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 키우는 문제... 이건 좀 아닌거죠?

잉? 조회수 : 3,094
작성일 : 2013-01-11 12:11:39

남편 직장이 경기도예요. 서울 저희 집에서 1시간 좀 넘는 거리...

저는 서울에서 직장생활하고 있고 저희 집에서 직장까지 길 밀려도 30분 걸려요.

아이는 아직 두돌 안된 여자애고 집에 있어요.

동네 어린이집은 자리가 없나봐요.

 

친정 시댁 모두 서울이고요.

남편 직장 어린이집이 생기는데 신청했어요.

근데 서울에서 아이를 데리고 출퇴근하는건 아이 아침/저녁 식사 문제, 무조건 종일반 해야 하니 아빠랑 아이랑 넘 피곤함... 같은 문제가 있어서

근처로 이사가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적응시킨 다음에 아이돌보미 같은 제도를 활용해서 키우고 싶다고 말씀드리니  

시댁에서 제가 경기도에서 출퇴근하기 힘들것 같다시며 경기도에 전세를 얻어서 본인들이 2년동안 주중에 아이 케어를 하시고 (어린이집은 남편이 데리고 출근, 오후에 시어머니가 픽업해서 돌봄)

남편과 저는 서울집에 주중에 머물고 주말에 경기도집으로 와서 지내라고 하시는데요.

 

아이가 할머니 할아버지를 별로 안 따르고 사실 아빠도 별로 안 따르고 저만 좋아하는 문제가 있고

저는 저녁에라도 아이를 보고 지내는게 맞다고 생각하고 그게 아이한테도 좋을거 같은데요.

남편은 뭐 이것도 방법 아니겠냐며 약간 솔깃해 했어요.   

그건 좀 아니지 않나요? 저는 어찌됐든 부모랑 아이는 같이 지내는게 좋은거라고 생각하는데 직관적으로 이건 아닌거 같다는 말 밖에는 근거를 잘 못 대겠어요.

IP : 171.161.xxx.5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당연히
    '13.1.11 12:14 PM (61.73.xxx.109)

    당연히 안좋죠 평일에 아이 시댁 친정에 맡기고 주말에 데려오는건 정말 정말 방법이 없을때 하는 최후의 선택이에요

  • 2. 저도 반대
    '13.1.11 12:18 PM (115.136.xxx.201)

    힘들어도 애기 끼고 사는게 제일 좋아요. 그리고 아이입장에서는 갑자기 주양육자가 엄마에서 할머니로 바뀌는건데 애기 입장에선 큰 충격이구요. 아는 사람이 그런식으로 주말에만 부모님 보고 할머니가 쭉 키우다 엄마라빠랑 나중에 합쳤는데 데면데면하대요.. 마음속 엄마는 할머니라고 그러더라구요.. 그냥 님이 생각했던걸로 밀고 나가세요. 애나 엄마나 모두 상처예요

  • 3.
    '13.1.11 12:36 PM (116.37.xxx.135)

    지금 사는 곳에서 어린이집 자리가 날 가능성이 전혀 없나요?
    그렇다면 원글님 원래 생각대로 가족이 모두 남편회사 근처로 이사하고 원글님이 좀 고생하는 수 밖에요
    몸은 좀 고생돼도..
    서울-경기가 천리만리길도 아니고
    아이랑 떨어져지내야 하는 것보다 훨씬 나을거 같네요

  • 4. 잉?
    '13.1.11 12:45 PM (171.161.xxx.54)

    시댁 반대가 심해서 저희가 경기도로 이사가는건 힘들거 같고요.

    저는 차라리 어린이집을 못 보내면 못 보냈지 멀쩡하게 엄마아빠 다 있는 애를 기관+할머니할아버지 육아로 할 필요가 전혀 없는거 같은데
    그리고 출퇴근 고생은 2년인데 좀 하겠다고 해도 안된다고 하시네요.
    약간 이해가 안 가는 중이예요...

  • 5. 헐님 말이 옳음
    '13.1.11 1:26 PM (58.237.xxx.199)

    당장 시부모님이 키우면 편할 듯 해도
    나중에 아이가 집에 와 적응하는데 시간, 노력이 많이 들어요.
    남편회사부근으로 전세 가심 안되나요?

