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수학 푸는 속도가 엄청 느리다면....

수학고민 예비고1 조회수 : 6,044
작성일 : 2012-12-24 10:21:29

예비 고1 남자아이입니다.

수학학원 숙제를 집에서 할 때 문제푸는 속도가 아주 느린 것같아 조바심이 나네요.

공부를 안하려고 하는 아이는 아닌데 수학문제가 어려워 푸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선행을  하지 않아 이제서야 수학 (상)시작한지 두달째에 접어들었는데 아이도 힘이 든가 봅니다.

중학교 수학은 10%내외 정도 였구요, 중등때도 수학 공부시간에 거의 공부시간을 다 할애 한 거나 마찬가지.. 

엄마인 저는 거의 수포자 수준이라 고등수학이 어느 정도로 어려운지 감이 잘 안오는 상태라 더 갑갑합나다.

시간이 오래 걸려도 숙제는 거의 다 해가는 편이긴한데 이렇게 하다보면 잘하게 될 날이 올까요?

수학때문에 국어도 영어도 거의 못하고 있는 상태에요.

초등때부터 제대로 화끈하게 놀려준 적도 없는 것 같은데 늘 수학 때문에 저러고 있으니 정말 아이를 안고 엉엉

울고만 싶습니다.

 

IP : 211.196.xxx.17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24 10:28 AM (121.178.xxx.135)

    '엄마인 저는 거의 수포자 수준이라' 답이 나온듯

    수학은 태어날때 거의 결정되는것 같아요

  • 2. ....
    '12.12.24 10:29 AM (1.225.xxx.224)

    조금 나아지긴 하겠지만 영어, 국어를 놓고있을수만은 없어서 많이 함들거 같네요
    중등과정도 힘들어했다면 고등과정은 그 열배는되어요...
    시간안배 잘 해주세요.
    제가 볼때엔 심화문제들보다 기본문제 위주로 가는게 나을거가같아요.
    쉬운문제 반복해서 풀리시고 그 문제만큼은 다 맞겠다는 전략이요

  • 3. 과외선생
    '12.12.24 10:38 AM (116.41.xxx.242)

    중학수학과 비교하시면 절대 안되십니다.
    초등에서 중등갈때 체감 난이도가 계단 3개정도이구요, 중등에서 고등갈때 체감 난이도는
    계단 10개정도라 보시면 됩니다.
    계단 3개정도는 다리 쭉뻗으면 올라가지만 계단 10개는 한꺼번에 올라가려다 다리 찢어집니다.
    그때가 수포자가 된다고 보시면되요.
    늦게 시작했다지만 아이가 포기안하고 겨울방학을 수학에 시간 투자 많이 하면 푸는속도 어느정도
    탄력이 생깁니다.
    차근차근 계단올라가는게 한꺼번에 오르려다 포기하는거보다 훨낫습니다.
    어머니께서 울고싶다하시면 아이는 주눅들어요.
    아이에게 용기를 줄수있는 리액션 많이 해주세요.
    겨울방학 잘보내야 한다는 글도 몇번 올렸다가 지웠지만 겨울방학 잘보내면 좋은결과 볼겁니다.

  • 4. 원글
    '12.12.24 10:38 AM (211.196.xxx.178)

    첫 댓글님 말씀 맞다고 봅니다.그래서 더욱 불안한 마음에 아이한테 수학을 강조해와서
    더 미안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도 없는 거고요.
    우리때야 수학 망쳐도 다른 과목 점수로 커버할 수 있었지 않습니까? 물론 명문대는 못갔지만요.
    기본문제 위주로 간다고 봤을때 어떤 문제집 정도가 좋을까요?

  • 5. ...
    '12.12.24 10:48 AM (221.148.xxx.148)

    수학학원에서 어느 교재로 어떻게 진도나가는지까지 써주셨으면 더 자세히 알려드릴수 있었을테지만.

    일단, 속도가 느리면 손에 기본적인 연산이 붙을때까지 외우듯이 푸는게 답이네요.

    시중 문제집중에 수력충전(한솔출판사일거에요)이라고 있는데 단순계산반복 문제집인데, 이거 풀면 기본적인 개념잡기+계산속도올리기에는 도움이 될거고요.

    학원에서 어느 교재로 진도를 나가는지 모르겠지만, 정석이든, 개념유형이든, 숨마든지...
    딱 예제만 세번 풀어보라고 해보세요.
    그래서 나중에 문제만 읽어도 어떻게 푸는지 머리속에 그림이 그려지면, 밑에 유제를 풀고.
    그 책에 예제,유제가 아무런 문제없이 풀수 있게 되면.

    시중 문제집에서 반이상 풀릴겁니다.

    고등학교는 유형들이 머리속에 암기하듯 자리 잡고 풀어야 시험때 시간안에 풀수 있어요.
    학기중에는 이것저것 다른 문제집 풀거 없고요.
    방학때 풀었던 진도나가던 문제집반복+ 교과서 풀기+ 학교 프린트 풀기만 계속 시키시면 3등급안으로는 무조건 들어올수 있어요.

    속도 붙고 자신감도 생기면 그땐 방법을 달리해야하지만, 일단 포기하지 않도록 해주시는게 가장 중요할것 같아요.

  • 6. ...
    '12.12.24 10:48 AM (61.43.xxx.212)

    마음 편하세 먹으시고 ^^
    답지에 있는 풀이를 줄노트에 옮겨 적으면서 풀이 과정과 순서를 익힌 다음에
    다시 푸는 방법을 써보세요.
    순서와 방법만 익혀도 속도는 올라갑니다. 힘내세요!!!

