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맞벌이 아이를 어떻게 키울지 고민중인에요.

peach 조회수 : 2,325
작성일 : 2012-11-19 11:13:13

다른 사람들 맞벌이중 육아로 고민할때 옆에서만 보다가

막상 저한테 닥치니 하루에도 맘이 계속 바뀌네요.

아직 임신중이긴 한데 출산휴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육아가 시작하면 밑에 두가지중 어떻할지 고민중이에요.

우선, 남편과 저는 베이비시터 혼자만 집에 두긴 안심이 안되고,

24개월전엔 보육시설에 보내지 말자 라는 생각입니다. 친정부모님은 두분다 일하시고

시댁은 두분다 집에 계세요.

 

1. 시댁에 베이비 시터와 맡긴다.

출퇴근 베이비 시터와 함께 주중 시댁에 맡기는거에요.

차로 30-40 분 거리여서 매일 왔다갔다는 힘들거 같고

주중에 맡겼다가 주말에만 저희가 돌봐야죠.

하루종일 육아는 베이비 시터가 하지만 밤엔 어머님이 돌봐주셔야 하는 단점은 있고

저희가 주말마다 왔다갔다 하는게 번거롭진 않은지, 아이가 주말에만 엄마아빠를 보는건데

혼란스럽진 않는지 걱정이에요.

 

2. 24개월(2년)만 시댁에 들어가 산다.

이경우도 베이비 시터는 두고요.

장점은 저희집 전세 빼써 베이비 시터 월급은 해결될거 같고요. 주말만이 아니라

주중에도 밤에는 제가 돌보니 아이가 부모얼굴 잊을거 같진 않아요.

단점은 아무래도 시댁에 들어가는거니 같이 잘 살수 있을까 하는 고민...주말에 늦잠도 눈치보일거 같고

(시부모님 정말 좋으신 분들이고 아직까진 잘 지내고있는데 막상 같이 사는건 다르잖아요)

2년후에 시댁에서 아이재롱에 계속 같이 사시기 원하시는데 신세 질거 다 지고 아이 컷다고 쏙 나오기

힘들지 않을까 그런 고민이 있습니다.

 

아직 임신중, 이런 저런 고민만 하고 있는데

경험 있으신 82분들 조언 부탁드려요.  

IP : 128.134.xxx.10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지자
    '12.11.19 11:17 AM (211.193.xxx.121)

    두가지 중에서는 2번요.
    시부모님 불편하지만 그래도 내아이에게 남보다 시부모님이 나아요.
    베이비시터나 가사도우미쓰면 생각보다 그럭저럭 괜찮을거에요.
    가장 큰건 내 자식을 매일본다는거

  • 2. ...
    '12.11.19 11:17 AM (123.109.xxx.131)

    시부모님이 아이를 키워주긴 하신대요?
    시부모님 의사를 여쭤봐야요
    두가지 모두 원글님부부가 먼저 말씀드릴 대안은 아닌데요..

  • 3. ..
    '12.11.19 11:18 AM (1.244.xxx.166)

    저라면 그냥 베이비시터요.
    다 좋은 그런 선택은 없다고 보는 편이라.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할수밖에 없음.

    아님 2.번 선택하고 계속 시댁에서 사는것.
    사실 어린이집보내도 직장생활과 병행하기 힘든점 많아요.
    계속 종일반 보내고 저녁에 찾아오는 생활이 아이에게도 쉽지많은 않고요.

    아이만 보면 2번.
    원글님을 보면 1번이라고 생각해요.

  • 4. peach
    '12.11.19 11:20 AM (128.134.xxx.10)

    아 시부모님은 직접 키워주시겠다고 하셨어요. 감사하게도
    근데 힘드실거 같아서 저희가 베이비시터는 같이 써야 겠다 생각중이고요.

  • 5. 저는
    '12.11.19 11:21 AM (171.161.xxx.54)

    1번은 진짜 아닌거 같고
    2번을 하거나

    제 3의 대안으로 씨씨티비 달고 베이비시터요.
    1번은 안돼요.

  • 6. iizerozu
    '12.11.19 11:22 AM (1.237.xxx.119)

    쏙 나오기 힘들다고 하면.. 헉..
    문제네요. 좋은시터 구해서 내집서 생활하는게 제일 좋은데..
    솔직히 영아들 보육시설 맞기면 병원 자주다녀요. 아무래도 단체생활이라서요.
    직장생활시 장염걸리면 원에 등원 못하는데 그때 봐줄 사람이 필요하죠.
    저같은 경우는 13개월까지는 제가 보고
    그 뒤로는 가정어린이집에 맞기고 아플때는 시댁에 부탁드렸어요.
    아이와 매일 본다는게 참 좋아요.
    1번도 2번도 없지만,
    저라면 돌전에는 내집에 시터 고용하고 돌본다.
    돌이후 어린이집에 보낼꺼같아요. 아프면 시댁에 부탁드리고요.
    시댁과 같이산다는게 쉽지만은 않은거 같아서요.