  • 6. ㅇㅇ
    '13.1.11 1:33 PM (211.115.xxx.79)

    어떻게해야 애가 가장 편하고 행복할수있을까하는
    방향으로 하세요

  • 7. ....
    '13.1.11 2:12 PM (1.244.xxx.166)

    그냥 남편도 경기도 집에서 다니고
    원글님만 서울집에서 회사다니다가 주말에 와서 자고 가면 더 좋아하시지 않을지..

    시댁어른들이
    아이 떼놓기가 힘드신가 봅니다만...
    저라면 그런 선택 안할것 같아요.
    베이비 시터를 쓰던지
    그만한 경력과 금전적인 이득없는 회사라면 내가 일을 그만두면 모를까..

  • 8. 잉?
    '13.1.11 2:20 PM (171.161.xxx.54)

    그러게요...
    남편도 솔직히 직장 바로 앞에 아이와 부모님이 있는 넓은 집을 놔두고 굳이 1시간 넘어 버스타고 서울까지 왔다갔다 할 필요가 없어지겠죠.
    결국 저만 서울에서 회사 다니고 남편, 시부모님, 아이는 경기도에 사는 모습??

    제가 출퇴근 괜찮다는데 왜 안된다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 9. 저희큰애가...
    '13.1.11 3:49 PM (180.69.xxx.247)

    시부모님이 키워 주시고 주말에만 제가 데려와서 봤는데... 정서상 문제가 조금 있네요 두돌때 데려왔는데도... 저녁때라도 잘때라도 부모밑에서 자라는게 맞아요.. 나중에 후회될꺼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7408 배냇저고리나 내복 기부할만한데? 12 ?? 2013/01/11 1,325
207407 주말에 산천어 축제 가려고 하는데 준비물을 뭘? 6 축제 2013/01/11 1,938
207406 노인 기초연금 재원 30%,,국민연금에서 충당 추진,젊은층 반발.. 36 쓰리고에피박.. 2013/01/11 3,196
207405 심수봉은 왜 혼자 아들을 키웠나요 3 ^^ 2013/01/11 4,049
207404 라식~라섹하신분 병원추천부탁 4 추천 2013/01/11 1,176
207403 1월 11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3/01/11 470
207402 선순환이란 이런 것!!-새당이 빨리 깨우치길... 3 주붕 2013/01/11 1,100
207401 당황스럽네요 1 스마트폰에서.. 2013/01/11 606
207400 세입자도 정말 힘드네요 10 세입자 2013/01/11 2,042
207399 계약기간내에 이사가면 꼭 집이 나가야만 보증금 주나요? 6 월세보증금 2013/01/11 1,235
207398 39세 남자 생명보험 뭐가 좋나요?? 3 아틀리에 2013/01/11 977
207397 한가한 회사원 5 .. 2013/01/11 1,270
207396 남대문 수입상가와숭례문 수입상가 4 라임 2013/01/11 2,108
207395 요즘같은 때 예금 만기 몇 년으로 하셨나요? 3 4%도 없어.. 2013/01/11 1,761
207394 오븐에 고기 구울 때 덮개(호일) 덮어도 될까요? 2 요리잘하고싶.. 2013/01/11 1,664
207393 말한마디 없던 아파트관리사무소때문에 짜증나네요. 4 2013/01/11 1,488
207392 내일 이에요 서초 48프로~ 10 지지지 2013/01/11 1,167
207391 1월 11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3/01/11 399
207390 이사 좀 싸게 하는 방법 없나요? 2 2013/01/11 1,230
207389 MB, 스스로에게 2000만 원 짜리 훈장 수여할까 고민 중 7 주붕 2013/01/11 2,001
207388 저가 전세를 찾습니다. 9 2013/01/11 1,412
207387 소울메이트의 '신동욱' 그동안 안보인다 했더니... 2 오늘도웃는다.. 2013/01/11 1,709
207386 간경화 말기로 간성혼수까지 오신분 간식 뭐가 괜찮을까요? 7 .. 2013/01/11 9,463
207385 기초노령연금?? 4 ... 2013/01/11 1,306
207384 설레는 물건 아니면 버리라고 해서 시작했는데,, 자꾸,,,,,,.. 13 어제 콘도같.. 2013/01/11 3,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