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역류성 식도염 약을 먹고 있는데..오래 가네요.

고질병... 조회수 : 17,909
작성일 : 2012-11-24 19:50:43

50대 엄마입니다.
원래 체를 자주 하긴 합니다만..올해 5월 쯤인가???
속이 쓰리고 타는듯...자주 가슴이 아파서 위 내시경을 받았습니다.
의사가 역류성 식도염 증세가 있다면서 약을 처방해 줘서 먹었는데
증상이 호전 되지 않습니다.

경험 있으신 분들 음식 조절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등등
도움 될만한 여러가지 정보 좀 주세요.

*b형간염 건강 보균자라서 한약 이런건 안 먹습니다.

IP : 59.3.xxx.20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24 7:53 PM (121.136.xxx.28)

    역류성식도염은 아주 특이케이스 아닌이상 생활습관 병입니다.
    제가 알기로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약은 없는 것으로 알고요,
    습관 안바꾸면 불치입니다.
    물 한번에 왈칵 드시지 마시고,
    찬물 너무 뜨거운물 둘 다 안되구요, 당연히 커피 녹차 홍차 탄산음료같은 위에 자극을 주거나 위산분비 촉진 시키는 것들은 드시면 안됩니다.
    기름진것도 안되구요.
    그정도만 지키셔도 훨씬 좋아지실거예요.
    식후에 바로 눕거나 하지 마시고 조금 앉아 계시거나 걸으시면서 소화시키시구요.
    폭식 과식 말고 조금씩 자주 드시구, 짠것 너무 단 것 드시지 마시구요.

    고혈압 당뇨랑 똑같다고 보시면됩니다.

  • 2. 저도
    '12.11.24 7:55 PM (220.125.xxx.16)

    예전에 역류성식도염 진단받았는데 약먹으니 유즙분비 부작용이 있어;
    그냥 약안먹고 세끼 규칙적으로 챙겨먹고 하니 어느새 괜찮아졌었어요

  • 3. 저는
    '12.11.24 7:57 PM (222.106.xxx.69)

    약국에서 약사가 하루2알 먹으라고 주는약을 하루나 이틀정도 먹으면 가라앉아요.병원 조재약은 안듣구요..웃기죠??

  • 4. ....
    '12.11.24 7:59 PM (112.159.xxx.4) - 삭제된댓글

    혹시 집에 뜸이나 찜팩기구있거든 목아래부분혈자리 가슴쪽으로옮기면서
    팩을 해 보세요
    뜸을 뜨면 더 효과적인데 (전 그걸로 나은...)
    가끔 살짝 거슬리면 얼른 (뜸질 기구있는지라 ..)다스리곤 합니다

  • 5. 저도요
    '12.11.24 8:08 PM (119.206.xxx.46)

    뜸 추천
    좋아집니다.. 설명은 윗분이 잘해주셨구요..
    전 혈자리 이런거 잘 모르지만 가슴 중간쯤에다 항시 간접 뜸을 떴네요..

  • 6. 친정아빠...
    '12.11.24 8:11 PM (175.112.xxx.27)

    큰 병원 가보세요.
    원래 누구나 많이 갖고 있어요. 저도 있고 동생도 있는듯하고... 가벼운 식도염은 약이나 아님 생활습관으로 하면 되는데요.
    가슴통증이 있다면 ...
    친정아빠가 가슴통증이 너무 심해서 병원 치료 받기 시작했는데 나이가 있으니 아무것도 못 드십니다. 소화가 안 되니... 정말 옆에서 보기 안스러워요.
    밀가루음식 식초 고추가루 등... 다 피해야 해요. 암수술 받았는데 이것저것 먹지 못해 늘 말라 있어요.
    저희 아빠는 삼성의료원 다니셨는데 젊은 사람이랑 나이드신 분이랑 다르니 큰 병원아니면 중간 병원 정도 가서 검사해 보세요.
    이 병이 문제가 아니라요. 섭식에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 7. 123
    '12.11.24 8:26 PM (220.70.xxx.156)

    신경성이나 다른 병 의심해보시구요..
    전 생활습관은 전혀 역류성 식도염/위염하고 관련없어요..
    그래도 계속 재발하네요..

