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저학년..글짓기 너무 못해 속상해요

조회수 : 2,028
작성일 : 2012-12-17 00:31:08
초등저학년인데요
책은 많이 읽는 아이인데 글짓기를 너무 못해요
학교 백일장에서도 반에서 절반 이상 타는 상을
한번도 못받아왔네요ㅠㅠ
동시 짓는것도 너무 어려워해요
생활문도 뭘 어떻게 써야하는지 고민만 한시간...
독후감은 더더욱 힘들어 하구요
어휘나 독해력도 떨어지는 것 같은데
거기에 창의성도 부족해서
일기쓰는 것 보면 밋밋하고 재미없게 쓰거든요
문맥도 안맞고 어떤일에 관한 자기 생각이나 느낌은 없고
있었던 일만 늘어놓아요ㅠㅠ
담임샘도 국어가 부족하다고 하신적이 있구요
논술 수업이나 주니어 플라톤 같은 수업하는게
도움이 될까요? 선배맘들 도움 좀 부탁드려요
IP : 118.33.xxx.59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17 12:34 AM (180.224.xxx.200)

    책 읽히세요.
    공부를 위해 읽어! 하지마시고.....아이가 정말 스스로 독서에 재미를 붙일 수 있도록...
    국어가....모든 공부의 뿌리랍니다.
    영어조차 모국어 실력만큼 늘거든요.......

  • 2. 벼리지기
    '12.12.17 12:38 AM (175.209.xxx.172)

    초등저학년이라하시니,,같은엄마입장에서댓글달아요^^;
    저도3학년남자아이키우고있는데,,이녀석이딱!!님자녀분과같네요..
    책은무지좋아라하는데,,,일기쓰는것도곤혹스러워하는..
    그렇다고제가대신써줄수도없는노릇..
    우연히,,논술팀에낀지가일년좀넘어가는데요..
    요즘은가끔씩..글에관련된상을받아오네요^^
    아직창의력을요하는글은못쓰지만,,
    그래도,,,논술하고부턴글쓰는걸어렵지않게여기더라구요..
    혹시,,,주위에논술하시는샘계시면알아보세요..^^
    전만족입니다...

  • 3. 동시
    '12.12.17 12:39 AM (218.238.xxx.188)

    동시를 매일 하나씩 베껴쓰게 해 보세요. 흥미를 가져야 뭐든 잘 할 수 있어요. 아는 분이 자녀에게 매일 마음에 드는 동시 하나를 쓰게 했대요. 한줄짜리 짧은 시도 상관 없고요. 처음엔 몰랐는데 몇달이 지나니까 시의 맛을 알더래요. 그래서 시를 쓰고 싶다고 하고 긴 작문도 쓰고, 책도 읽더래요.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고 여유를 가지고 아이를 대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4. 깜찍이
    '12.12.17 12:56 AM (118.176.xxx.33)

    아이가 쓴 글을 못 읽어보고 어떤 아이인지 몰라서 원글님이 쓰신 글만 가지고 이 상황을 가늠해보면,
    동시, 독서감상문 등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글을 잘 못 쓰나 봐요.
    두 가지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먼저 감정(감동)이 없다 와 감정(감동)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른다. 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이런 경우에 제가 쓰는 방법은

  • 5. 깜찍이
    '12.12.17 12:58 AM (118.176.xxx.33)

    댓글을 길게 못 써서 이어서 써요.

    엄마가 먼저 기형도 시인의 을 읽어 보세요. 그리고 어떤 느낌이 드는 지 한 번 느껴보시고 그 느낌을 적어 보세요.
    그리고 엄마가 을 아이에게 읽도록 해주세요.
    은 시가 길지 않고 어려운 단어도 별로 없어요.

  • 6. 깜찍이
    '12.12.17 1:02 AM (118.176.xxx.33)

    저는 이 시를 가지고 시의 주제, 이미지, 운율을 다 설명하는데요
    먼저 '이 시에서 엄마하면 생각나는 것은?' 이라는 질문에 엄마랑 아이랑 같이 답을 한 번 해보세요.
    그리고 아마 초등 저학년이니까 시의 화자와 비슷한 또래라고 가정하고
    아이에게 한 번 물어보세요.
    '이 시에서 지금 아이는 어떤 심정일까?'

    아이의 감정을 건드리고 표현해보는 활동이에요. 여기까지 해보시고 결과를 알려주시면 그 다음에도 한 번 말씀드릴게요. (혹시 원글님 더 귀찮게 하는건지 모르겠어요. 그랬다면 죄송해요.)

  • 7. 깜찍이
    '12.12.17 1:04 AM (118.176.xxx.33)

    윗 댓글에 시의 제목이 빠졌네요. 기형도 시인의 '엄마 생각'이에요.

