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침에 한시간 일찍 일어나면 많은게 바뀔까요?

봄별 조회수 : 2,095
작성일 : 2013-01-11 22:04:12

우연히 김미경씨 인터뷰를 봤어요. 언니독설 그 분요.

한 6,7년 전에 엠비씨 좋은아침인가 뭔가에 일주일에 한번씩 강의 나올 때 몇번 보다가

요즘 보니 많이 유명해져서 책도 두어권 내고 그랬더군요.

그런 부류의 자아계발서는 다 그저그래서 이 분 강의도 그닥 좋다 싫다 하는건 아닌데,

 

오늘 본 인터뷰에 프로필을 보니, 하루를 새벽 4시 반에 시작한대요.

워낙 일이 많으니 시간을 아껴써야 할테고 그러면 자는 시간 줄이는 수 밖에 없겠지.. 생각하면서도

오.. 제 하루 일과와 비교해 보니 이거야 원..

 

저는 현재는 전업으로 다섯살 세살 자매 키우는 중인데

보통 밤에 1시쯤 자고 아침에 8시 무렵에 일어나거든요. 남편이 오후에 나가는 사람이라 아침이 안바빠요.

아이들이 초저녁에 자서 제게 저녁 시간이 많이 공급되는 대신에 제 아침은 이 녀석들이 깨워주지요 ;;;

가을 무렵까지는 그래도 7시에는 일어났었는데 겨울 되면서 점점 아침 해가 늦게 뜨니 저도 점점 늦어진거에요.

대신 한 여름에는 아이들이 6시도 못 되어 일어나 떠들고 놀아서 좀 일찍 일어나긴 했습니다만.. 쿨럭..

얼마전에 저 혼자서 생각하기를 아.. 나 옛날엔 그 새벽에 일어나서 어찌 그리 열심히 회사도 다녔을까.. 싶은겁니다.

큰애 낳기 전까지 다니던 회사가 오전 업무가 많아서 늦어도 6시에는 일어나서 준비하고 출근해야 일이 돌아갔거든요.

그 시절엔 저녁에 놀다가도 내일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드라마도 거의 안보고 잤던 듯..

그 와중에 결혼 전 1년 정도는 무려 새벽반 수영강좌도 다녔었어요. 아.. 생각해 보니 정말 대단했네요.

 

지금이야, 핑계대자면 많죠.

일단 체력이 안되고, 애들 키우느라 힘들고, 굳이 아침에 일찍 일어날 필요 없고.

그렇다고 내가 살림을 등한시 하나 아이들을 대충 게으르게 키우나 그건 또 아니구요.

현재 제 위치에선 최선을 다 해서 깔끔하게 살림하고 똑부러지게 육아하고 그런 편인데..

저 스스로 그 핑계들을 떠나서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제가 참 게을러보이는거에요.

그런데 또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니고 아침에 딱히 일이 있는 것도 아니니 저 스스로 패턴을 바꾸지도 못하고..

 

그러던 차에 김미경씨 일과를 보니 나도 아침 기상시간을 좀 앞당기면 좋을까?

괜히 설레발 치다가 졸려서 낮 동안에 피곤에 쩔어 정작 잘 하던 살림육아도 대충하게 되는건 아닐까?

한번 미친척 좀 일찍 일어나서 애들 깨기 전에 운동이나 다녀올까? 책을 볼까? 그냥 혼자 부엌에서 차라도 마실까?

여러가지 생각을 하다가도 결론은.. 아.. 피곤할거야..로 맺어져서 선뜻 결심이 안서네요.

 

애들도 웬만큼 컸고 내년엔 작은애도 어린이집 보내고나면 이 집안에서 전업주부로서 제 일이 점점 줄것 같아서

그렇잖아도 올해부터 뭔가 해도 해야겠구나, 하던 일을 다시 시작하게 될걸 대비해서 워밍업이라도 해야겠다..하는데

몇년 좀 느슨하게 지냈더니 타이트하게 조금 조여볼까 하는게 시작이 참 어렵네요.

 

아침을 일찍 시작하시는 분들 계시면 어떤 점이 좋은지.. 한번 듣고 싶어요.