  • 8. ...
    '12.11.24 9:15 PM (180.228.xxx.117)

    저도 12~13년 전 대낮에 정말 갑자기 가슴 부분이 불에 타는 듯한 통증이 왔어요.
    도저히 참지 못할 정도의 통증이어서 밥도 못 먹고 물도 마시기 힘들 정도였어요.
    그 후로 약을 오랫동안 먹었는데 ..
    결론은 약을 멀리하고 생활습관,그 중에서도 음식 먹는 습관을 바로 잡는 것이 지름길 같아요.
    저녁은 되도록 일찍 ,적은 양을 먹고 기름진 것을 피하고 식사 후에는 적어도 3~4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절대 눕지 않는다. 의사들은 식사 후 2시간이 지나면 위;에서 장으로 음식물이
    다 내려간다고 하는데 이 말 안 맞아요.적어도 3~4시간.
    식사 후 일찍 누우면 반드시 위액이 역류해요.
    그리고 잘 때에도 등을 바닥에 대고 반드시 눕지 않는다 옆으로 누워야 어깨 높이 만큼 상체가 높아져
    역류를 막을 수 있다 .역류라는 것은 위액이 거꾸로 흐른다는 말이잖아요.
    위보다 윗부분이 조금이라도 높으면 액체가 거슬러 올라가기 힘들기 때문이예요.
    침대 생활을 한다면 침대 머리맡 침대 다리에 벽돌같은 것을 괴어 침대 머리 부분을 높혀서 역류를
    막아줘야 해요. 식도 역류는 주로 잠 잘 때 발생하니까요.
    깨어 있으면 몸이 꼿꼿이 서 있으니까 역류되기가 어렵죠.
    그리;고 과식이 제일 안 좋아요' 아무래도 많이 먹으면 그걸 소회시키기 위해 위산도 많이 분비될 것이고
    양이 많으면 넘치기도 쉽잖아요. 저녁밥 과식한 날은 그 이튿날 아침에
    알아 보게 식도가 쓰려요ㅕ.

  • 9.
    '12.11.24 10:12 PM (121.147.xxx.118)

    108배가 많이 도움이 됩니다.
    무릎이 불편하시면 다른 적당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6462 문재인 대통령♡ 1 샬라르 2012/12/18 639
196461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 1 문재인 대통.. 2012/12/18 641
196460 지금 불펜가보세요.ㅠㅠ난리남.ㅠㅠ눈물나요ㅠㅠ 4 가키가키 2012/12/18 3,569
196459 내일 이 시간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길 정말 간절히 기원합니다. .. 1 문재인 대통.. 2012/12/18 645
196458 공주아닌데요 9 동주맘 2012/12/18 936
196457 음해공작 을 보세요 5 음해 공작 .. 2012/12/18 557
196456 저희 광복동에서 마지막으로 문재인후보 1 .. 2012/12/18 919
196455 투표율이 중요한 이유 현재 상황 2012/12/18 580
196454 개표소는 어떻게 찾죠? 1 개표소 2012/12/18 430
196453 우리가 이길 수 있는 이유 ... 2012/12/18 520
196452 bbc에서 박빙이라는데요 2 이런.. 2012/12/18 1,993
196451 임무를 앞두고.. 명바기 잘가.. 2012/12/18 467
196450 제가 예전에도 글을 쓴적있어요. 3 ^^ 2012/12/18 718
196449 문재인의 운명 1 노짱님 2012/12/18 875
196448 투표하실 때 양보해드립니다~! 1 ... 2012/12/18 555
196447 이길걸 알면서도 그래도 불안한 마음 1 불안하다ㅠ 2012/12/18 532
196446 남포동 유세 다녀왔어요 악수 세번함 ㅎㅎ 8 문짱남포동녀.. 2012/12/18 1,609
196445 교육감이요. 전 결정했습니다. 5 judith.. 2012/12/18 1,104
196444 정말 .... 2 하이파이브 2012/12/18 567
196443 내일 투표 끝날때쯤에 투표소에 가서 서있기라도 해야할까요..? 4 1219승리.. 2012/12/18 834
196442 성당 다니시는 분들 오늘 화답송이요 41 ... 2012/12/18 2,803
196441 부산역 문재인 유세, 완전 대박!!!! 14 참맛 2012/12/18 4,433
196440 결전의 날입니다. 3 솔직한찌질이.. 2012/12/18 550
196439 안철수의 마지막 선거유세.... 눈물 났던 안철수의 마지막 호소.. 37 세우실 2012/12/18 20,203
196438 문재인 대연정 하겠다네요. 26 에휴 2012/12/18 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