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이 너무 빨라요.
48세 퇴직이라니.
이제 한창인 사람인데 너무 일러요.
애들 대학학비는 어떡하고.
그 가정은 아내가 한 축을 떠 받치고 있지만 대 다수의 가정은 육아로 아내가 전업인 경우가 많아 이런 일이 오면 한 숨 지을 수 밖에 없어요.
애들 학비에 결혼에 나갈 돈은 큰데,
젊은 40대가 벌이가 없으면 온 가족이 힘들죠.
모 정당에서 60세 정년을 추진한다던데
누가 대통령이 되든 60 세 정년을 밀어줬으면 좋겠어요.
- 1. ..'12.11.22 6:07 PM (115.41.xxx.171)- 그렇긴 하겠죠. 이른 퇴직도 문제고 청년실업도 문제고..큰일이에요. 
- 2. 헐헐'12.11.22 6:08 PM (211.246.xxx.70)- 전 37에 퇴직했는데요 
 임원이 41....
 열심히 김치볶음밥 만듭니다;;;;
 몸은 힘들어도 마음응 편하네요
 내가 왜 공부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ㅎㅎㅎ
 IT는 더 짧아요 니미..
- 3. ㅇㅇㅇㅇㅇ1'12.11.22 6:08 PM (218.152.xxx.206)- 아이들 있는 가정도 문제지만.. 
 20대 초반 갓 졸업한 아이들의 사회 진출도 문제던데요.
 
 근데 제 생각엔 일자리는 더 줄어들것 같아요.
 워낙 세상 돌아가는 것도 빠르고.. 시스템화도 잘되어 있어
 
 예전에 3명이 필요한 업무가 요즘 2명이면 해결되기도 하잖아요.
 
 20대도 안타깝고, 다 안쓰럽네요.
- 4. 헐'12.11.22 6:08 PM (115.41.xxx.171)- 임원이 41요? 남자들 일찌감치 나오면 뭐 할까요? 
- 5. ㅇㅇㅇㅇㅇ1'12.11.22 6:10 PM (218.152.xxx.206)- 그러니 너무 대학 대학 공부 공부 하지 맙시다. 
 
 40세에 나와서도 뭐라도 해서 먹고 사는 근성을 만들어 줘야죠.
 
 온실의 화초처럼 미친듯이 공부시켜 일류대 나오게 해서
 대기업 보내도 버티는 시기는 점점 짧아지는 듯 해요
- 6. ..'12.11.22 6:13 PM (115.41.xxx.171)- 대학 대학..좋은 대학 나와 대기업 가서 기껏 40대에 퇴직이면, 그냥 전문대 보내 평생 써먹고 취업이나 개업도 잘 되는 과를 선택하는게 낫겠어요. 
- 7. ㅎㅎ'12.11.22 6:16 PM (211.246.xxx.70)- 교사 공무원 간호사 의사 
 전문직...
 
 옛날에 교대 무시하고 약대 안가고
 공대간 벌 받는중이에요
 
 공부한다 그럼 교대 약대 의대
 그렇다 그럼 간호대
 
 내 자식은 상경이니 공대니 안보냅니다
 부끄럽지만 저 스카이 바로 아래대학나와서
 이모양으로 살지 몰랐음
 
 그리고 외국계 좋아마세요 ;;;
- 8. ㅁㅁ'12.11.22 6:27 PM (203.247.xxx.126)- 전 정년 60세 반대해요. 나이든 분들이 회사에서 빠져줘야 우리 자식세대들이 회사에 들어오는거에요. 
 저렇게 되면, 새로운 인력 안뽑아서 요즘 젊은 세대들 취업이 더 힘들어져요.
 게다가 제가 지금 10년째 일하고 있는데도 이렇게 힘든데, 이걸 앞으로 25년을 더 할 자신이 없어요. 정년 60세 반대합니다..
- 9. ..'12.11.22 6:34 PM (115.41.xxx.171)- 애들한테 한창 돈 들어갈 때 그만두니 문제죠. 수명도 길어졌고, 
- 10. 힘든문제..'12.11.22 7:01 PM (1.236.xxx.223)- 48세면..용띠이신가. 그 하나 아래이신가..저희 애아빠도 용띠인데, 이제 고2, 초5에요. 그분은 남자분 치곤 자녀가 굉장히 큰 편이라..그래도 큰 애는 자기 앞가림하게 잘 키웠고.. 
 너무 빠른 퇴직이라 심란스럽지만, 정년을 연장할 수 없는 청년실업의 커다란 문제..
 정말 어제도 고졸 사장님 글이 있었듯이 본인이 기술로 할 수 있는 일이 최고인듯 한데. 그런 기술이 또 쉬운 일이 아니고.
 저희는 부부가 틈새를 잘 잡아서 먹고사는 문제는 해결했는데. 애들이 우수하지도 않으니 뭐해먹고 살까..저거 안스럽다고 뒤 봐주면 죽도 밥도 안되는데 하면서 걱정을 합니다.
 기계화 자동화가 밉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