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한우스지는 어떻게 요리하면 되나요?

스지 조회수 : 26,568
작성일 : 2013-01-25 09:46:00

한우스지가 500g생겼는데 어찌 요리해야 맛있게 먹을수 있을까요? 한번도 안해먹어본 부위라 잘 모르겠어요^^;;

 

인터넷으로 찾아보니 도가니나 사골 국물 낼때 함께 끓이면 좋다는데

뼈국물 종류는 식구들이 좋아하지를 않는데다, 스지 먹자고 뼈 사올수도 없고...

 

육개장이나 미역국 같은 국거리로 사용해도 될까요???

IP : 203.152.xxx.23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5 10:02 AM (124.80.xxx.200)

    장조림 하면 쫀득하니 맛있어요 고기와 섞어서 해 보세요.

  • 2. ...
    '13.1.25 10:20 AM (175.119.xxx.242)

    저희동네 정육점엔 매주 한우잡는날 신선한 스지나 도가니 부산물들이 들어오거든요
    그날 잡은 스지는 찬물에 넣고 물이 푸르르~~ 끓고나면
    물에 불순물을 씻어 다시 찬물넣고 센불에서 끓이다 끓고나면 중불에서 뭉근하게 끓여주세요
    중간에 보시면 스지가 쫀독해졌으면 겨자+간장+식초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 드시면 됩니다^^
    겨울철 보양식으로도 좋고 맛도 좋거든요(바로잡은건 굳이 마늘이나 향신료 안넣어도 잡내가 없어요)
    냉동스지나 보관이 좀 된건 마늘 통후추 소주를 넣고 끓이시면 되구요
    저희집은 스지랑 도가니를 좋아해서 늘 이렇게 겨자간장에 찍어 먹어요
    그게 제일 맛있구요

  • 3.
    '13.1.25 10:20 AM (221.146.xxx.243)

    스지를 푹고아서 족편같이 만드세요(묵처럼)
    닭을 넣고 같이 고아도 되고... 초간장 찍어드시면 겨울철 별미입니다.

  • 4. 코스코
    '13.1.25 10:23 AM (61.82.xxx.145)

    사태같은 고기랑 같이 끓여서 탕으로 잡스세요
    아니면 스지만 잘 익힌다음에 간장, 고추가루, 다진 고추, 파, 마늘, 후추, 깨소금, 약간의 식초를 넣어서 무처서 상치와 파채와 같이 먹으면 맛있구요
    초고추장에 마늘 파 넣고 무쳐서 먹어도 맛있어요

  • 5. !!!
    '13.1.25 7:03 PM (119.196.xxx.135)

    위의 ...님처럼 밑처리하셔서
    어묵탕에 넣어서 드셔도 좋아요.

    어묵도 스지도, 어묵탕에 넣으시는 다른 것들(무, 달걀 등)도 겨자간장에 살짝 찍어드시면 좋~지요.

    아,, 먹고싶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3530 공황장애 진단 받았어요 8 ㅜㅜ 2013/01/25 3,531
213529 82 운영자님,제발 좀 잡아주세요. 2 제발 플리즈.. 2013/01/25 1,098
213528 부산1박2일 일정과 동선 봐주세요 미리 감사드려요 6 블루 2013/01/25 1,269
213527 1월 25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3/01/25 578
213526 모사이트에갔다가 사진들보고 멘붕 31 다들조심합시.. 2013/01/25 18,952
213525 초등5학년 수학이 그렇게 중요,어려운가요..? 5 ... 2013/01/25 2,500
213524 필리핀 여행후 설X 1 아침부터 죄.. 2013/01/25 1,627
213523 아침..... 1 복수씨..... 2013/01/25 625
213522 부천 웅진플레이도시 다녀오신 분 계세요? 3 ... 2013/01/25 1,033
213521 대구에서 쌍꺼풀재수술 정말 잘하는데 있나요? 성형인 2013/01/25 1,571
213520 일산이나서울에 요리배울수 있는곳 소개해주세요. 2 머털맘 2013/01/25 833
213519 지금 서울저축은행에 예금해도 될까요? 4 예금 2013/01/25 831
213518 직구관련 관세 질문드립니다. 2 ... 2013/01/25 824
213517 독일에 절대로 없는 것... 57 독일댁 2013/01/25 16,232
213516 전문대냐? 어정쩡한 4년제냐? 29 ... 2013/01/25 7,889
213515 아는 엄마 집에 가서 아이가 가구에 낙서를 했네요.. 어쩌죠.... 15 민폐 2013/01/25 3,499
213514 12년만난 남자친구와 헤어졌는데, 도저히 못 잊겠어요..(수정).. 22 답답 2013/01/25 9,933
213513 저혼자 망할 순 없어욧!! 여러분 이시간에 뭐하세요? 40 준준 2013/01/25 12,507
213512 잠이 오지 않네요 10 아기엄마 2013/01/25 1,751
213511 정선희가 동물농장 특별출연에 갑자기 든 의문 8 엔젤레스 2013/01/25 5,636
213510 제주도 맛집 리스트 참고하셔요 30 화이 2013/01/25 51,224
213509 친정엄마가 싫어요 나쁜딸이지요? 5 빙빙 2013/01/25 4,423
213508 이런 질문 참 무식하지만 3 속물 2013/01/25 1,058
213507 국제결혼하려는데 외국에 살 자신이 없을때 어떻할까요? 5 sap 2013/01/25 2,930
213506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가 원래 짧은 스타일인가요? 아웃도어 2013/01/25 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