IP : 121.147.xxx.22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3.1.11 10:31 PM (1.241.xxx.27)

    새벽에 일찍 일어나는걸 지금 열흘째인데요.
    그전엔 새벽에 일어나 아주 간단하게 밥차려주고
    다시 잤었어요.
    지금은 너무 힘들고 낮에 기운을 못쓰겠어서 꼭 낮잠자게 되고 힘드네요.

  • 2. Dd
    '13.1.11 10:57 PM (121.167.xxx.229)

    성공하려면 잠이 없어야해요....억지로 줄여지진 않더군요..

  • 3. ...
    '13.1.11 11:58 PM (112.121.xxx.214)

    제 주변에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 다 일찍 자요...9시만 되도 거의 잘 준비하는 분위기.
    그러니 하루가 더 길다고는 말할 수 없죠..
    그런데 밤 시간은 주변 사람들에게 밀려서 어영부영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새벽 시간은 자기 의도대로 온전히 쓸 수 있죠..
    사람들이 밤시간 보내는게 남자들은 술자리가 많고...약속 없으면 그냥 집에서 TV, 인터넷...하는게 다인데요..
    게다가 젊은 사람들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밤 11시 이때쯤 또 많이 하더라구요....
    그냥 보다가 멍하니 시간 보내는거죠...
    아침에 일어나면 그런식으로 시간 보내진 않잖아요...뭐라도 보람된걸 하죠..
    그리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은 저녁 약속도 조절하더라구요..
    암튼, 시간을 그런식으로만 쓸 수 있으면...일어나는 시간 자체는 문제가 아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17220 축의금글보니… 6 아래. 2013/02/04 1,107
217219 김밥용김 생김은 어떤가요? 6 김밥 2013/02/04 1,939
217218 백팩 요 디자인 어때요? 5 골라보자 2013/02/04 1,061
217217 (방사능) 일본산을 버젓이 사용하는 기업들.. 10 녹색 2013/02/04 2,309
217216 초등3 영어 공부 어떻게 시켜야하나요? 2 고민 2013/02/04 719
217215 갈비양념후보관법(알려주세요) 1 갈비가조아 2013/02/04 981
217214 누텔라 어떻게 드세요? 10 누텔라 2013/02/04 2,880
217213 딸아이 과학선생님이 책을 빌려가서 7 파란요정 2013/02/04 1,242
217212 두드러기 잘 치료하는 한의원 아시는 닉네임 오잉님 1 두드러기 2013/02/04 649
217211 푸싱데이지스보시는분 계세요? 3 네드 2013/02/04 496
217210 워 로 시작되는 단어 24 삐질공주 2013/02/04 5,889
217209 시청 세실극장 주차공간 넉넉한가요? 2 ㅇㅇ 2013/02/04 2,300
217208 어디 가야 제대로 된 단팥죽을 17 단팥죽 2013/02/04 2,765
217207 강변역쪽에 괜찮은 레지던스호텔있을까요 1 피신하기좋은.. 2013/02/04 1,188
217206 신정 구정 정말 짜증나요.. 10 짜증... 2013/02/04 3,358
217205 컴퓨터 모니터만 끄면 전기가 덜 먹나요..? 2 ..... 2013/02/04 1,812
217204 위기의 주부들..어디서 볼수있나요? 2 노고단 2013/02/04 805
217203 전업주부라서 임의가입 했는데 국민연금 2013/02/04 1,187
217202 산부인과 검사...슬프고 무서워요... 8 .... 2013/02/04 3,985
217201 아래 여성학 이야기가 있어서 한번 보니 남성학도 있나봐요. 3 잔잔한4월에.. 2013/02/04 1,137
217200 설악 한화 쏘라노 호텔형 취사 안되지만 간단한 식기류는 있나요?.. 4 다녀오신분께.. 2013/02/04 3,529
217199 " 사랑 " 이..쉬운분들 계신가요? 5 아파요 2013/02/04 1,521
217198 초등 태권도 3학년부터는 어떨까요? 9 ... 2013/02/04 2,415
217197 생삼 잘라서 냉동해도 되나요?(쉐이크용) 2 인삼 2013/02/04 930
217196 건대 실내디자인 6 어떤가요 2013/02/04 1,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