  • 7. ...
    '12.11.19 11:26 AM (218.38.xxx.24)

    둘다 별로예요.
    특히 1번은 별로구요...

    시댁에 베이비시터랑 같이 있음 안심될거같으세요? 시댁부모님이 잠시도 안떨어지고 베이비 시터 감시하실것도 아니잖아요? 보는데선 잘해주다가 외출하셨을때.. 어찌할지 누가알까요?
    그리고 사람이 계속붙어있으면 베이비시터들도 짜증나고 싫어해요.. 내내 감시당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밤에 시어머니가 봐주시는건 쉬울까요?


    님집에서 베이비시터 불러서 돌까지 키우시고 구이후엔 어린이집 보내세요. 그것도 싫으면 24개월까지 육아휴직을 하시던가요...
    개인적으로 아이돌보미 종일제 추천드립니다. 시에서 보시는분이시니.. 완전막장 걸릴 가능성은 좀 적을거같구요..


    돈은 벌어야하고 애는 최고로 키워야하고... 이거 둘다하는거 불가능이예요..
    적당히 어느선에서 포기하셔야합니다. 저는 첫애는 시부모님이 3돌까지 키워주시고 이후 유치원종일반하고 있구요 둘째는 18개월까지 베이비시터쓰고 이후 어린이집 보내고 있어요.

    이상 6년차 두아이 직장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충고입니다.

  • 8.
    '12.11.19 11:26 AM (125.141.xxx.221)

    시댁 옆으로 이사요.

  • 9.
    '12.11.19 11:28 AM (164.124.xxx.147)

    1, 2번 절충이요.
    시댁 가까이로 이사 가셔서 낮동안 시댁에 베이비시터와 맡기는 방법이죠.
    실은 제가 이런 케이스인데요, 장점이 많았거든요.
    일단 좀 커서 기관에 맡기더라도 의외의 상황이나 급할 때 근처에 백업해줄 누군가가 있어야 합니다.
    부부가 직장에 매여 있으면서 필요할 때마다 즉시 휴가를 내거나 하는게 쉽지 않으니까요.
    말하자면 24개월까지만 문제가 아니라 좀 더 커서도 가까이에 필요할 때 부탁할 수 있는 누군가는 필요하다는 거지요.
    그래서 길게 보자면 시댁 근처에 사시면서 어릴땐 시터를 고용하고 좀 크면 기관에 보내고 이렇게 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제 주위에 맞벌이들 대다수가 그런 방법 쓰고 있어요.

  • 10. 집에서
    '12.11.19 11:28 AM (121.100.xxx.136)

    정걱정되심 cctv다세요. 직장에서도 점심시간때나 쉬는시간에 아이 확인할수도 있어서 안심이구요. 요즘 베이비시터 있는 집에서는 씨씨티비 마니 단다고 하더라구요, 베이비시터분께는 집에 cctv가 있다고 미리 말해두시구요.

  • 11. ...
    '12.11.19 11:32 AM (218.38.xxx.24)

    젤좋은건 님이 시댁 근처로 이사가셔서요..
    님집에 베이비시터를 부르구요..

    시어머니꼐 시도떄도 없이 집으로 가보라고 하세요.. 씨씨티비도 달고..

    정말 이방법이 젤낫겠네요..

    24개월이후에 어린이집 다닐떄두요.. 반일반만하고 시댁에 아이가 가는게 낫겠네요..

    이사를 강추드립니다.

  • 12. 저 경험자입니다
    '12.11.19 11:34 AM (222.101.xxx.121)

    남일 같지않네요..저는 지방에서 시어머니를 모셔와서 저희집에서 아기를 돌봐주시길 부탁드렸습니다.
    어려운일이죠. 고향을 떠나 서울와서 남들이 다 싫다하는 손주봐주기-_-;;
    시어머니 인격적으로 좋은분이셨는데도 1년6개월 저희집에 계신동안 정말 서로 밑바닥까지 다 봤습니다.
    결국은 안좋게 다시 고향으로 내려가셨구요.
    너무너무 게으르고..심지어 아기를 동네 사회복지관 인포에게 맏기고 외출하고..더럽고
    늘상 아프다고하시고.. 저는 정말 '형벌이다'라고 생각할 만큼 힘든 기간이었습니다.
    좋은분 나쁜분인것을 떠나서 라이프스타일이 다르고, 사고방식이 달라서 너무 힘듭니다. 비추입니다. 정말

    그리고 베이비시터를 고용해서 시댁에 보내주시는것.
    그런 고용형태를 수용할만한 베이비시터가 없을 것 같습니다.
    서울시 아이돌보미서비스같은 공신력있는 기관에서도
    주양육자가 함께 돌보는 경우 베이비시터를 파견하지 않아요.
    아이가 주양육자에게 자꾸 가고(?) 베이비시터와의 양육방식 충돌등..여러가지 이유때문에
    양육자가 있을경우 파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돌보미 아주머니도 불편해하시구요..

