13.1.30 11:23 PM (125.31.xxx.196)

    난방비 넘 많이 나와 고민하고있어요
    조절기를 어찌해야하는지 ...중앙난방 살던때가 신경안쓰고 편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4656 너무많은 라식&라섹광고, 올바른 병원 선택 스킬 추출몰 2013/02/04 550
214655 문재인 "내 집앞 눈은 내가 치워요" 사진 화.. 4 뉴스클리핑 2013/02/04 2,396
214654 삼생이 아역들..ㄷㄷㄷ 7 수니 2013/02/04 2,547
214653 제주도 바나나 농사지으셨던 분있나요? 3 2013/02/04 1,116
214652 학림다방과 비슷한 카페 아시면 추천 2 학림~~ 2013/02/04 577
214651 애착관련,돌전 아기 ,만일 하루 2시간씩 엄마가 일하는 경우라면.. 2 궁금합니다 2013/02/04 843
214650 5세 아들 짝짓기하고싶다고 하네요 ^^;; 17 동물책열공 2013/02/04 3,896
214649 당신의 개인정보가 새고 있다?? 5 개인정보 2013/02/04 1,083
214648 농협 출금 표시 좀 봐주세요 3 은행 2013/02/04 1,135
214647 어찌하오리까? 7 어찌하오리까.. 2013/02/04 1,055
214646 음식에 관한 책 뭐가 있을까요? 11 .... 2013/02/04 1,273
214645 아까 본 길고양이 너무 가슴 아파요. 3 길냥이 2013/02/04 919
214644 콜라비 드시는분들 어찌 깎으시나요? ㅠㅠ 6 콜라비 2013/02/04 5,705
214643 안녕하세요.~~ 여기서 회원들 간 쪽지도 보낼 수 있나요? 2 추출몰 2013/02/04 405
214642 펌) 일가족 살해-- 둘째 아들.. 미친세상인지 뭔지.. 2 미췬 2013/02/04 2,295
214641 점두개님 - 가짜다이아 댓글 달다보니 너무 길어져서 끌어올립니다.. 7 세이버 2013/02/04 3,252
214640 상품권구매 문의 5 상품권 2013/02/04 566
214639 설 연휴에 제주도가요^^ 3 외녀 2013/02/04 825
214638 멋내기 안경 렌즈는 바꾸는게 좋을까요?? 1 안경 2013/02/04 571
214637 지금부엌에선 둘둘이 닭볶음탕이 익어가고 2 캬 맛있네 2013/02/04 961
214636 <급질> 가스그릴에 생선구울떄 어느쪽부터 굽나요? 껍.. 11 옥돔이 왔어.. 2013/02/04 2,399
214635 만약 일제의 지배를 받지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10 만약 2013/02/04 1,512
214634 해리포터 소설과 영화 사이에서 1 위즐리 2013/02/04 555
214633 국정원 "지인들과 함께 방첩활동" …부부도 .. 2 뉴스클리핑 2013/02/04 662
214632 하정우ᆢ멋있는분 13 어흑 2013/02/04 2,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