  • 7. 처음
    '12.12.24 11:51 AM (210.116.xxx.107)

    울 딸하고 비슷한 아드님이네요.
    울 딸은 중학교 최상위권이었으나 수학에서 3개4개 틀렸었죠
    고등학교 가서 극복하겠거니 마냥 기대를 했었는데... 엄마 즉 제가 수학문외한이라...
    고1 2 탱탱놀다가 고2 겨울방학부터 정신차리더니 수학에 올인하더군요
    고3 내내 수학 과외받았고 눈 떠 있는 시간 모두 책상에 앉아있는 성실 그 자체인 아이였습니다
    오죽하면 좀 쉬면서 공부해라 라고 잔소리 할 지경이었죠(지금 생각하니 이때가 제일 좋았음)
    수능에서 5등급 나왔습니다.
    울 딸 보다 엄마인 제가 완젼 멘붕상탭니다
    아이는 지금 기숙학원에서 재수하겠다고 전의를 불사르고 있네요


    울 딸이 지금 고1로 다시 돌아간다면..

    개인과외, 학원, 풀로 돌려서라도 원하는 등급까지 올려놓겠습니다.

    집에서 해라, 문제지 풀어라, 이러다가 2년 금방 가더군요. 지금 저는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습니다.

  • 8. ㅇㅇ
    '12.12.24 12:19 PM (124.52.xxx.147)

    저도 딸 수학 문제 푸는거 보면 정말 한숨 나옵니다. 차라리 수학 포기하고 다른 과목 점수 올리는게 나을거 같단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당최 어려운 걸 이해하려는 노력도 안하고 머리도 안되는거 같아서 절망입니다.

  • 9. 강산
    '12.12.24 1:10 PM (112.214.xxx.184)

    같은 상황이예요.
    중3 올라가는 아인데 늘 70점대입니다.
    과외 1년 가까이 했구요.
    그동안 백퍼 쌤한테 맡겼는 데 이젠 좀 챙길라구요.
    일단 뭔 과목이든 복습이 중요한거 같아요.
    그동안은 내걸로 만드는 시간이 없었던거 같아요.

  • 10. 애고
    '12.12.24 1:39 PM (39.119.xxx.81)

    수학문제 푸는법 어렵군요

  • 11. ........
    '12.12.24 4:47 PM (109.63.xxx.42)

    원글님....... 그냥 공부 안 한거에요..... 수학 빨리 푸는 애가 있고 느리게 푸는 애가 있는게 아니고.....

    첨엔 다들 늦게 푸는데...... 공부를 많이해서 푸는 속도가 빨라지는 거에요.......

    아드님이 푸는게 느린거면 공부를 덜 한 거에요...... 다른 이유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다들 대학 당락의 결정을 수학이 하는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4822 전세계약 대리인이랑 해보신 분... 16 도장 2013/01/10 3,923
204821 깊고 오래 사귀는 분 2 친구 2013/01/10 2,567
204820 냉동연어 해동시켜 생으로 먹어도 되나요? 9 먹고싶어 2013/01/10 51,448
204819 영국 이코노미지가 박근혜 앞으로 5년을 객관적으로 예상하고 있네.. 7 좋은나라 2013/01/10 2,746
204818 자식인지 상전인지 9 ᆞᆞ 2013/01/10 2,316
204817 클래식... 24 //////.. 2013/01/10 2,287
204816 테솔이란 자격증.. 1 ........ 2013/01/10 1,531
204815 뮤즈님 보험질문요 2 토토짱 2013/01/10 538
204814 백화점도 전화주문 되네요 ㅎㅎ 6 조으디 2013/01/10 2,697
204813 식도염 증상 2 현미밥먹고 2013/01/10 1,909
204812 전세금.. 집주인의 대출.. 5 ... 2013/01/10 1,434
204811 세상에 냥이가 앞발로 춥따꼬 비닐을 덮심니더 11 가을하늘 2013/01/10 2,564
204810 민주당은 모바일 투표부터 손봐야죠. 3 ... 2013/01/10 435
204809 영어 문장 질문이에요~(수정~원문있어요) 6 berrie.. 2013/01/10 599
204808 이이제이 박정희2편듣고 알게된 사실 13 홍이 2013/01/10 2,068
204807 쌍용차 무급휴직자 복직에 대한문앞 '희비교차' 2 어쩐지찜찜하.. 2013/01/10 866
204806 피부 볼부분이 트러블생기고 좁쌀같은 게 많이 났는데요 3 눈과보석 2013/01/10 1,242
204805 미국 여행(뉴욕 포함) 질문이요 ~ 6 게자니 2013/01/10 1,599
204804 in the tree?on the tree?차이점 좀 설명 부탁.. 7 어려고도 어.. 2013/01/10 1,274
204803 걱정이에요 ᆞᆞ 2013/01/10 455
204802 장터 동치미 추천좀 해주세요~ 5 응삼이 2013/01/10 953
204801 치사한 국개의원들 4 ... 2013/01/10 471
204800 마트 의무휴무일.. 왜 들쑥날쑥하죠? 6 ?? 2013/01/10 1,022
204799 이불 어디서 사시나요? 6 늦은 신부 2013/01/10 1,857
204798 제 인생이 너무 지옥같고 허무한데 어떻게 해야할지를 도무지 모르.. 17 .... 2013/01/10 5,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