    출산휴가3개월쓰시고, 인터뷰 많이하시고 베이비시터구하세요
    좋은분들도 많아요ㅠㅠ
    그게 부모님께도 떳떳하고 훨씬 낫습니다.
    합가라니요!!노노!!
    혼자집에서 아이를 돌봐도 아기 돌 전까지가 제일힘든시기입니다.
    그 시기에 합가 스트레스까지 더해지면 정말 힘들것같습니다.
    에효..안쓰럽네요..몇년전 제생각이 나구요.
    힘내시고 현명한 선택하세요

  • 13. 경험자
    '12.11.19 2:24 PM (152.99.xxx.168)

    로서 입주베이비시터 좋은분을 구한다가 가장 좋습니다. 정 안심안되시면 윗분들 말대로 CCTV 다시고요.

  • 14. cookingmama
    '12.11.19 2:24 PM (203.239.xxx.85)

    저는 친정집으로 이사가서 단독이라 제가 2층쓰고 부모님이 1층.
    시터는 안부르고 생활비를 드렸어요 넉넉하게는 못드렸지만.
    근데 좋아요. 부모님 특히 어머니는 힘드셨겠지만. 여러모로 좋아요. 아이가 있으니 집안분위기도 좋아지고.
    물론 남편이 불편할때도 있겠지만 그래도 부모님께 감사히 생각한다고 하더군요.
    합가 시부모님 댁이 넓고 인품이 좋다고 생각되시면 나쁠건 없다고 봐요.
    그래도 가끔은 답답할거 같아요.

  • 15. 제니
    '13.3.18 2:05 PM (27.32.xxx.175)

    집ㅇ 사람 있으면 싫어한다고 들은거 같아요.. 생각하시는 두 옵션 별로 좋지 않아보이네요.. 다른분들 글 많이 참고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3097 울랄라부부 진짜~~짜증!!!! 15 .. 2012/11/27 4,259
183096 고다치즈로 간단한 샌드위치를 만드는 방법? 10 치즈 2012/11/27 3,810
183095 레몬차만들었는데 설탕이 잘안녹아요 3 레몬차 2012/11/27 1,383
183094 안철수 지지모임 철수산악회 회원 31만명 "문재인 지지.. 13 참맛 2012/11/27 3,198
183093 어린이집 가기시작하면서 아픈아이 어떻할까요? 9 뽀로로32 2012/11/27 1,512
183092 초 3 수학좀 풀어주세요 7 수학은어려워.. 2012/11/27 1,045
183091 자영업 7개월이면 대출 되는 곳 아무데도 없죠? 7 .. 2012/11/27 1,604
183090 다리미판 추천해주세요. 그리고 다리미판 보통 어디에 보관하세요?.. 1 소쿠리 2012/11/27 892
183089 생애 전환기 건강검진 받으신분들 옵션(?)으로 추가검사하셨나요?.. 8 ... 2012/11/27 4,370
183088 혹시 ㅂㄱㅎ 대통령되면 9 우울 2012/11/27 1,613
183087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 망해가는 동물원에 방치된 동물들을 위.. 2 --- 2012/11/27 635
183086 맛있는 쿠키믹스하나만 추천해주세요^^ 2 2012/11/27 1,057
183085 여러분 같으면 여의도vs목동이라면 1 ... 2012/11/27 1,377
183084 LG 냉장고 부품 무상교체 해 준다고 전화왔는데요.. 8 이거뭐지 2012/11/27 2,452
183083 동네 박근혜 트럭에서 로고송이 나오는데 5 가지가지 2012/11/27 1,533
183082 웹툰 미생 모든 직장인을 위한 만화 추천드려요 5 hj 2012/11/27 1,317
183081 경북대 80년대학번 계시나요? 33 나이든사람 2012/11/27 3,961
183080 문재인은 염색안해도 멋져요 2 zzzz 2012/11/27 1,251
183079 나는 어쩔 수 없는 노빠... 13 dd 2012/11/27 1,397
183078 덩어리 버터 어떻게 관리하며 쓰세요? 14 사소한 질문.. 2012/11/27 3,462
183077 오늘 문재인 서울 광화문 연설 전문 4 세우실 2012/11/27 1,394
183076 화이트생리대가격 7 플레이모빌 2012/11/27 1,538
183075 직구 질문이에요. 4 궁금이 2012/11/27 1,049
183074 문재인후보 로고송 영상보니 왜 이리 눈물이 나죠?ㅠㅠ 10 희망돼지 2012/11/27 1,979
183073 문재인 로고송 02 붉은노을 7 참맛 2012/11/27 1,477