  • 8.
    '12.12.17 1:35 AM (118.33.xxx.59)

    답글 주신분들 감사드려요~
    깜찍이님 조언도 너무 감사하구요
    제가 님 조언대로 해보고 쪽지 드려도 될까요?
    제가 보기엔 제 아이는 작은일에 감동하는
    스타일도 아닌것 같고...친구들과 영화를 보면 다른 아이들은 슬픈 장면에서 우는데 우리 아이는 무덤덤...또 어떤일에 대해 말로 표현하는 것도 풍부하지 않아요ㅠㅠ

  • 9. 요리초보인생초보
    '12.12.17 1:39 AM (121.130.xxx.119)

    어휘나 독해력도 떨어지는 것 같은데
    거기에 창의성도 부족해서
    일기쓰는 것 보면 밋밋하고 재미없게 쓰거든요
    문맥도 안맞고 어떤일에 관한 자기 생각이나 느낌은 없고
    있었던 일만 늘어놓아요ㅠㅠ
    --------------
    아이가 첫째인가요? 책임감 높고 똑바르게만 살려면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렵죠.
    그리고 책만 읽어서 창의성 개발은 좀 그렇습니다. 미술도 보고 그리고 만들어 보고, 음악도 듣고 그래야 발휘됩니다.
    아이가 소심하다면 실수해도 괜찮아, 너만의 느낌이나 생각을 말해봐, 그래야지 좋아집니다.

    논술 수업이나 주니어 플라톤
    ----------------
    해결책이 이론 쪽에 치중해 계신 것 같은데 초등 저학년이라면 자연을 많이 접하게 해주세요. 요리나 집안일도 같이 해 보시고요.
    보글보글, 살랑살랑, 느릿느릿 등 집안일을 통해 배울 수 있고요,
    시라는 것이 자연에서 많이 체험한 걸 쓰는 경우가 많잖아요?
    나무 이름과 특징, 풀 이름과 특징, 물고기 이름과 특징 등을 통해서 다양한 경험에 입각한 글을 쓸 수 있을 거예요.

  • 10. 깜찍이
    '12.12.17 2:07 AM (118.176.xxx.33)

    네 원글 쓰신 분 쪽지 주셔도 되요.^^

  • 11. ....
    '12.12.17 9:26 AM (121.169.xxx.78)

    아이들이 책 많이 읽는것과 글 잘쓰는건 정말 다른 문제같아요.

  • 12. ---
    '12.12.17 10:55 AM (180.229.xxx.173)

    저희 아이는 말하는 것도 좀 어눌하고, 어미 같은 것도 가끔 틀려요. 글쓰기도 엉망이여서 .....공부는 안 해도 일주일에 4일 정도는 책 한 장 혹은 한 페이지를 베껴쓰기 하고 있어요. 주로 감정을 잘 나타낸 글들 위주로요. 일본 초등 동화책이 우리나라 감성과 잘 맞는 것 같은데 찾기는 힘들어요.
    요즘엔 학교 전시회 같은 곳에 잘 뽑히네요. 현란하게 쓰는 것 보다는 순수하게 자기의 감정은 표현하네요. 나름 발전이 있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9354 불펜은 지금 알바 천국이네요 16 ... 2012/12/21 2,259
199353 선거 전날 꾼 꿈... 3 예지몽..... 2012/12/21 1,097
199352 우리 방송국 만듭시다!!!! 아고라 청원 5 테네시아짐 2012/12/21 652
199351 안철수 후보님 사퇴하고 박지지하셨다는 저 아래 의사분글 읽고 27 모로 2012/12/21 3,212
199350 이제 2%만 바꾸면 돼요~ 5년동안 가족 친지들 바꿔봐요 6 아마 2012/12/21 678
199349 오늘은 울고, 화내도 내일 해야할 일이 생겼네요. 3 새언론 2012/12/21 784
199348 518이라... 21 그땐그랬지 2012/12/21 2,098
199347 문재인 힐링 프로젝트와 희망의 메시지 달님톡톡 2012/12/21 1,255
199346 요 아래 산오징어 노점상 글 외에 몇몇 글들 정말 못봐주겠네요... 34 .... 2012/12/21 2,640
199345 나름 정리해 본 전라도와 경상도의 정치의식 17 ** 2012/12/21 5,182
199344 대구 20%의 눈물 24 술 권하는 .. 2012/12/21 2,326
199343 이래서 사람들이 텃세를 부리나 봐요 1 ... 2012/12/21 2,279
199342 신언론을 만들자! 방사능뉴스.탈원전뉴스 통합 3 녹색 2012/12/21 716
199341 박 대통령 덕분에 사촌언니 희망이 정말 이루어질까요. 27 ........ 2012/12/21 2,790
199340 이사 계획 중인데요 2 고민 2012/12/21 748
199339 mcm지갑 버렸어요-.- 새 지갑 색깔 골라주세요 21 .... 2012/12/21 2,623
199338 대대적인 불매운동 해서, 경북의 소부족주의가 개선될까요 ? 13 휴우 2012/12/21 1,749
199337 줌인아웃에... 18 응? 2012/12/21 2,076
199336 어떤 여자분이 캐나다 남자에게 프로포즈를 받고 7 어떤 2012/12/21 2,257
199335 나는 도대체 정줄 놓고 무엇을 샀던가? 1 진홍주 2012/12/21 604
199334 박그네 찍었다고 뿌듯해하시는 산오징어 장수 아저씨. 27 현민맘 2012/12/21 3,373
199333 다시 한 번 '잘살아보세'의 신화를 만들겠단다!!! 12 ㅇㅇ 2012/12/21 1,155
199332 출산 후 엉덩이 아픈거요. 한의원 가야하나요? 2 .. 2012/12/21 577
199331 친구와의 대화. . . 1 달님사랑 2012/12/21 682
199330 광주는오늘하루이랬어요 20 jaeus2.. 2012/12/21 4,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